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 관찰사의 행정청, 선화당 *
선화당은 충청도 관찰사의 행정청으로 사용되었던 건물이다. 처음에는 감영지에 자리하였는데 국립공주박물관 안으로 옮겼다가 최근 다시 공주 웅진동으로 옮겨와 복원하였다. 충청도 관찰사는 처음 충청북도 충주에 있다가 1598년(선조 31)에 공주로 옮겼는데, 1646년(인조 24)에 큰 장마로 인하여 선화당이 떠내려 가서 금성동 성안으로 옮겼다가 1653년(효종 4)에 당시의 관찰사 강상연이 반죽동 공주사대 부속고등학교 자리로 옮겼으며, 1910년 국치를 당한 후 충청남도청이 되어 오다가 1931년에 도청을 대전으로 옮겨가고, 건물은 1938년 중동으로 그대로 이전하여 국립공주박물관 진열실로 이용되어 왔었다. 건물은 정면 8칸 측면 4칸의 평면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는 초창의 건물이 정면 9칸이었던 것을 이전 복원하면서 원형이 변경되어 정면 8칸으로 변화되었다. 건물의 내부는 통칸으로 넓은 공간을 두었고 기둥은 내진칸을 두도록 배치하면서 주위에 외진 칸을 만들어 퇴칸 형식을 취하고 있다. 공포는 무출목 이익공 계통으로 시설하였고, 창방이 있는 주칸에는 운공이 있는 화반을 3구씩 배치하여 장설을 받쳐 주어 관아 건축의 장엄을 유지하고 있다 (문화재지정일 : 1980. 12. 29). 건물의 내부는 통칸으로 넓은 공간을 두었고,기둥은 내진주를 두면서 주위에 외진주를 두어 퇴칸 형식을 취하고 있다.공포는 무출목 이익공계통으로 시설하였고,창방이 있는 주칸에는 운공이 있는 화반을 3구씩 배치하여, 장설을 받쳐 주어 관아 건축의 장엄을 유지하고 있다.
* 충남 감영 *
고려대부터 공주목이 설치된 이후 지방행정 중심지로서 그 이전시기 (삼국,통일신라)의 웅주, 능천 도호부를 이어받은 공주 건치가 비롯되었다.조선시대에 들어 정삼품의 공주목사는 세조때 시행된 진관체계 수립에 따른 첨절제사를 겸하게 되고,예하의2군(임천한산),10현을 통치하게 되었다. 따라서 공주목관아는 동헌을 비롯한 정청들과 중앙기관인 객사 외에 진관에 소속된 여러 건물과 창고건물들이 지금의 공주시 중동 도립병원 주변 일대에 산재해 있었다. 여지도서에 나타난 공주목소속공해는 객사32간(웅주지관), 아사 26간(혜의당), 향소청, 향사당 13간, 군관청7간, 작청10간, 진무청7간, 지인방 3간, 우영15간, 토포군관청 8간, 기청 9간, 작청6간이었다. 창고시설로는 대동고 20간, 보역고5간, 관청고 6간이 주내에 있었고, 사창 16간이 산성내에 그리고 동· 서· 남· 북·유창이 주외현에 배치되었다. 공주목 동헌 건물이 도립병원 건립 당시 대책없이 철거되어 후일(1980년대 중반)금성동 산기슭(황새바위 밑)에 복원되었는데,또다시 요실됨으로서 곰나루변「문화단지」선화당 앞마당에 새롭게 이건재되었다.
* 포정사문루
포정사는 공주 감영에 부속되었던 건물로 감영이 철회되면서 구 공주군청 곁으로 이건하였다. 한동안 공주제일감리교회로 사용되다가,다시 군보건소로 이용하였다. 그 후, 1980년대에 교동으로 옮겨 중수하였으나 1985년 화재로 전소하였다. 지금은 무령왕릉과 금강사이의 곰나루에 위치하고 있다. 건물은 정면5칸, 측면2칸의 익공식팔작지붕이다.
* 동헌
장대석 두벌대로 기단을 쌓은 위에 각 초석에 각주를 세워 정면 8칸, 측면 4칸의 평면을 보성했다. 8.2척 주간으로 등간격을 준 7칸 내진의 전후로 반간퇴마루를 돌리고 동측면에도 같은 퇴간을 둠으로서 정면 8간이 되었다. 전퇴 부분은 창호없이 개방되고 안쪽 중앙3칸은 우물 마루깔은 대청 우측편은 온돌방 2칸이다. 중앙 대청 우측의 2칸은 마루바닥이나 4面창호 구획되고 대청을 중심한 양옆 측변면도 모두 4분합으로 접어서 들어 열 수 있는 구조이다. 납도리, 홑처마로 2고주 2중량 7가연의 단출한 목조 팔작 지붕집이다. 선화당과 포정사등 감영건물에 비해서는 너무나 섬약한 용재쓰임 등 단조로운 관어건물이다. 정삼품 관원이 주재하는 공주목의 치호 품계로 보아서는 동헌 건물이 너무 왜소할뿐 아니라 각주, 무익공, 납도리,처마등이 평범한 전각구조와 다를 바 없어 동헌 중심건물 로서의 위풍이 없는 듯 느껴졌으나 감영(관찰사영)앞에 존재하는 겸양함이 발휘된 것으로 사려된다.
* 금영측우기(錦營測雨器)
1) 지정번호 - 국보 제329호
2) 제작연대 - 조선 헌종 3년(1837) 빗물을 그릇에 받아 강우량을 재는 측우기는 조선 세종 23년 (1441)에 만들어진 후 여러 차례 다시 만들어졌으나, 현재 남아 있는 것은 헌종 3년(1837)에 만들어진 금영측우기가 유일하다. 높이 31.5㎝, 지름 29.4㎝의 이 측우기는 원통형의 표면 3곳에 대나무처럼 도드라진 마디가 눈에 띤다. 동그란 통은 빗물을 받는 그릇으로 여기에 주척(周尺)이라 부르는 자가 있어 측우기에 고인 빗물의 깊이를 쟀다. 화강석 받침에 새겨진 글에는 조선 영조 46년(1770)에 만들었다는 기록이 있지만, 이 받침대는 원래 대구에 있던 것으로 측우대와는 별도의 것이다. 금영측우기는 1910년 당시 공주감영에 있던 것으로, 그 뒤 주척과 함께 일본 기상청으로 옮겨졌다가,1971년 3월에 반환되어 지금은 기상청에 보관되어 있다. 2006년 5월 금영측우기가 본래 있었던 공주에 금형측우기 모형을 제작하여 여기에 설치하였다. 2020년 2월 27일 국보 제329호로 지정되었다.
※ 금영(錦營) - 조선시대 충청도감영(忠淸道監營)을 달리 이르던 말
이용안내
문의및안내
041-840-8207
[네이버 지식백과] 선화당(공주) (대한민국 구석구석, 한국관광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