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카누는 외날을 사용하여 한쪽 무릎을 꿇은 자세로 경주하며 카누의 영어 머리글자를 따서 C로 약칭한다. |
1편에서는 카누와 카약을 통틀어 ‘카누 경기’라고 불리는 올림픽 정식 종목 카누경기의 역사와 방식에 대해 알아보았다. 2편에서는 카누경기를 관람하기에 앞서 이해하기 쉽게 설명된 경기용어와 한국의 카누경기에 대해 알아보겠다.
카누 경기용어
데라파주(Drapage)는 강 하류에서 물살을 가로지르는 기술을 말한다.
뱅크 턴(Bank turn)은 카누를 안쪽으로 기울이며 안쪽 에지(edge)를 이용하여 회전하는 기술. 대부분의 경우에 초기에 카누를 회전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스위프(Sweep)는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노 젓기의 방법이다. 카누를 왼쪽으로 이동할 때는 카누의 오른쪽을, 오른쪽으로 이동할 때는 왼쪽으로 반원을 그리듯 한쪽만 젓는 방법이다.
스트로크(Stroke)는 노를 물속에 넣고 앞에서 뒤로 한 번 젓는 동작을 말한다.
슬라이딩 턴(Sliding turn)은 카누가 가라앉지 않으면서 특정한 방향 없이 회전하는 기술이다.
에스키모 롤(Eskimo roll)은 카누가 전복했을 때 카누를 탄 채로 노를 조작하여 180도나 360도 회전하여 물 위로 떠오르는 것을 말한다.
엑시트(Exit)는 입수한 노깃(blade)이 당기기(draw)를 거쳐 물 밖으로 빠져 나온 상태를 말한다. 엔트리-캐치-당기기-엑시트의 동작이 정확히 이루어져야 노를 젓는 스트로크 동작이 효율적이다.
엔트리(Entry)는 노깃(blade)이 물속으로 들어가 완전히 잠기는 상태를 말한다.
카빙 턴(Carving turn)은 카누의 에지를 이용해 회전할 때 속도를 내는 방법으로 속도를 유지하는 회전 기술이다. 에지를 밀어내면서 호(arc)를 통해 카누의 움직임을 유지하며 방향을 전환하는 동시에 앞으로 나아가는 기술을 말한다.
캐치(Catch)는 물이 튀지 않게 노로 물을 잡으며 전진하는 첫 번째 동작을 말한다.
텔레마크 턴(Telemark turn)은 강을 내려갈 때 급히 바위를 피하거나 깊고 얕은 수심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급각도로 회전하는 기술이다.
피벗 턴(Pivot turn)은 한 지점에서 카누를 재빠르게 방향을 전환하는 것으로, 좁은 지역에서 급류에 대해 정반대의 방향으로 회전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기술이다.
피치(Pitch)는 1분 동안 노를 젓는 횟수를 말한다.
![]() | ||
한국의 카누경기
한국에서는 1980년대에 카누가 경기 형태로 도입되었으며 1983년 대한카누협회가 설립되었다. 1983년 10월에는 제1회 체육부장관배 전국카누경기대회를 개최하여 본격적으로 한국에서 카누대회가 시작됐다.
1984년 6월 대한카누협회는 대한카누연맹으로 개칭하였으며 같은 해 10월 국제카누연맹의 정식 가맹국이 되었다.
국내에는 대한카누연맹 회장배 전국카누경기대회, 파로호배 전국카누경기대회, 국민체육진흥공단 이사장배 전국 카누 슬랄롬 및 용선 대회, 백마강배 전국카누경기 대회 등이 있다.
우리나라는 아직 국제경기에서 거둔 성적이 두드러지지 않지만 1900년 북경아시안게임에서 천인식 선수가 금메달 3개를 획득하는 등 발전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출처 : http://www.yachtpia.com/news/articleView.html?idxno=37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