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의 파일을 클릭하면 논문을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
우빠니샤드와 초기불교에서 업과 윤회 The Doctrine of Karma and Saṃsāra in Upaniṣads and Early Buddhism
불교학연구 2011, vol.29, pp. 7-44 (38 pages)
DOI : 10.21482/jbs.29..201108.7
UCI : G704-001018.2011.29..006
발행기관 : 불교학연구회
연구분야 : 인문학 > 불교학
이거룡 선문대학교 선문대 통합의학대학원 교수
목차
Ⅰ. 머리말
Ⅱ. 우빠니샤드에서 업과 윤회사상의 형성
Ⅲ. 초기불교에서 업설의 불교적 변용
Ⅳ. 윤회의 주체문제에 대한 우빠니샤드전통과 초기불교의 입장 비교
Ⅴ. 맺는말
초록
본 논문은 우빠니샤드(Upaniṣad)와 초기불교에서 업과 윤회의 이론이 형성되고 전개되는 과정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과정에서 논의의 초점은 우빠니샤드에서 형성된 업과 윤회의 이론이 어떻게 초기불교에서 변용(變容)되는가 하는 점이다. 특히 업과 윤회의 주체 문제가 논의의 초점이다. 우빠니샤드의 업설과 윤회설이 초기불교로 수용되면서 우빠니샤드전통과 불교 사이에 가장 중요한 논점은 윤회의 주체 문제였기 때문이다. 필요에 따라서는 우빠니샤드와 초기불교뿐만 아니라, 베단따(Vedānta)나 부파불교의 견해를 참고하였다. 윤회의 주체 문제에 대한 우빠니샤드전통과 초기불교의 입장은 다음 3가지 질문을 중심으로 비교 고찰하였다. 1) 초기불교는 윤회의 주체를 부정했는가? 그렇지 않다. 석가모니 붓다는 엄연히 윤회를 전제로 설법을 했으며, 초기불전에는 윤회의 주체를 인정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는 구절이 여럿 있다. 2) 윤회의 주체를 인정하는 입장은 무아설과 양립불가능한가? 그렇지 않다. 무상한 오온(五蘊)의 집합을 윤회의 당체로 간주하는 것은 무아설과 서로 모순되지 않는다. 미세신(微細身, sūkṣma-śarīra)을 윤회의 주체로 간주하는 우빠니샤드전통은 오온의 상속으로 윤회를 설명하는 불교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3) 아뜨만(Ātman, 我)을 인정하는 우빠니샤드전통은 윤회의 주체를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가? 윤회의 주체문제를 논리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는 두 전통 모두가 어려움을 안고 있다. 불교는 ‘새(鳥) 없는 비행(飛行)’을 설명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는 반면에, 우빠니샤드전통은 ‘날지 못하는 새의 비행’을 설명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키워드 ; 우빠니샤드 초기불교 업 윤회 오온 미세신
Upaniṣads, Early Buddhism, karma, saṃsāra,pañca,skhanda(the five groups of elements), sūkṣma-śarīra(subtle body)
피인용 횟수 ; KCI 8회
참고문헌(50)
2024년 이후 발행 논문의 참고문헌은 현재 구축 중입니다.
1. [기타자료] - / / 雜阿含經, 券3, 大正藏, 2
2. [기타자료] - / / 稻竿經, 大正藏, 16
3. [단행본] - 각묵스님 / 2006 / 디가니까야, 제2권 / 초기불전연구원
4. [단행본] - 전재성 / 2009 / 맛지마니까야, 전집: 개정판 / 한국빠알리성전협회
5. [단행본] - 각묵스님 / 2009 / 상윳따니까야, 제3권 / 초기불전연구원
6. [단행본] - 대림스님 / 2006 / 앙굿따라 니까야, 제1권 / 초기불전연구원
7. [단행본] - Asvaghosa’s Buddhacarita / 2004 / Complete Sanskrit Text with English Translation, ed / Motilal Banarsidass
8. [단행본] - / 1976 / Aṅguttara Nikāyai , vols. iii, v / PTS
9. [단행본] - Dhammapada / 1992 / The Dalai Lama Tibeto-Indological Studies Series vol. iv / Central Institute of Higher Tibetan Studies
10. [단행본] - / 1976 / Majjhima Nikāya , vol. iii / PTS
11. [단행본] - Radhakrishnan, S. / 1972 / Principal Upanisads / Georgr Allen and Unwin LTD
12. [단행본] - Radhakrishnan, S / 1976 / Bhagavadgita / George Allen and Unwin LTD
13. [단행본] - Satapatha-Brahmana / 2008 / Sanskrit Text with English Translation, Notes and Index, vols. i to iv / New Bharatiya Book Corporation
14. [단행본] - Śrī-bhāṣya of Ramanuja / 1962 / University of Poona Sanskrit and Prakrit Series, vol. 1 / University of Poona
15. [단행본] - 라다크리슈난, S. / 1999 / 인도철학사 4 / 한길사
16. [단행본] - 목정배 / 1985 / 불교교리사, 여래불교신서 4 / 도서출판 여래
17. [단행본] - 무르띠 / 1995 / 불교의 중심철학 / 경서원
18. [단행본] - 에드워드 콘즈 / 1995 / 인도불교사상사 / 민족사
19. [단행본] - 에띠엔 라모뜨 / 2006 / 인도불교사1 / 시공사
20. [단행본] - 윤호진 / 1992 / 무아 윤회문제의 연구 / 민족사
21. [단행본] - 일지 / 1991 / 붓다·.해석·실천 / 불일출판사
22. [단행본] - 카렌 암스트롱 / 2010 / 축의 시대 / 교양인
23. [학술대회논문] - 불교학연구회 / 2011 / 업(業)과 윤회 / 불기2555년 불교학연구회 춘계학술대회 발표자료집
24. [단행본] - 辻道四郞 / 1953 / ヴェ―ダとウパニツャシド / 創元社
25. [단행본] - Awasti, B.M. / 1933 / The Tattvatraya of Lokācārya / Ananda Printing Press
26. [단행본] - Deussen, Paul / 1987 / The System of the Vedanta / Chaukhamba Surbharati Prakashan
27. [단행본] - Eggelingk, Julius / 1897 / The Satapatha Brahmana / Clarendon Press
28. [단행본] - Gambhiradevan, Swami / 1983 / Brahma-sātra-bhaṣya of Śaṅkarācārya / Advaita Ashram
29. [단행본] - Goyal, S.R / 1987 / A History of Indian Buddhism / M/s Kusumanjali Book World
30. [단행본] - Griffith, Ralph T. H / 1986 / The hymns of the Rigveda / Motilal Banarsidass
31. [단행본] - Hastings, James / 1951 / Encyclopaedia of Religion and Ethics / Charles Scribner’s Sons
32. [단행본] - Hopkins, Edward Washburn / 1902 / Religions of India / Ginn & Co
33. [단행본] - Kapoor, Subodh / 2000 / The Hindus , vol. 3 / Cosmo Publications
34. [단행본] - Karmarkar, Raghunath Damodar / 1962 / Śrībhaṣya of Rāmānuja , Poona; University of Poona Sanskrit and Prakrit Series / University of Poona
35. [학술대회논문] - Kishan, Y / 1984 / Anātmavāda and the Doctrines of Karma, Punarbhava and Bhūmis / Fir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Buddhism and National Cultures
36. [단행본] - O’Flaherty / 1980 / Wendy Doniger, Hindu Myths / Penguin Books India
37. [단행본] - Radhakrishnan, S / 1993 / Indian Philosophy , vol.ⅰ / Oxford University Press
38. [단행본] - Seal, B. N / 1899 / Comparative Studies in Christianity and Vaisnavism / Hare Press
39. [단행본] - Sharma, Chandradhar / 1976 / A Critical Survey of Indian Philosophy / Motilal Banarsidass
40. [단행본] - Varma, V. P. / 1973 / Early Buddhism and Its Origins / Mushiram Manoharlal
41. [학술지(정기간행물)] - 김형준 / 2001 / 업(業, Karma)과 윤회(輪廻, Samsara)의 윤리적 타당성 / 철학탐구 13
42. [학술지(정기간행물)] - 김호성 / 1995 / 무아와 윤회의 양립 문제(정승석)를 읽고 / 인도철학 5
43. [학술지(정기간행물)] - 이거룡 / 1994 / 라마누자의 범재신론(汎在神論)에 있어서 신과 세계의 존재론적 연속성과 신의 유한화 문제 / 인도철학 4
44. [학술지(정기간행물)] - 이거룡 / 1995 / 업설과 은총의 양립문제 / 인도철학 5
45. [학술지(정기간행물)] - 임승택 / 2007 / 업(karma) 개념의 형성과 발달 과정에 대한 고찰 - 제식주의에서부터 초기불교까지 / 철학연구 103 : 150~180
46. [학술지(정기간행물)] - 정승석 / 1994 / 무아와 윤회의 양립문제 / 인도철학 4
47. [학술지(정기간행물)] - 정승석 / 1995 / 무아 윤회의 反불교적 예증 / 인도철학 5
48. [학술지(정기간행물)] - 정승석 / 1996 / 윤회관에서 微細身 개념의 전개 / 인도철학 6
49. [학술지(정기간행물)] - 황순일 / 2004 / 농사일의 비유를 통해본 초기부파불교의 행위(Karman)이론 / 석림 38
50. [학술지(정기간행물)] - 황순일 / 2009 / 아지비까(Ājīvika)를 중심으로 본 윤회와 행위이론의 인도적 기원 / 인도철학 26 (26) : 151~1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