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명 | Capra hircus |
---|---|
생물학적 분류 | 계 : 동물계(Animalia) 문 : 척삭동물문(Chordata) 강 : 포유강(Mammalia) 목 : 우제목(Artiodactyla) 과 : 솟과(Bovidae) 속 : 염소속(Capra) |
크기 | 120~160cm |
무게 | 25~95kg |
분포정보 | 분포지 : 가축화에 의해 전 세계적으로 도입되어 분포하고있으며 자연으로도 야생화 되고 있다. |
흑염소는 옛 조상으로 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신비의 약용동물로 알려져 있으며 초식과 열매를 고루 먹는 아주 신비한 동물 이기도 하다. 그리하여 오랜 옛적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노약자나 임산부, 발육기의 어린이및허약체질의 영양 보급에 많이 애용 되어 왔다. 현대 과학 문명이 고도로 발달된 오늘에도 흑염소의 인기는 날로 상승하고 있다. 흑염소의 중요성분을 알아보면 인체에 필요한 칼슘이 소,돼지,닭에 비교하여 약10배 이상이나 되며 특히 토코페롤(비타민E) 45mg(100g기준)나 함유되어 있는 약용동물이기도하다.
반추성 동물(Capra hircus Linnaues)로서 페르시아 지방에서 가축화된 듯 하며, 이미 신석기시대부터 고기와 모피를 이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백제 말엽에 일본에 염소 2마리를 보냈다는 기록으로 보아 1,400년 전에 이미 사육되었기나, 제물 등의 귀한 용도로 쓰였던 듯하다. 우리나라에서 많이 사육되고 있는 염소는 육용종인 재래종과 유용종인 자넨(Saanen)종이다. 염소는 고기뿐 아니라 젖도 귀중한 식품으로 이용되어 왔다. 염소의 젖은 우유보다도 소화가 잘되며 염소젖으로 만든 케파르라는 젖술은 가장 오래된 술의 하나이다. 재래종 염소는 고기를 목적으로 사육해 왔고 젖염소도 일부 고기로 이용한다.
염소고기와 관련하여 ‘동의보감'(東醫寶鑑)’에는 ‘염소고기는 허약한 사람의 영양 보충과 보신에 좋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본초강목(本草綱目)’에는 ‘염소고기가 허약을 낫게 하고 피로와 추위를 물리치며 위장의 작용을 보호하고 마음을 평안케 한다’라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염소는 조선시대에 장수한 왕으로 알려진 숙종이 가장 즐겨 먹었던 보양식으로 유명하며, 최근 먹거리X파일에서 흑염소에 대한 방송 이후 관심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토종흑염소는 반 야생상태에서 자란다. 흑염소는 몸에 좋은 여러 가지 산야초와 풀, 나뭇잎, 나뭇가지, 열매, 줄기, 뿌리까지 먹어치운다. 흑염소는 몸무게 30∼40kg으로 염소 중에서 작은 편에 속한다. 뿔은 암수 모두 있는데 수컷의 뿔은 크고 뒤로 많이 휘어지며 암컷의 뿔은 가늘고 휘어짐이 약하다. 수컷의 턱에는 수염이 있다. 한국 재래 토종 흑염소는 아무거나 잘 먹고 추위에도 강하며 성질도 온순하다. 주로 식물의 잎, 줄기, 싹, 열매 등을 먹는다. 임신기간은 154∼160일이며 한 배에 2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수명은 10∼15년이다. 가축으로 사육하며 고기용이나 약용으로 쓰인다.
염소고기의 효능
■ 노인∙임산부∙어린이∙허약체질 등에 좋다
단백질과 칼슘이 풍부하며 미식가들의 건강식으로 알려져 있는 흑염소는 특히 임산부, 허약체질인 사람에게 보약으로통하고 있다. 염소고기를 한방에서는 온양성 식품으로 분류하고 있다. 노인들의 몸이 차질 때에는 염소 고기를 먹으면 온몸이 따뜻해 진다는 것이다. 본초강목에는 염소고기가 원양을 보하며 허약을 낫게하고 피로와 추위를 물리치며 위장의 작용을 보호하고 마음을 평안케 한다고 한다. 또한 염소고기에 풍부하게 함유된 철분은 빈혈을 막아주며, 칼슘은 임부가 태아에게 빼앗긴 칼슘의 보충이 되고 성장기에 있는 어린이에게는 직접 필요한 영양소가 되는 것이다.
흑염소는 예로부터 기력회복에 탁월하며 여성에게 좋은 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때문에 보양식으로 많이 이용되며 약재로 활용하기도 하는데. 몸이 허약하고 기력이 없는 분들에게 좋으며 따뜻한 성질을 가지고 있어 위에도 좋다. 하지만 흑염소는 맛과 냄새에 있어 호불호가 갈리는 음식이다. 입맛에 맞으시는 분들은 꾸준히 섭취를 하시면 건강을 유지하고 회복하는 데 흑염소 효능이 굉장히 도움이 될 것이다.
염소고기는 지방분이 쇠고기와 비슷하여 면양고기처럼 느끼하지도 않다. 염소고기에는 지방의 함량이 적은 반면, 단백질과 칼슘, 철분이 많이 들어 있다. 그래서 임산부나 회복기의 환자, 어린이에게 아주 좋은 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당나라의 천금방책에 둔양옥이라는 것이 있는데 이것은 황기 용안옥 요리인데 이것은 확실히 자양강장 식품이다. 염소는 옛날부터 임산부의 보약으로 널리 알려져 왔으며 흑염소에는 지방질의 함량이 적은 반면 단백질과 칼슘 그리고 철분이 많이 들어있다. 임산부 뿐만 아니라 회복기의 환자나 어린이에게 아주 좋은 식품이다.
■ 노화방지
염소고기는 저콜레스테롤, 저지방, 저오염인 3저(低)식품인 동시에 고단백, 고철분, 고비타민으로 4고(高)식품이며, 육류 중 알칼리성으로 노화방지에 좋은 효과가 있습니다. 또한, 신장기능을 강화시켜 신장의 허약으로 발생할 수 있는 노화진행을 방지하고, 비타민 E가 풍부하여 피부미용에 좋으며, 토코페롤이 세포의 노화 예방 및 기미와 주근깨 등을 없애는 효능이 있습니다.
■ 면역력 증진
염소고기에는 지질 1g당 10.9㎎의 공액리놀레산(CLA : Conjugated linoleic acid)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이 공액리놀레산은 반추동물이 섭취하는 리놀레산으로부터 미생물에 의하여 합성되는 중간대사산물로서, 면역력 증대를 위한 철분과 대식세포의 기능을 향상으로 면역력을 증강시키는 효능이 있습니다. 따라서, 염소고기는 다른 육류보다 공액리놀레산의 성분이 높게 함유되어 면역력을 증진시킬 수 있습니다.
■ 보혈작용 및 근육튼튼
염소고기는 예부터 보혈작용과 함께 근육을 튼튼하게 하는 것으로다. 약효가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약효가 좋은 것으로는 생후 1년 전의 어린 염소가 좋은데 염소고기는 특유의 노린내가 나는 것이 흠이다. 따라서 향신료가 들어가야 먹기에 좋다. 염소고기는 주로 강한 불에 구워서 먹는다. 염소고기를 삶아서 먹을 때는 냄새를 없애기 위해서 각종 향신료를 사용한다.
■ 뼈 건강에 도움
흑염소는 소나 돼지에 비해 칼슘이 최대 25배 함유하고 있어 성장기 어린이들의 성장발육, 골격 형성에 도움이 됨은 물론 노년층의 골다공증 예방, 그리고 출산 후 1개월 된 산모에게 부족한 칼슘 보충으로 최고의 식품이다.
■ 비만예방
흑염소고기는 지방이 1.1%정도로 소고기(6.7±4.1%)나 돼지고기(4.4±2.2%)보다 훨씬 적고, 열량이 신선육 100g당 189㎉ 내외로 소고기 218㎉, 돼지고기 236㎉보다 낮은 저지방, 저칼로리 식품이며, 일반적인 육류가 100g당 75~80㎎의 콜레스테롤을 함유하고 있는데 비해 흑염소고기에는 약 65㎎이 함유되어 있어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흑염소고기는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57.5%로 소고기 42.9%, 돼지고기 52.9%에 비하여 높은데, 불포화지방산은 인체내에서 콜레스테롤 함량을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에 흑염소의 영양학적 가치가 높다.
또한, 노화방지 기능을 하는 토코페롤 함량이 많으며, 지방산의 분해를 도와주고 독성 물질을 세포 밖으로 배출하는 역할을 하는 카르니틴(carnitine) 함량이 많아 비만 예방에 도움을 준다.
■ 빈혈예방
빈혈이란 인체 조직의 대사에 필요한 산소를 충분히 공급받지 못해 저산소증 증상을 보이는 것을 말한다. 염소고기에는 다른 육류보다 칼슘과 산소를 공급해주는 헤모글로빈의 구성 성분인 철분이 흑염소에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철분이 원활하게 공급되지 않는 빈혈환자가 섭취할 경우 많은 도움이 된다. 또한, 칼슘과 철분 등은 임신부와 산모에게 필수적인 영양소이므로 임신부와 산모에게 좋은 보양식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빈혈이 심한 여성들이 섭취하면 빈혈개선에 도움이 된다.
■ 성인병 예방
혈액순환이 원할하지 않을 경우 각종 성인병이 유발되기 쉬운데, 흑염소는 지방이 적고, 단백질 함량이 높으며 칼슘과 토코페롤 성분이 풍부 해 소화를 돕고, 원기회복에 도움을 준다. 위장의 원활한 작용을 도와주며 보혈작용, 혈액순환 개선 작용이 뛰어나 심장병, 고혈압, 당뇨병, 동맥경화 등 각종 성인병 예방에 좋다.
■ 성장기 발육에 좋다
염소고기는 고칼슘 식품인 동시에 토코페롤이라고도 불리는 비타민 E가 100g당 45㎎을 함유하여 성장기 발육에 좋은 효과가 있습니다. 또한, 염소고기는 다른 육유보다 성장 호르몬 생성에 도움을 주는 특정 지방산 비중도 월등히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스테미너 증진
한의학적으로 신장은 원기의 근본이며, 음기와 양기의 본산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신장이 허약하면 기력이 쇠퇴하고 정력이 떨어지게 되는데 염소고기는 신장기능을 좋게 하여 남성의 정력 증진에 좋은 효과가 있습니다.
■ 안구질환의 예방
염소고기는 다른 육류와 비교하여 비타민 A를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다. 비타민 E는 토코폐롤이라고도하는데 세포의 노화를 방지하고 불임을 막아주는 작용도 하므로 흑염소가 보약으로 전래된 것도 이 때문이다. 따라서, 비타민 A의 결핍으로 발생할 수 있는 야맹증과 안구건조증에 효능이 있고, 노령기의 시력감퇴를 예방하는 것에도 효능이 있다. 특히, 염소의 간에는 다른 동물의 간보다 비타민 A가 풍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컴퓨터 작업, 책을 많이 보는 수험생, 텔레비전이나 핸드폰을 많이 쓰는 현대인, 야맹증, 노화현상으로 인한 시력감퇴 등 노안개선에 도움이 된다.
■ 여성질환의 예방
염소고기는 자궁을 따뜻하게 하는 효능이 있어 자궁을 따뜻하게 해주어 냉증등 여성질환에 효능이 있다. 따라서, 생리분술, 냉증, 자궁염 등 자궁이 허약하여 발생할 수 있는 여성불임증에 효능이 있고, 산모에게는 보혈작용으로 산후출혈, 산후복통, 냉대하, 수족냉증, 혈액순환장애, 변비 등 각종 부인병에 효과가 있다. 또한, 산모의 기력회복과 모유수유에도 도움이 된다.
■ 위장에 좋다
흑염소 고기는 근육섬유가 연해서 소화 흡수율이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방함량도 쇠고기의 절반 가량밖에 안들어 있어 소화가 잘되어 고기를 잘 먹는 사람이나 위장병 환자나 허약한 사람에게 좋은 식품이라 할 수 있다.
■ 정력강화
현대인들은 과도한 업무, 스트레스, 운동부족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성기능 장애증상을 호소하는 분들이 많다. 성기능 향상에 뛰어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아연 성분은 흑염소 100g 당 5.53mg이나 될 정도로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남성들 정력강화, 자양강장에 좋은 효능이 있다.
■ 피부질환 예방
흑염소에는 비타민E 성분인 토코페놀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데, 비타민E 효능으로 항산화작용을 해 피부의 상처를 빨리 아물게 도와주고, 아토피나 자외선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각종 피부질환이 생기는 것을 예방해 준다.
또, 세포의 노화를 억제해 줌은 물론 기미, 주근깨를 없애주는 효과가 좋으며, 혈액순환 개선효과가 있어 피부혈색이 좋아지고, 피부가 고아지는 등 피부미용에 도움을 준다.
■ 혈액순환 개선
염소고기는 한의학상 온양성 식품으로 분류됩니다. 온양성 식품은 온열성이 있는 식품을 의미하여 몸이 냉하거나 수족냉증이 있는 사람에게는 혈액순환을 개선하고 몸을 따뜻하게 효과가 있습니다.
흑염소고기의 효능에 대하여 언급한 고대 의학(약학, 약초)서적으로는 우리나라의 동의보감(東醫寶鑑))이 있고, 중국의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 본초강목(本草綱目), 천금식치(千金食治), 명의별록(名醫別錄), 각의별록(角醫別錄) 등이 있는데, 설명한 내용이 서적마다 조금씩 차이는 있으나, 정리해보면 대체로 ① 허약한 체질을 개선해주고, ② 양기를 돋우며, ③ 산후통을 다스리고, ④ 심장을 안정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한다. 신농본초경에는 '염소의 뿔은 마디마디 쑤시고 시린 산모에게 좋다'는 내용이 있고, 천금식치에는 '통증을 그치게 하고 임산부에 이로우며 산후통을 없앤다'는 내용이 있으며, 명의별록의 '산후통과 풍, 두통을 없앤다'는 기록 등이 '흑염소는 여자에게 좋다'는 속설을 만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동의보감의 '허약체질을 보신시켜 따뜻하게 하며 남자의 기를 돋운다'는 내용이나, 신농본초경의 '양기부족에 좋다'는 내용, 본초강목의 '원기와 양기를 보하며 허약한 것을 다스린다'는 내용, 명의별록에 '양기부족을 치료한다'는 내용 등이 있는 것으로 보아 여자뿐만 아니라 남자에게도 좋은 음식이다.
염소의 약효에 대하여 송나라 때의 ≪본초연의 本草衍義≫에서는 고력양(羖䍽羊), 즉 흑염소가 가장 약효가 높다고 하였고, ≪본초강목 本草綱目≫에서는 청색의 것이 가장 높고 흑색의 것이 그 다음이라고 하였다. 이 밖에 염소의 젖이나 털도 이용되지만, 많이 이용되지는 않는다. 염소의 털로 짠 천은 모헤어 또는 캐시미어라고 한다.
■ 흑염소즙의 효능
염소고기에는 다른 동물에 거의 들어 있지 않은 아미노산과 토코페롤이 다량(45mg) 함유되어 꾸준히 드시면(주3회 이상) 우리 몸에 이런 점이 좋다.
어린이 : 발육기 허약체질 (땀, 코피, 성장통, 식욕부진)
수험생 : 성장 시 청소년의 체력보강
여성 : 아름다운 피부와 젊음을 유지하고자 하시는 분. 세포 노화방지, 빈혈, 생리불순, 냉 대하증 예방
산모 : 출산 후 산후풍 예방
노부모님 : 골다공증 환자, 손발 시리고 차가운 분 따뜻하게 (효도선물)
중장년층 : 기력감퇴, 흡연과 음주로 간 손상이 크신 분, 양기부족
위장질환 : 하복부가 냉하여 대변 상태가 좋지 않은 사람
허약체질 : 병후 원기허약 체질회복, 시력감퇴 예방, 만성피로 노화방지와 특히 여성들의 피부미용과 골다공증 예방에 탁월하다.
■ 흑염소의 한의학적 효능
한방에서 염소는 온양성 식품으로 분류되어 출산 후 손발 시리고 저린 증상에 보혈작용과 함께 뼈와 근육을 튼튼하게 하는 것으로 출산 후 널리 애용되고 있습니다.
노인들이 몸이 추위를 많이 느낄 때는 염소고기를 먹으면 온몸이 따뜻해진다고 합니다.
■ 흑염소 부위별 효능
◈ 뿔(각,角) : 눈을 밝히고 심장이 자주 뛰는 증상(경계,驚悸)을 그치게 한다.
◈ 머리(두,頭) : 뼛속이 지근 지근거리는 증상(골증,骨蒸)과 머릿속이 뜨거운 증상과 머리가 어지러운 증상(풍현,風昡)과 체력의 허약을 보하고 마음을 편하게 한다.
◈ 고기(육,肉) : 염소고기는 열이 매우 심하고 맛이 달고 독이 없다. 허로(虛勞)와 신체부위가 기능이 약하여 추위를 타는 체질에 좋다. 위장을 따뜻하게 하여 소화에 이롭고 심장을 안정시키고 경기(驚氣)를 멈추게 한다. 치아와 근골을 튼튼하게 하고 수척한 체질은 살을 찌게 한다.
◈ 간(肝) : 안질을 다스리고 눈을 밝힌다.
◈ 위(胃) : 위장의 허약을 보하고 소변을 잦은 것을 다스리고 기운을 보해준다.
◈ 콩팥(신,腎) : 신장 기운을 보하고 뼈와 골수의 허약을 튼튼하게 하고 귀가 멍하거나 우는 증상, 수면 시 나는 식은 땀(도한,盜汗)을 거둬주며 정력과 위장기능을 좋게 한다.
◈ 골수(骨髓) : 혈맥(血脈)을 이롭게 하고 경기(經氣)를 보하니 술에 타서 먹는다.
◈ 혈액(혈,血) : 출산 후 어지러움(혈훈,血暈) 증세에 좋다.
◈ 뼈(골,骨) : 추위를 많이 타는 사람에 좋다. 열(숙열,熟閱)이 있는 사람은 해롭다.
◈ 등뼈(척골,脊骨) : 허리(虛痢)에 통증을 다스린다.
◈ 다리뼈(경골,脛骨) : 어금니가 성글고 동통하는 것을 다스린다.
◈ 껍질(皮) : 허약을 보하고 모든 풍을 제거하니 털을 버리고 고아서 먹는다.
◈ 염소똥(시,屎) : 염소똥을 태워서(소회,燒恢) 물에 담가서 그 즙에다 머리를 감으면 털이 길어지며 또 빠진 털이 난다.
■ 본초강목(本草鋼目) 에서는
염소고기가 원양(元陽)을 보하며, 허약을 낫게 하고, 마음을 평안케 한다고 한다. 또한 자양강장 에 좋고, 내장을 보하며 기력을 늘린다.
1. 기침이 심할 때~~~염소고기 1.2KG과 대추 100개를 물 5되에 담가 7일간 두었다가 한 잔씩 마신다.
2.눈이 잘 보이지 않을 때~~~염소 간1개를 막을 벗겨 버리고 잘게 썰어 파씨 1작을 볶아 분말하여 물에 삶아 찌꺼기는 버리고 그 즙에 간과 쌀을 넣고 죽을 쑤어 먹는다.
3. 대변이 막힐 때~~~염소 쓸개로 관장을 하면 바로 통한다
4. 토혈하는 기침~~~염소뿔 2개를 태워 분말하고 계피가루 75g 을 섞어 매복 1숟갈씩 찹쌀 미음으로 1일3회 먹는다.
5. 노인이 기(氣)부족으로 어지러운 때~~~흰 염소 대가리를 푹삶아 먹는다.
6. 위와 비를 튼튼히 하는데~~~염소고기 1.8kg을 썰어 기장쌀 2되와 함께 삶아 오미(양념)를 넣고 죽을 쑤어 먹는다.
7. 땀이 많이 흐르는데~~~염소 기름을 술에 타서 자주 먹는다
8. 대변하혈~~~염소 피를 끊여 초를 타서 먹으면 가장 효과가 있다
9. 술이 생각날 때~~~술안주로 먹는다.///
◆ 흑염소의 성분 주요성분은 인체에 필요한 칼슘이 소, 돼지, 닭에 비교하여 약 10배 이상이나 되며, 다른 동물에는 없는 토코페롤(비타민E)이 45mg(100g 기준)나 함유되어 있다. 비타민E(토코페롤 : 노화방지에 탁월할 효과)가 함유되어 있어 발육기 어린이, 허약 체질 개선, 심장강화, 혈액순환 개선, 위장보호, 빈혈 산후조리, 병후 원기회복 및 노약자의 약기부족에까지 고루 뛰어난 약효를 발휘하는 건강보조 식품이다.
◆ 흑염소의 장점 – 3저 4고 식품 3 저 : 저지방, 저콜레스테롤, 저오염 4 고 : 고단백, 고칼슘, 고철분, 고비타민 |
◆ 염소고기 성분과 장점 염소 고기는 다른 육류에 비해 지방함량과 콜레스테롤 함량이 낮으며 지방산 조성도 상대적으로 우수하고 칼슘과 철 함량이 높다.
1. 지방함량이 낮다. 염소고기에는 지방이 1.2% 내외로 매우 적으며 이는 소고기와 비교하여 매우 낮다 2. 콜레스테롤이 적다. 일반적인 육류가 100g당 75~80mg의 콜레스테롤을 함유한데 반해 염소고기에는 약 65mg정도가 함유되어 있다. 3. 저칼로리 고기이다. 지방함량이 낮기 때문에 염소 고기는 상대적으로 저칼로리 고단백 식품이다. 4.지방산 조성이 우수하다. 염소고기는 소고기에 비해 포화지방산이 적고 불포화지방산인 올레산, 리놀레산,아라키돈산이 많으며 다양한 건강 기능성이 알려진 CLA함량도 상대적으로 우수하다. 5.칼슘과 철이 많다. 육류 중에서도 높은 칼슘과 철 함량은 골다공증 예방과 보혈기능과 관련되는 것으로 보인다. 6. 노화방지 기능의 토코페롤 함량도 우수하다. 에너지 생서를 도와주는 carnitine 함량도 다른 육류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 흑염소 부작용
흑염소는 딱히 부작용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체질에 맞게 섭취해야 한다. 흑염소 고기는 성질이 뜨겁기 때문에 몸에 열이 많은 사람은 피하는 것이 좋다. 특히 몸에 열이 많아 얼굴이 붉게 달아오르거나 물을 많이 마시고 체격이 좋은 여성은 피하는 것이 좋다.
소양인의 경우 열이 많은 체질이므로 흑염소를 섭취했을 경우 피부에 뾰루지나 염증 등이 생길 수 있다. 흑염소 효능을 잘 보려면, 구이보다 탕으로 먹는 것이 효과적인데, 흑염소 고기는 소고기처럼 불에 구우면 구울수록 질감이 딱딱해지기 때문에 소화력이 약한 사람이 먹기에 적당하지 않다. 자신의 체질을 잘 파악해서 섭취해야 한다.
흑염소 효능이 뛰어나다고 해서 과다섭취를 하게 되면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 대표적인 흑염소 부작용으로는 두통과 가슴의 답답함, 뼈마디가 아픈 증상 등을 꼽을 수 있는데, 이뿐만 아니라 심장이 약하고 신체에 열이 많은 사람에게는 흑염소가 맞지 않는다고 하니 본인의 체질을 바로 아는 것도 중요하다. 때문에 흑염소는 소양인과 태음인에게는 맞지 않으며 소음인에게 좋은 보양식이다.
본초강목이라는 고한의서에는 흑염소는 대열(大熱)하다고 했다. 즉 열이 많은 음식이라고 했다. 갱년기 증상이 있을 때 몸에서 열이 나는 경우가 다반사이기 때문에 흑염소는 함부로 먹어서는 안 된다.
흑염소는 보양식으로 찾으시는 분들도 많지만 호불호가 쉽게 갈리는 음식이라 드시지 않는 분들도 많다. 위에 설명해 드린 흑염소 효능과 부작용을 참고하셔서 본인의 체질과 맞는 분들은 보양식으로 드시는 것도 좋을 것 같다!
◆ 농진청, 염소고기 효능 및 요리법 소개
▲▲농촌진흥청이 염소고기의 소비유형 변화에 따라 염소고기의 영양적 특성과 맛을 소개했다(사진 제공= 농진청).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 이하 농진청)이 염소고기의 소비유형 변화에 따라 염소고기의 영양적 특성과 맛을 소개했다.
염소고기의 소비 유형은 10여 년 전 약용에서 육용으로 변화했다. 최근에는 염소고기가 균형 있는 영양소를 갖추고 있는 맛 좋은 식품으로 알려지면서, 과거 각종 한약재와 함께 끓이는 중탕 방법 대신 전골·수육·탕 등 조리가 다양해지고, 최근에는 불고기 위주로 소비가 늘고 있다.
예로부터 흑염소는 한의학적 관점에서 노약자나 임산부, 발육기 어린이의 허약 체질 개선에 도움이 된다고 해 많은 이들이 애용해 왔다.
‘본초강목’에는 염소고기를 ‘원양 생리적 기능의 동력이 되며 생명 활동에서 힘의 근원이 되는 신의 양기를 보하고 허약을 낫게 하며, 강장 보약이 된다’며, ‘뇌를 차게 하고 피로를 물리치며 위장을 보하고 마음을 편하게 한다’고 소개하고 있다.
염소고기에는 인체의 산성화를 막아주는 칼슘, 인, 철 등 미네랄 군이 많이 함유됐지만 지방함량과 열량은 낮은 편이다. 기호 측면에서 쇠고기와 비슷한 육질로 감칠맛이 있으며, 맛이 담백하고, 소화흡수가 잘 된다.
농진청은 염소고기 특유의 냄새를 없애고 고기 향과 다즙성 고기를 씹을 때 입안에 육즙의 침출되는 정도, 맛과 기호성을 높이는 불고기 양념장 배합비율을 제시했다.
△염소고기(86%)에 고추장(1.5%)과 쌀 엿(1.8%), 간장(1.8%), 백설탕(1.3%), 참기름(0.5%), 마늘(0.5%), 후추(0.1%) 등을 넣어 골고루 버무린 후 냉장실에서 24시간 숙성한 다음, 익혀 먹으면 된다.
△참고로 녹차 분말 또는 로즈메리 분말의 진한 향은 염소 불고기에 오히려 불쾌한 냄새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고추장, 참기름, 마늘 등 기본 양념장만 사용해도 특유의 냄새를 제거할 수 있다.
◆ 조리
1.염소탕은 된장을 푼 물에 염소를 2시간 이상 담가 염소 특유의 냄새를 없애고 요리하는데, 고추와 들깨를 갈아넣고 얼큰하게 끓여 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2. 흑염소탕은 삶을 때 식당마다 다르지만 염소사골만을 중불에 푹 고아 쌀뜨물처럼 하얗게 우려낸 육수에 된장, 마늘, 생강, 양파, 토란대를 넣고 끓여낸 뒤 누린내를 없애기 위해 저마다의 비법의 양념을 가미, 냄새가 없고 담백하게 하지만 노린내를 없애기 위해서는 불 조절에서부터 양념 배합까지 여간 어렵지 않으며 무엇보다도 토란대(중요)는 꼭 국산을 사용해야 꼬들꼬들한 토란대 맛을 느낄 수 있으며 된장도 집에서 담근 된장을 이용하면 더욱 깊은 맛을 느낄 수 있다고 한답니다.
3.흑염소 숯불구이도 별미. 흑염소 살코기만을 얇게 저며 마늘,생,^양파,참깨,간장,배즙,키위등 각종 과일즙과 후추,참기름을 넣고 재워낸 뒤 참숯불에 구워낸 건강식으로 육질이 부드럽고 달콤해 염소요리를 즐겨먹지 않던 사람도 그 맛에 반할 정도로 맛이 좋아요.
4.흑염소 수육도 추천. 2~3년 된 암컷 흑염소만을 선별하여 생강,양파,마늘과 약간의 술,굵은 소금을 넣은 된장 물에 삶아 담백하며 씹을수록 고소한 흑염소의 맛을 느낄 수 있어 한번 맛을 보면 쇠고기와 돼지고기는 싱거워서 먹지 못한다고 할 정도로 먹을수록 독특한 맛에 빨려들게 됩니다.
생고기: 기생충 문제 없이 위생적으로 된 것이면 아무 문제는 없지요. 생고기가 맛은 더 좋아요.
요리백과: 쿡쿡TV
염소고기
재료분류 : 육류 > 염소고기
칼로리 : 180kcal (100g)
제철 : 연중계속
목차
1. 기본정보
2. 섭취정보
기운이 없고 체력이 많이 떨어지셨나요? 보양 요리의 재료인 염소고기는 떨어진 기력회복에 좋은 먹거리입니다.
기본정보
· 구입요령 : 붉은색으로 살이 탄력적인 것이 좋다.
· 유사재료 : 양 (양과 아주 비슷하여 구별하기가 어려우나, 염소의 수컷에는 턱수염이 있고, 몸털은 양과 같이 부드러우나 양털 모양은 아니다.)
· 보관온도 : -20℃~0℃
· 보관일 : 7일
· 보관법 : 먹을 만큼의 분량을 비닐에 넣어 밀봉한 후 냉동실에 보관하며 요리 시 필요한 분량만 꺼내어 상온에서 해동한다.
· 손질법 : 물에 담가 핏물을 뺀 후 핏물이 빠지면 깨끗한 가제로 물기를 없앤 후 요리에 이용한다.
· 산지특성 및 기타정보 : 아시아 일대에 분포한다. 초원이 풍부한 지역에서 잘 자란다.
· 섭취방법 : 탕으로 끓이거나 구워 먹고 즙을 내 먹기도 한다. 조림이나 강정, 수프, 육포로 가공하는 등 다양한 조리법이 개발되고 있다.
· 궁합음식정보 : 버섯 (소고기에 부족한 식이섬유소를 보충해 줄 수 있다.)
· 다이어트 : 열량이 높고 지방 함량이 많으므로 다이어트에 좋지 않다.
· 효능 : 노화 방지 (비타민 E가 많아 세포의 노화를 방지하고, 비타민 E는 부족시 불임의 원인이 될 수 있다.)
· 영양성분
니아신 | 나트륨 | 단백질 | 당질 | 레티놀 | 베타카로틴 |
비타민 A | 비타민 B1 | 비타민 B2 | 비타민 B6 | 비타민 C | 비타민 E |
식이섬유 | 아연 | 엽산 | 인 | 지질 | 철분 |
칼륨 | 칼슘 | 콜레스테롤 | 회분 | 칼로리 |
영양성분 : 100g 기준 [네이버 지식백과] 염소고기 (쿡쿡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