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장十八章
(아주 먼 옛날이 지나고, 시대가 아래로 내려오자, 본래 무위無爲가) 큰 도(道; 自然·性·德·命)가 부서지게 되었고, (따라서 임금은 백성을 다스리는 데 있어서 그 도道를 일부러 일삼아 이름 지어 부른 바로서, 그 도道와 더불어 비슷한 바인) 인仁과 의義를 가지는 바가 있게 되었다. (따라서 임금의 일부러 일삼은) 지혜로움이 생겨나게 되었고, (따라서 백성은 일부러 일삼아 임금을) 크게 속이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게 되었다. (따라서 백성은) 부모와 자녀, 지아비와 지어미, 형과 아우가 (서로) 어우러지지 못하게 되었고, (따라서 임금은 백성을 다스리는 데 있어서 그 도道와 비슷한 바인) 효성스러움과 자애로움을 가지는 바가 있게 되었다. (따라서) 나라가 어지러워지고 어지러워지게 되었으며, (따라서 임금은 백성을 다스리는 데 있어서 그 도道와 비슷한 바인) 충성스러움과 신하다움을 가지는 바가 있게 되었다. (따라서) 송宋나라시대 왕안석王安石은 일컬었다. “(대도폐大道廢는 천하가 가지는 바가 있었던 본래 무위無爲가 큰) 도道가 어렴풋해지고 어슴푸레해지게 되었다(는 말)로서, 이른바 (천하가 본래 무위無爲가 큰 도道의) 모양과 모습을 가지는 바가 없게 되었다(는 뜻)이다. (유인의有仁義 유대위有大偽, 유효자有孝慈, 유충신有忠臣은 천하가 본래 저절로 그러한 바道·性·德·無爲·命를 일부러 일삼아 지어 부른) 이름(名; 有爲)이 생겨나게 되었다(는 말)로서, (천하가 본래 저절로 그러한 바의 모양과 모습을 가지는 바가) 부족해지게 되었다(는 뜻)이다.” (따라서) 이식재李息齋는 일컬었다. “(대도폐大道廢는 본래 무위無爲가 큰 도道가 천하 안에 모여 있지 못한 채, 천하 밖으로) 흩어져 버렸다(는 말)로서, 이른바 (아주 먼 옛날에서 시대가 아래로) 내려오자, 이른바 (본래 무위無爲가 큰 도道가) 아닌 바(非; 有爲)가 생겨나게 되었다는 뜻이다. (이른바, 아주 먼 옛날에서 시대가 아래로 내려오자, 천하가 무위無爲가 큰 도道를) 속인 채, (유위有爲에 대해) 뛰어나게 되었는데, 따라서 (임금은 일부러 일삼아 이름 지어 부른 인仁과 의義, 지혜로움, 효성스러움과 자애로움, 충성스러움과 신하다움으로써, 백성을 본래 무위無爲가 큰 도道로) 돌아가게 하고, (본래 무위無爲가 큰) 도道를 (다시) 귀하게 여기게 했다. 이른바, (아주 먼 옛날이 지나고, 시대가 아래로 내려오자, 본래 무위無爲가 큰 도道) 그것이 (천하 안에 모여 있지 못한 채, 천하 밖으로) 흩어지게 되었고, 따라서 (임금은 본래 무위無爲가 큰 도道를 일부러 일삼아 이름 지어 부른) 그 (본래 무위無爲가 큰 도道와 더불어) 비슷한 (인仁이나 의義와 같은) 바를 살피게 되었으며, 따라서 (임금은 그 비슷한 바로써, 백성의 마음이) 그 (유위有爲에 대해) 오롯한 바를 잊어버리도록 하게 되었다. 이른바, (아주 먼 옛날이 지나고, 시대가 아래로 내려오자) 그 (도道가) 사그라들게 되었고, 따라서 (백성의 마음이 그 도道를) 텅 비운 채, 남겨진 (바를 가지는) 바가 없게 되었으며, 따라서 (임금은 백성의 마음이) 그 (도道와 더불어) 비슷한 바를 귀하게 여기도록 하게 되었다. (이른바) 이것이 (아주 먼 옛날이 지나고, 시대가) 점점 (아래로) 내려오자, (임금이나 백성이) 점점 (그 도道와 더불어 비슷한 바의) 아래에 자리하게 된 까닭이다.
大道廢, 有仁義. 智慧出, 有大偽. 六親不和, 有孝慈. 國家昏亂, 有忠臣. 王介甫曰: 道隱, 於無形, 名生, 於不足. 李息齋曰: 道散, 則降, 而生非. 偽勝, 則反而貴道. 方其散, 則見其似, 而忘其全. 及其衰, 則蕩然無餘, 而貴其似. 此, 其所以每降, 而愈下也.
(이른바) 나무 술잔은 목수에 의해 (일부러 일삼아) 만들어지는 바이다. 따라서 나무는 (목수에 의해 일부러 일삼아) 산에서 베어지게 된다. 옹기 술병은 도공陶工에 의해 (일부러 일삼아) 만들어지는 바이다. 따라서 흙은 (도공에 의해 일부러 일삼아) 언덕에서 파헤쳐지게 된다. (이른바) 그 (나무 술잔과 옹기 술병이라는) 그릇은 이렇게 만들어진다. 그리고 이른바 따라서 (사람은 옹기 술병에 술을 담고, 나무 술잔에 술을 따라) 마시게 된다. (그러나) 하늘과 땅이 어우러지는 바(者; 道·德·自然·無爲·性·命)는 (나무와 흙을 일부러 일삼아 나무 술잔과 옹기 술병으로 만드는 일) 그것에서 (멀리) 떠나간다.
桮棬, 成於匠. 而木, 死於山. 罌粟盎, 成於陶. 而土, 死於丘. 其器, 是也. 而所以飲. 天地之和者, 去之也.
이른바, 흙과 나무는 따라서 (옹기 술병과 나무 술잔으로서의 이로움을 가지는 바가) 있게 되고, 따라서 (사람은 옹기 술병에 술을 담고, 나무 술잔에 술을 따라) 마시게 된다. 따라서 (흙과 나무의 옹기 술병과 나무 술잔으로서의 이로움이) 어찌 사람에게 자리하는 바였겠는가? 따라서 (흙과 나무의 옹기 술병과 나무 술잔으로서의 이로움이) 어찌 (하늘과 땅이 어우러지는 바인) 도道에게 자리하는 바였겠는가?
夫土木, 且有, 以飲. 而況於人乎? 而況於道乎?
따라서 (사람에게) 이로운 바(利; 有爲)가 (일부러 일삼아) 사물에게 자리하게 된다. 따라서 망가지는 바가 (일부러 일삼아) 사물에게 자리하게 된다. (망가지는 바) 그것을 일컬어 “(사물이 저절로 그러한 자신의 성性대로 오래 사는 바를) 오롯하게 지키지 못하게 되는 일”이라 한다. (따라서 사람에게) 좋은 바(善; 有爲)가 (일부러 일삼아) 사물에게 자리하게 된다. 따라서 어그러지는 바가 (일부러 일삼아) 사물에게 자리하게 된다. (어그러지는 바) 그것을 일컬어 “(사물이 저절로 그러한 자신의 명命대로 오래 보여지는 바를) 숨김없이 드러나지 못하게 되는 일”이라 한다.
故利, 在物. 而害在己. 謂之不全. 善, 在己. 而敗, 在物. 謂之不公.
첫댓글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모두 저의 부족함 탓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