자격증 !
저의 자격증 history ? 공고 전자과 2학년 재학중 3급아마추어무선기사(햄)를 취득후 무선국은 지금까지 개국 못했고 ^^ 체신공무원 5급을류 전송기술직 공채에 합격후 자격증 덕분에 약38년(공무원+공사+KT 민영)근무후 퇴직하고 지금도 자격증 덕분에 퇴직후에도 지속적으로 사회 생활 하고 있습니다..
원래 공무원시험은 응시자격 및 학력 제한 등이 없는데. 내가 공무원 시험 볼때만 응시자격 제한을 국가기술자격증, 또는 관련회사 2년이상 경력 증명을 요구한바 국가에서 요구하는 인원을 부족하여 1달 후 다시 한번 응시자격 제한 없이 국가공무원 공채 시행 한바 (한해 2번) 77사번 동기가 많은 관계로 여러모로 .. 하여간 아마추어무선기사도 체신부 전파관리국장이 시행한 국가기술자격증이라 혜택을 봤습니다. 아이러니 하게도 자격등 발급 시점이 1974년 ,50년전이니 반세기전 지하철 1호선 개통 및 광복절 기념식중 영부인이 운명 하셨습니다. 어제 같은데 세월이 유수 같이 흐르는 것이 아쉬운 부분입니다... 자격증 취득후 활용 여부를 떠나 일단 취득 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 합니다 . 취득 후 이해 관계를 떠나서... 추후 사용 여부에 구속 받지 않는 것이 좋을 것 같슴니다.
지금도 자랑스럽게 명함에 정보통신기사 및 무선설비기사를 삽입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WHY? 자격증은 반 영구적으로 소멸되지 않는 자원중에 자원입니다.
첫댓글 격하게 공감되는 의견이십니다. 시작시기와 그후의 삶의 궤적이 저와 비슷 하시군요.
대단하십니다!
정보통신분야에 산증인이시군요!
반갑습니다. 자격증 아무리 강조해도 부족 하지 않슴니다.. 변호사, 의사,공인중개사,법무사,주택관리사, 거의 모든 분야에 전문 자격증(국가)이 필수.. 대통령만 자격증이 없어도 되지요.. 물론 그보다 더한 리더쉽이 필요 하고요.^^
반갑습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대단 하심니다. 저도 어제 통신 기사.산업기사 2차 시험 보고 왔음니다. 항상 건강 하시길을.....
저는 늦은 나이에 자격증을 취득하였습니다. 그래서 손해를 많이 봤습니다.
그런데 우리나라 기술 자격증 문제점 중의 하나가 한번 취득하고 나면 평생 유효하다는 것입니다.
외국은 한번 취득했어도 계속 시험을 치거나 교육을 받아야 그 기술자격증이 유효하다고 합니다.
특히 정보통신 기술은 기술 변화와 발달 속도가 빨라서 더더욱 그 자격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이 많이 필요하다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