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3-6학년) "예술(미술)" 교육과정
1. 미술교육 성격
미술은 느낌과 생각을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다른 사람과 소통하고 자신과 세계를 이해하는 인간 활동으로서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미술은 그 시대의 문화를 기록하고 반영하기 때문에 우리는 미술 문화를 통해서 과거와 현재를 이해하고 나아가 문화의 창조와 발전에 공헌할 수 있다.
학교 교육에서의 미술은 바른 인성과 문화적인 소양을 갖춘 창의적 인재를 기를 수 있는 핵심 교과이다. 미술 활동을 통해 느낌과 생각을 표현하면서 자신의 감정을 이해하고, 시각 이미지를 매개로 소통하여 타인의 감정과 사고를 이해하고 공감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인성을 함양할 수 있다. 또한, 미술 활동을 통하여 인류의 정신적, 물질적 유산인 문화를 이해하고 그 중요성을 인식하여 문화 시민으로서의 소양을 길러줄 수 있다. 무엇보다도 미술 활동은 새로운 시각으로 작품을 창조하고 다양한 분야와 융합함으로써 미적 가치를 창출하는 능력을 길러줄 수 있다.
따라서 미술 교과에서는 미적 감수성, 시각적 소통 능력, 창의・융합 능력, 미술 문화 이해 능력, 자기 주도적 미술 학습 능력 등을 교과 역량으로 삼고 있다.
첫째, ‘미적 감수성’은 다양한 대상 및 현상에 대한 지각을 통해 자신의 느낌과 생각을 이해하고 표현하며 미적 경험에 반응하면서 미적 가치를 느끼고 내면화할 수 있는 능력이다.
둘째, ‘시각적 소통 능력’은 변화하는 시각 문화 속에서 이미지와 정보, 시각 매체를 이해하고 비판적으로 해석하며, 이를 활용한 미술 활동을 통해 소통할 수 있는 능력이다.
셋째, ‘창의・융합 능력’은 자신의 느낌과 생각을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창의적으로 표현하고 미술 활동 과정에 타 분야의 지식, 기술, 경험 등을 연계, 융합하여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는 능력이다.
넷째, ‘미술 문화 이해 능력’은 우리 미술 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정체성을 확립하고, 유연하고 개방적인 태도로 세계 미술 문화의 다원적 가치를 이해하고 존중하며 공동체의 발전에 참여할 수 있는 능력이다.
다섯째, ‘자기 주도적 미술 학습 능력’은 미술 활동에 자발적이고 주도적으로 참여하면서 자기를 계발・성찰하며, 그 과정에서 타인의 생각과 느낌을 이해하고 존중・배려하며 협력할 수 있는 능력이다.
미술 교과 내용은 체험, 표현, 감상 영역으로 구성된다. ‘체험’ 영역에서는 감각을 통해 자신과 주변 세계와의 관계를 이해하고 조화를 발견한다. 또한 시각 문화의 역할과 가치를 이해하고 참여하며, 미술과 타 분야를 관련지어 이해하는 한편 생활 속에서 미술을 활용하도록 한다. ‘표현’ 영역에서는 다양한 방식으로 주제나 아이디어를 탐색하고, 작품의 표현 방법과 제작 과정을 계획하며, 표현 과정에서 매체를 탐구하여 창의적으로 제작하도록 한다. ‘감상’ 영역에서는 미술 작품의 조형적 특징, 작가, 시대적・지역적 배경을 이해하고 해석하며, 다양한 비평 관점에 따라 작품을 판단 및 평가한다. 그리고 우리의 전통 미술과 다양한 미술 문화를 이해하고 존중하도록 한다.
초등학교에서는 미술 교과의 기초적인 개념 이해 및 기초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중점을 둔다. 3~4학년에서는 다양한 미술 활동에 흥미와 관심을 가지도록 하며, 5~6학년에서는 자발적인 참여를 통해 기초를 다지도록 한다.
2. 미술교육 목표
다양한 미술 활동을 통하여 대상을 감각적으로 인식하고, 느낌과 생각을 창의적으로 표현하며, 미술 작품의 가치를 판단함으로써 삶 속에서 미술 문화를 향유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가. 주변 세계를 미적으로 인식하고 시각적으로 소통하는 능력을 기른다.
나. 자기 주도적인 미술 활동을 통해 창의・융합적으로 사고하고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다. 미술 작품이 지닌 특징을 이해하고 비평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라. 미술을 생활화하며 문화의 다원적 가치를 존중하는 태도를 기른다.
초등학교 미술에서는 미술의 기초 능력을 함양하는 데 중점을 둔다.
(1) 자신과 주변 대상에서 미적 특징을 발견하고 소통하며, 미술을 생활과 관련지을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2) 주제를 다양한 방식으로 탐색하고 자유롭게 작품을 제작하는 능력을 기른다.
(3) 미술 작품의 특징과 배경을 탐색하고 이해하는 능력을 기른다.
(4) 미술 활동에 흥미와 관심을 가지고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태도를 기른다.
3. 내용체계
영역 | 핵심 개념 | 일반화된 지식 | 내용 요소 | 기능 |
3∼4학년 | 5∼6학년 |
체험 | 지각 | 감각을 통한 인식은 자신과 환경, 세계와의 관계를 깨닫는 바탕이 된다. | 자신의 감각 | 자신과 대상 | 감각 활용하기 탐색하기 반응하기 발견하기 나타내기 관련짓기 |
대상의 탐색 |
소통 | 이미지는 느낌과 생각을 전달하고 상호 작용하는 도구로서 시각 문화를 형성한다. |
| 이미지와 의미 |
연결 | 미술은 타 학습 영역, 다양한 분야와 연계되어 있고, 삶의 문제 해결에 활용된다. | 미술과 생활 | 미술과 타 교과 |
표현 | 발상 | 주제를 다양한 방식으로 탐색, 상상, 구상하는 것은 표현의 토대가 된다. | 다양한 주제 | 소재와 주제 | 관찰하기 상상하기 계획하기 방법 익히기 발전시키기 구체화하기 표현하기 |
상상과 관찰 | 발상 방법 |
제작 | 작품 제작은 주제나 아이디어에 적합한 조형 요소와 원리, 표현 재료와 용구, 방법, 매체 등을 계획하고 표현하며 성찰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 표현 계획 |
|
조형 요소 | 조형 원리 |
표현 재료와 용구 | 표현 방법 |
| 제작 발표 |
감상 | 이해 | 미술 작품은 시대와 지역의 배경을 반영하고 있어 미술 작품에 대한 이해는 시대적 변천, 맥락 등을 바탕으로 작품의 특징을 파악하는 활동으로 이루어진다. | 작품과 미술가 | 작품과 배경 | 이해하기 설명하기 비교하기 분석하기 존중하기 |
비평 | 미술 작품의 가치 판단은 다양한 관점과 방법을 활용한 비평 활동으로 이루어진다. | 작품에 대한 느낌과 생각 | 작품의 내용과 형식 |
감상 태도 | 감상 방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