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편인이 식신을 충하여 움직이면 투자 계획이 된 문서를 말한다
時 | 日 | 月 | 年 | 대운 | 건 명 |
편인 | 일간 | 정관 | 비견 | 비견 | 六 神 |
庚 | 壬 | 己 | 壬 | 壬 | 天 干 |
子 | 寅 | 酉 | 申 | 子 | 地 支 |
겁재 | 식신 | 정인 | 편인 | 겁재 | 六 神 |
장성재살 | 역마문창 | 도화육해 | 역마 관귀문곡 |
| 神 殺 |
▶ 사/주/분/석
월지(月支)의 정인문서(正印文書)를 중심으로 년일지(年日支)가 인신충(寅申沖)의 역마충(驛馬沖)을 구성합니다. 그런데 임신(壬申)은 비견(比肩)편인(偏印)이니 나하고는 경쟁관계에 있는 문서인데 임인(壬寅)일주를 인신충(寅申沖)을 할수록 내 의식주(衣食住)는 늘어납니다. 더 많은 경쟁자가 보내온 편인문서로 인해 나는 바빠지고 의식(衣食)이 늘어나 성장하는 구조가 됩니다. 그러므로 기유(己酉)는 정인(正印)정관(正官)이고 유금(酉金)은 금융업이므로 정인(正印)이라는 문서를 품은 금융업종에 종사하는 사람이 됩니다. 그런데 인신충(寅申沖)은 문서적으로 평가하면 수직(垂直) 상승(上昇)을 뜻하는데 곡선화한 그래프을 말하고 역마이니 변동폭이 심한 도표가 됩니다. 곧 금융업에서도 주식평가사에게 많이 나타납니다.
근황
15 辛亥대운에 서울대 경제학과에 진학하였고, 25 壬子 대운에 외국계 투자회사국내지부에서 M&A와 외환 투자등의 경력을 쌓았으며, 현재는 개인 투자자로 전향하여 이른 나이에 70억 정도의 자산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인신충(寅申沖)의 물형(物形)
인월(寅月)에는 세우고 신월(申月)에는 단단하게 한다. 인월(寅月)에는 위로 솟구친다. 신월(申月)에는 숙살지기(肅殺之氣)가 작용하여 단단해진다. 이것이 인신충(寅申沖)이다. 인신충(寅申沖)이 직업의 상의(象意) 가진다면 세우고 무너뜨리는 것을 반복한다. 건물을 세우고 단단하게 만든다. 건축 목수이다. 비행기가 오르고 내린다. 조종사이다. 가격이 치솟다가 떨어진다. 증권분석가이다. 인기가 치솟다가 내리막길이다. 연예인이다. 치솟다가 떨어지는 이미지의 반목 물상이다. 그러한 직업군에 해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