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외상성 척수손상>Spinal Cord Injury
1-1. 정의 선천적인 문제로 발생하는 척수손상을 제외 자동차 사고, 총상, 낙상, 스포츠 활동 등의 외적인 힘이 척수에 가해져 손상 손상 부위 이하의 운동, 감각, 자율신경 기능이 일시적 또는 영구적 변화를 초래
1-2. 발생빈도 외상성 척수손상의 평균 나이 37.6세 - 16~30세에 주로 발생, 남성이 80% - 폭행과 스포츠 손상 : 젊은 연령, 낙상 : 노인 미국척수손상협회 분류 - 목 53.8%, 가슴 34.4%, 허리엉치 10% - C5>C4>C6>T12>C7>L1 - 불완전 팔다리마비 34.5%, 완전 하반신마비 23.1% 완전 팔다리마비 18.4%, 불완전 하반신마비 17.5% 최근, 불완전 병변 증가 추세(응급의학기술 발달, 빠른 응급 처리)
1-3. 원인 및 병인 간접적인 힘: 가장 빈번함, 머리와 몸통의 움직임에 의해 발생, 척수를 직접적으로 손상시키지 않고 주위 조직에 영향을 주어 이차적 신경손상 직접적인 힘 : 드믐
척수손상기전 - 굽힘: 교통사고 시 머리가 운전대 부딪히면서 발생, 척추뼈의 앞쪽이 골절, 뒤쪽 구조물은 찢김 손상 - 과폄: 뒤에서 추돌할 때 많이 발생, 뒤쪽 구조물 골절, 앞쪽 파열 - 압박: 낙하물이 떨어지거나 다이빙 같은 수직 압력, 파열골절 - 굽힘-돌림: 복합적 동작 C5~7, T12~L2 가장 손상이 많이 발생하는 부위
1-4. 분류 및 구분 팔다리마비(tetraplegia, quadriplegia) - 척수내 신경 구조물 손상으로 목분절의 운동과 감각 손상 또는 상실 - 몸통, 다리, 골반, 팔, 호흡근 기능 상실 하반신마비(paraplegia) - 척수내 신경 구조물 손상으로 등, 허리, 엉치의 운동과 감각의 손상 - 팔 기능 보존, 몸통, 다리, 골반의 기능 상실, 말총과 척수원뿔 손상 시에도 발생 ▣ 신경학적 수준에 따른 분류 척수 손상 환자의 운동과 감각의 손상 정도에 따라 분류 미국 척수 손상 협회의 국제적 표준(ISNCSCI)
(1) 신경학적 결정기준(neurological level) 몸의 왼쪽과 오른쪽 모두에서 정상적 운동과 감각 기능을 가지는 척수의 가장 아래쪽 분절 예) 운동수준 C7/C7, 감각 수준 C6/C6 -> 신경학적 결정 기준은?
(2) 운동수준(motor level) 신체 양쪽의 정상 운동 기능을 가지는 척수의 가장 아래쪽 분절 가장 아래쪽 분절의 핵심 근육의 근력 등급이 3이상, 그 위 분절의 등급이 5일 때 가장 아래쪽 근육의 분절 근절이 없는 부위는 감각수준과 같게 표시: C1~4, T2~L1, S2~S5
(3) 감각수준(sensory level) 양쪽 몸의 핵심 피부분절에 가벼운 촉각과 바늘통각 검사에서 정상으로 평가된 가장 아래쪽 분절 3점 척도 : 0(부재), 1(손상), 2(정상)
▣ 신경학적 손상 정도에 따른 분류 (1) 완전손상 가장 아래쪽 엉치분절(S4~5)에서 감각과 운동 기능이 상실된 상태 엉치척수 보존 검사(sacral sparing test) 양성반응: 척수의 불완전 손상 - 엄지발가가락 굽힘근의 능동 수축(S1) - 항문 주위의 자극(S2,3,4) - 항문 조임근의 수축(S2,3,4)
(2) 부분적 보존 지역(zone of partial preservation, ZPP) 완전 손상을 가진 척수손상 환자에서 신경학적 결정기준 아래쪽에 남아있는 감각과 운동기능의 영역
(3) 불완전 손상 S4~5에 감각과 운동 기능을 포함하여 신경학적 결정기준 아래쪽의 감각과 운동기능을 가지고 있는 상태 ▣ 불완전 척수손상 증후군 ★ (1) 중심척수증후군 목부위에 과폄 손상, 척주관의 선천적 또는 퇴행성 변화에 의해 좁아짐, 출혈과 부종이 발생 불완전척수증후군(50%), 외상성 척수손상환자(9%) 팔>다리, 운동>감각 엉치척수로의 보존으로 성기능과 대소변 기능이 정상적으로 유지 독립적 보행 가능
(2) 브라운–시쿼드 증후군 척수의 반쪽절단(hemisection), 총이나 칼로 인한 관통상, 비대칭성 마비, 전체 외상성 척수손상자의 2~4%에서 발생 병변의 같은쪽 - 뒤섬유기둥(뇌줄기 교차) 손상 : 고유수용성감각, 진동, 촉각(입체인지감각) 상실 - 겉질척수로(뇌줄기 교차) 손상 : 운동마비 병변의 반대쪽 - 척수시상로(척수에서 교차) 손상 : 통증, 온도 감각, 비분별적 촉각 상실 기능회복 예후 좋음(75% - 보행, 80% - 방광과 장 기능 회복)
(3) 앞척수증후군 목의 직접적 힘에 의한 굽힘 손상, 앞척수동맥의 혈액공급 장애로 발생 척수 앞쪽 2/3 손상, 뒤쪽 1/3정상 대칭성 마비양상, 외상성척수손상(2.7%) 겉질척수로 손상 : 손상 아래 양쪽 운동기능 상실 척수시상로 손상 : 손상 아래 양쪽 통증, 온도감각, 비분별적 촉각 상실 뒤섬유기둥 정상 : 고유수용감각, 진동, 촉각(입체인지감각) 정상 보행 어려움(다리 운동기능 결손)
(4) 뒤척수증후군 : 빈도가 아주 적음 뒤섬유기둥 손상 : 고유수용 감각, 진동, 촉각(입체인지감각 상실 겉질척수로 정상 : 운동 정상 척수시상로 정상 : 통증, 온도감각, 비분별적 촉각 정상 보행 어려움(고유수용감각 결손) (5) 말총증후군 첫번째 허리뼈 아래(L1~2) = 척수원뿔, 위 구조물 아래쪽 신경뿌리 손상 비교적 넓은 면적 형성하고 있어 불완전손상, 비대칭성 양상 다리의 근력약화와 위축, 무반사성 방광과 장, 안장부위 감각 소실 말초신경손상으로 재생가능성, 척수손상보다 예후가 좋음 ▣ 척수원뿔 증후군 척수원뿔(conus medullaris) : 첫번째 허리뼈 가장자리, 척수의 마지막 분절 위원뿔 손상 : 척수의 L4~S1, 손상 시 다리, 발등 아래쪽 부분 손상, 엉치분절은 정상적으로 유지, 망울해면체 반사와 배뇨반사는 잔존, UMN증상 척수원뿔 손상: S2~4 앞뿔 세포 손상으로 LMN 증상인 항문 조임근과 배뇨근 병변 초래, 방광과 항문 반사는 감소 또는 소실, 다리 근력 유지 - 작은 부분 차지해서 말총증후군에 비해 대칭적 손상을 초래하고, 회복 제한적
1-5. 임상양상 ▣ 일반적 임상증상 (1) 척수충격spinal shock 척수손상으로 척수 반사 활동이 손상부위 이하에 일시적으로 상실된 상태 고위중추와 척수 사이의 갑작스런 연결 상실로 인해 발생 24시간 이내에 회복, 1~3일 정도에서 반사가 돌아옴, 1~4주 정도 과반사 증가, 1~6개월 최종적 과반사 특징 - 손상 아래 이완성 마비 : 모든 운동 및 감각 기능상실 - 모든 반사 활동 상실 - 자율조정기능 상실로 저혈압과 땀분비 및 털세움 조절 능력의 상실 - 깊은힘줄반사, 망울해면체 반사, 고환올림근반사, 바빈스키반사 상실 - spinal shock 회복의 첫징후 : 망울해면체 반사 양성반응 -> 고환올림근반사 -> 정상발바닥반응 -> 다리의 깊은힘줄반사
(2) 운동과 감각 손상 손상부위 이하의 운동과 감각이 완전 손상이나 부분 손상
(3) 호흡기능 손상 C1~2: 가로막 신경과 자발적 호흡 능력을 상실, 인공호흡기나 가로막 신경 자극기를 통해 생명을 보존, 기도청결을 위한 보조가 요구됨 C3~4: 부분적인 가로막 신경의 지배와 목갈비근, 어깨 올림근, 등세모근의 도움, 초기에 기계적 환기장치의 지원 -> 회복기와 훈련 시 자발적 호흡 훈련 C5~8: 기침 능력 가능하나 약함 T10 이하: 정상에 가까운 환기와 호흡능력을 가짐 복부의 근육 조절은 T5~12에서 이루어져 복부내압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효율적 호흡이 이루어짐
(4) 경직(spasticity) 척수손상 환의 65%가 경직을 가짐, 목 수준 환자에서 더 많음 손상수준 아래쪽으로 척수충격 이후 서서히 나타남 -> 6개월 동안 증가 -> 1년 후 안정기 경직 증가요인: 자세변경, 피부자극, 온도, 꽉 조이는 옷, 방광 또는 콩팥의 돌, 대변 막힘, 요로감염, 욕창, 감정적 스트레스 적절한 경직: 기능활동 보조에 도움 강한 경직: 이동동작에서 균형 상실 및 낙상 유발하여 독립적 기능 저해
(5) 방광과 장 기능 장애 1) 방광의 생리적 기능 배뇨근(민무늬근)으로 구성된 주머니 - 가슴허리척수: 교감신경(배뇨근 이완, 속요도조임근 수축) - 엉치척수(S2~4): 부교감신경(배뇨근수축, 속요도근 이완), 배뇨 유발 - 대뇌겉질의 체성 신경: 바깥 요도조임근(가로무늬근)
소변 증가 시 방광벽 확장으로 장력 증가 -> 일정 수준의 방광내압 발생 -> 배뇨반사와 방광의 율동적 수축 -> 바깥요도조임근 이완 -> 배뇨
방광의 한계 용량: 400~450ml, 최대 용량 800ml
한계 용량 이상 저장을 위하여 상위중추의 수의적 조절이 필요함 - 촉진중추: 시상하부와 다리뇌 - 억제중추: 대뇌겉질(가장 중심 역할)과 중간뇌 ★정상 배뇨기전★ 방광은 원래 쭈글쭈글한 상태로 배뇨근에 싸여 있음-> 소변에 의해 팽창 - 신장에서 소변생성-> 방광에 소변 유입-> 방광자극, 배뇨근 팽창 -> 방광 이완-> 속, 바깥요도조임근 수축-> 소변 축적(300cc) -> 소변 배출 욕구-> 배뇨근자극, 배뇨근 수축-> 방광수축 -> 속, 바깥요도조임근 이완-> 소변 배출
※ 소변을 참아야 할 경우 바깥요도조임근 수축으로 (대뇌에서 조절) 소변을 참을 수 있다.
2) 방광 기능 장애 배뇨를 위한 척수조절은 S2~4 엉치 분절에서 이루어 짐
① 경직성 방광 = 과반사성 방광, 위운동신경세포 방광 · 척수원뿔과 엉치분절 위쪽의 손상 · 반사활 정상으로 반사적 수축가능, 배뇨근의 과반사로 과긴장 · 배뇨근 과긴장으로 소변 용적이 작아짐, 배뇨근과 조임근 사이의 협응이 감소함 · 반사적 비우기: 두덩위 영역이나 넙다리 부위 쓰다듬기(stroke), 문지르기(kneading), 톡톡치기(tapping), 아래배 쓰다듬기, 꼬집기(pinching), 털 당기기 · 방광 훈련 프로그램: 간헐적 도뇨법(intermittent catheterization), 규칙적, 예측 가능한 간격으로 방광 비우기
② 이완성 방광 = 무반사성 방광, 아래운동신경세포 방광 · 엉치분절 또는 척수원뿔의 손상 · 배뇨근의 반사적 활동 이 사라짐 · 비우기: 발살바 기법(복부내압 증가), 크레데 방법(아랫배에 수기 압력) · 방광 훈련: 시간제 배뇨 프로그램(timed voiding program), 잔뇨량과 실금 패턴을 확인하여 예측 가능한 간격으로 배뇨를 훈련함
3) 장기능 장애 - 척수 손상의 98%에서 문제를 가지고 34%에서 장 관리를 위한 보조적 수준이 요구됨 - 일상생활과 사회생활, 삶의 질에 영향을 많이 줌 ① 반사성 장: 척수의 S2위쪽 손상, 반사적 배변이 나타남, 손가락 자극기법과 좌약 ② 무반사성 장: S2~4 또는 말총신경 손상, 반사적 장 비우기를 하지 못함, 수기 비우기, 가벼운 발살바 기법
(6) 성기능 장애 신체적 + 정신적 영향을 미침
남성: 발기(UMN > LMN, 불완전 병변 > 완전 병변) - 반사성 발기: 생식기와 샅 부위의 외부적 자극, 정상적 반사활(S2~4)이 요구됨 - 심인성 발기: 성욕에 대한 상상과 인지적 활동, 대뇌겉질에서 정보가 가슴허리 또는 엉치척수 전달됨 - 사정능력: LMN손상, 하위수준의 척수손상, 불완전 손상↑
여성: - 반사적 반응: UMN 손상(질 윤활, 음순 충혈, 음핵 발기 등 성적 각성), LMN 손상(나타나지 않음) - 심인성 반응: UMN 손상(나타나지 않음), LMN 손상(나타남) - 월경: 1~3개월 후 정상 - 생식력과 임신가능, but c-sec
(7) 자율성 반사기능장애(Autonomic dysreflexia, AD) T6 이상의 SCI 환자, 병변 아래쪽 유해자극 발생 시 갑작스런 자율성 활동
유발자극 : 방광팽창, 욕창, 직장팽창, 요로결석, 방광감염, 신장기능부전, 요로와 방광의 과민, 주위 환경에서의 온도변화, 유해표피자극, 치료사에 의한 엉덩관절 수동신장 등으로 발생
발생기전: 유해자극-> 들신경-> 척수 전달-> 교감성 반응 유발-> 혈관 수축, 혈압상승(정상: 억제성 신호에 의해 혈관이 확장되고 혈압이 낮춰짐)
자율성 반사기능장애 증상: 고혈압, 느린맥, 두통, 병변 위쪽의 과다 땀분비, 경직 증가, 불안, 병변 아래쪽 혈관수축 및 털세움, 병변부위 위쪽 혈관확장 및 홍조, 동공수축, 코막힘
치료적 중재: 소변 카테터, 꼭 끼는 옷이나 복대 확인 후 자극요소 해결, 바로누운자세에서 앉은 자세로 변경 (8) 체온조절 손상 시상하부에서 피부혈류와 땀분비 조절 안됨(내부체온 조절 반응 상실) 떨림 상실, 열에 대한 혈관 확장과 냉에 대한 혈관 수축 상실 땀 분비 능력 결핍: 손상부위 위 level의 과도한 보상적 땀남(diaphoresis) 체온은 외부 환경에 많은 영향을 받음, 목 손상 > 가슴허리 손상
▣ 척수손상 수준별 기능 운동수준, 나이, 동반 병변, 사고 이전의 건강 상태, 이차적 합병증, 체형, 정신학적 상태 등에 의해 결정 환자의 수준별 기능은 치료의 목표와 결과에 의미가 있음
▣ 합병증 (1) 욕창pressure sores 지속적 압력과 전단력에 의해 피부 및 연부조직에 궤양이 생김
원인 : 감각기능 손상, 체위변환 능력상실, 완전손상, 팔다리 마비, 경직, 소변과 대변 실금, 영양결핍, 장기간의 고정, 담배, 불량한 피부 관리
발생부위: 뼈 돌출부(엉치뼈, 발뒤꿈치, 궁둥뼈, 큰돌기, 어깨뼈, 팔꿉, ASIS, 무릎), 치료 : 규칙적인 소독과 자세 변화
진행단계 - 1기: 정상피부, 지속적 표피의 홍반과 염증, 압력제거하면 원래상태 - 2기: 표피와 진피층까지 파괴, 피부손상(찰과상, 물집), 부종, 압력 완화되면 1~2주 회복 - 3기: 피부 및 피하지방 포함(근막 정상), 피부밑조직 괴사, 악취(삼출물), 부종, 괴사조직 관찰 괴사조직 제거하여야 하며, 회복 수개월 - 4기: 전층의 파괴, 근육, 인대 골격까지 손상, 근육, 뼈 힘줄, 관절 조직 괴사, 수술적 치료
치료원칙 - 압력감소: 2시간마다 체위변경, 30도 기울어진 자세, 욕창침대 - 피부관리: 따뜻한 물이나 세정제로 세척 - 감염관리: 드레싱을 교환 - 영양관리: 지속적 영양공급, 4000kcal 고칼로리, 150g 고단백질 제공 - 세척: 생리식염수 + 베타딘 or 과산화수소 희석 - 조기활동
(2) 깊은 정맥 혈전증(deep venous thrombosis; DVT) 다리운동마비-> 하지근육의 능동적 수축 상실-> 정상적 펌핑 작용 상실 -> 다리의 혈류 느려짐, 국소부위에 트롬빈 농도 증가로 혈전을 유발 -> 혈전의 색전화 -> 폐색전 유발 항응고성 약물치료(2~3개월 지속), 체위변경(압력제거), 수동관절운동, 탄력스타킹, 하지를 높게 위치(정맥혈 환류)
(3) 구축 관절 주위 구조물의 지속적인 단축으로 인해 기능과 운동의 제한 초기: 근조직 변화, 관절 주머니와 주위 조직의 비가역적 손상 원인: - 경직 - 이완에 의해 늘어난 상태 지속 - 능동적 근 기능 부족 - 침대와 휠체어에서의 나쁜 자세 - 적절한 조기 치료의 부재
(4) 딴곳 뼈되기Heterotopic ossification 손상아래의 연부조직에 비정상적인 뼈가 형성되는 것, 손상 후 1~4개월에 가장 많이 발생 원인: 혈류정체로 인한 조직의 저산소증, 비정상적 칼슘대사, 국소압력, 미세외상(과도한 ROM) 발생부위: 힘줄, 근육사이 결합조직, 널힘줄 조직, 근육의 말초부위(엉덩, 무릎관절 多) 초기증상: 종창, 관절가동범위 감소, 홍반, 관절 주위 국소 열감, 혈청 알칼리성 인산효소 증가, 방사선 음성 소견 후기 증상: 연부조직 종창 감소, 방사선 양성 소견 물리치료: 관절가동 범위 유지, 기형예방, 규칙적 운동과 약물치료
(5) 뼈엉성증: osteoporosis 칼슘대사의 이상으로 뼈흡수 능력이 뼈형성 능력보다 크게 나타나 뼈기질의 소실이 나타남, 고칼슘 농도로 결석이 형성 골반뼈, 넙다리뼈 관절융기 위, 넙다리뼈 목에서 생성 예방: 규칙적인 운동, 기립자세 유지 훈련, 전기치료, 약물치료
(6) 기립성 저혈압: orthostatic hypotension 환자가 일어나거나 앉거나 설 때, 급격한 혈압의 저하 교감신경계의 혈관수축 조절 능력이 상실, 말초정맥 울혈과 내장혈액 저류에 의해 심해짐 증상: 어지러움, 현훈, 기억상실, 실신, 다리부종 환자를 세울 때는 점진적, 천천히, 시간 서서히 조절 스타킹과 압박붕대, 복대 이용 1-6. 진단평가 ▣ 임상평가 (1) ASIA 손상척도(ASIA Scale)
(2) 운동과 감각기능 감각기능: 가벼운 촉각, 바늘 통각 0: 감각이 없는 상태, 1: 감각이 손상된 상태, 2: 감각이 정상인 상태 운동기능: 6점 척도
(3) 호흡기능 검사 관찰을 통하여 가로막과 갈비사이근의 근력을 평가(명치, 가슴벽 변화) 가슴 확장을 평가: 바로누운자세에서 줄자를 이용 (겨드랑이와 칼돌기 부위의 최대 들숨과 날숨의 차이값 측정) 호흡기능 검사: 폐활량계 사용
기능적 기침: 날숨 시에 큰 소리로 힘있는 기침을 할 수 있어 분비물 배출 약한 기능적 기침: 부드러운 기침, 작은 양의 분비물 배출 비기능적 기침: 기침을 할 수 없고 분비물 배출을 위해 보조기구 사용
(4) 피부상태 시진과 촉진으로 검사 욕창에 대한 관찰 필요 촉진 시 피부온도의 변화 확인-> 온도 상승 시 충혈반응 발적, 국소 열감, 국소 부종, 국소적 피부상처(과도한 압박), 찰과상과 타박상에 주의 기울여야 함
(5) 반사 깊은힘줄반사(DTR)
5) 반사 바빈스키 반사 호프만 징후
(6) 관절가동범위 어깨 : 정상범위 이상(기능적 활동) 넙다리뒤근 길이, 엉덩관절 폄, 발목 발등굽힘 정상범위(기능적 활동)
(7) 일상생활동작 척수 독립성 지수Ⅲ: 1997년 Catsz등에 의해 개발, 자조활동, 호흡과 조임근 조절, 이동으로 나뉨 (부록 1) 수정된 바델지수(MBI): 만성 질환 환자의 일상생활의 자립성 평가도구 기능적 독립측정(FIM): 입원 시, 퇴원 시, 퇴원 후 자료 수집하여 평가 - 신체영역(자기간호, 조임금, 옮기기, 가동성), 인지영역(의사소통 사회적 인지)
▣ 의학적 검사 (1) 방사선 검사 x선 촬영 골절, 뼈의 기형, 관절의 위치변화 손상 진단 시 유용함
(2) 특수영상 촬영 CT와 MRI
1-7. 중재 ▣ 운동치료 (1) 급성기 운동치료 : 환자의 안정성, 골절과 수술 부위의 치유 정도, 다른 손상 부위 상태, 불안정한 척추의 스트레스가 최소화 되도록
호흡관리: 환기기능 향상, 효율적 기침 능력 향상, 가슴긴장과 비효율적 호흡 패턴으로 변화를 예방 ① 심호흡운동: 가로막 호흡, 들숨과 날숨 동안 치료사가 복장뼈 아래쪽에 가벼운 저항을 적용함 ② 혀인두호흡운동: 입술, 인두의 근육, 혀를 이용하여 공기를 들이마시는 것, 작은 양의 공기를 들이 마시도록 반복적인 훈련, 6~10번 반복 ③ 공기이동연습: 최대로 공기를 들이마신 후 성대를 닫고, 가로막을 이완시킴, 과환기로 인해 어지러우면 휴식 필요 ④ 기침보조훈련: 자가보조 기침을 훈련, 치료사의 수기 보조에 의해 기침 유발시켜 분비물 제거, 치료사가 환자의 명치부위에 손을 얹고 안쪽과 위쪽 방향으로 빠르게 압력을 가하면 환자에게 기침을 유발시킴
관절가동범위 운동과 선택적 뻗침 운동 : 연부조직 구축예방, 혈액순환 증진, 근육의 탄력성 증가, 통증과 경직 감소 구축 발생 시 장시간 수동 뻗침을 해야 함(20~30분 동안 지속적 고정) - 팔다리 마비환자 앉은자세 유지 : 아래몸통근육의 단단함(몸통 안정성), 넙다리뒤근 SLR 100도 유지(앉아있는 자세와 옷입기 기능 활동) - 체중이동과 호흡관리, 침상이동 : 앞쪽가슴부 근육 뻗침상태 유지
근력강화운동 : 모든 근육에 대해 최대의 근력 강화 유지. 그러나, 급성기 단계 골절 부위 근력강화 주의
조기가동성운동 : 기립 자세 유지(침대, 리클라이닝 휠체어, 경사대 이용), 구르기, 누운 자세에서 앉기, 이동 기법
(2) 아급성기 운동치료 근력강화운동: 앞톱니근, 넓은등근, 큰가슴근, 돌림근띠 근육, 위팔세갈래근 (일주일에 2~4번 실시, 1회 최대중량의 60~80%로 8~12번, 2~3세트 반복), 아령, 풀리, 모래주머니. 탄력밴드 사용
심장혈관계 지구력 훈련: 유산소 능력 향상, 팔에르고메터, 휠체어 추진, 수영, 트레드밀(일주일에 3~5번, 최대 심박률의 50~80%, 20~60분 정도 실시)
▣ 물리적 인자치료 (1) 기능적 전기자극 : 근수축을 일으켜 기능적 동작 유발하는 전기치료기구 관절가동범위 유지, 증가, 근력강화, 자발적 움직임 촉진, 경직 억제, 보조기의 보조수단, 기립성 저혈압 예방 (2) 수치료 : 하버드탱크(5%의 식염수+2.5% 황화마그네슘, 36.6℃) - 괴저성 조직 세척, 치유자극, 동통 완화 바드라가즈링 방법, 할리윅, 왓츠, 아이치 방법
▣ 보조도구 적용 허리척수손상 : 넙다리네갈리근 사용 유무 - 무릎발목발보조기(KAFO): 서기와 걷기 - 발목발보조기(AFO)+보행기, 목발, 아래팔 목발, 지팡: 걷기
▣ 일상생활활동 훈련 (1) 침상이동 훈련 구르기: 침상 훈련의 시작, 침상 내 이동 촉진, 욕창 방지를 위한 자세변경을 위해 실시함 바로 누운자세에서 앉기: 도움없이 일어나 앉기 위해 실시함 앉은 자세 유지하기: 이동, 옷입기, 휠체어 훈련 같은 기능적 과제를 위해 실시함
(2) 이동 훈련 앉은 자세 균형 유지, 침상 및 바닥에서 휠체어, 휠체어에서 침상, 바닥, 자동차, 욕조, 화장실 등으로 이동
(3) 보행훈련 적절한 근력, 균형 능력, 자세 정렬, 관절가동범위, 심혈과 지구력 등 요소가 필요함, 손상 이전보다 6배의 에너지가 소비 됨
(3) 보행훈련 적절한 근력, 균형 능력, 자세 정렬, 관절가동범위, 심혈과 지구력 등 요소가 필요함, 손상 이전보다 6배의 에너지가 소비 됨
(4) 휠체어 훈련 전방이동, 후방이동, 돌기, 경사로 오르내리기, 휠리(wheelie), 울퉁불퉁한 지형 통과하기
1-8. 의학적 처치 및 관리 ▣ 응급처치 사고현장에서 시작, 즉각적인 고정, 이송, 처치가 환자 예후에 중요함 척추지지대, 전신 지지대, 목 칼라 심장, 혈액순환, 호흡상태 등의 안정 중요
▣ 골절부위 고정 헤일로, 가슴허리엉치보조기(TLSO)
▣ 수술 뼈의 정렬을 원상태로 회복, 부가적인 척수의 손상을 예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