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건강기능식품의 현황과 미래
서 권 일
(동아대학교 생명공학과)
1. 연구의 필요성
1) 고령화 사회 진입 및 치매환자 증가
- 최근 의료기술의 발달에 따라 평균수명이 대폭 연
장되었으며 세계적으로 고령화 사회로 진입함으로
인해 노인인구 및 치매질환 환자가 꾸준히 증가하
고 있는 추세이다.
2) 치매 치료제 개발 동향
- 가장 대표적인 치매로 알츠하이머병을 들 수 있으나 현재 알츠하이머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약물은 개발되지 않은 상태로 미국 제약협회에 따르면, 미국에서 개발에 따른 시간과 비용은
약 15-20년 및 10억 달러 이상이 필요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 이들 약물의 지속적인 복용은 다양한 인체 부작용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현재 판
매되고 있는 약물은 완벽한 치료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에 부작용이 거의 없는 건강기
능식품을 장기 복용하여 치매예방 및 증세를 완화하고자 하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국내 시판 퇴행성 뇌질환 치료제
성분명 제품명 판매회사
Donepezil hydrochloride 아리셉트 한국에자이
Galanthamine hydrobromide 레미닐 한국얀센
Rivastigmine 엑셀론 노바티스
Tacrine hydrochloride 코그넥스 제일약품
치매치료(중추신경계) 대표약물
신경장애
약물 대표상품
알츠하이머질환
치료제
Aricept, Reminyl/Razadyne
Namenda, Ebixa, Axura
파킨슨질환
치료제
Madopar, Sinemet
Mirapex, Cabser/Dostinex
Comtan, Stalevo
3) 건강기능식품 소비동향
- 전 세계적으로 합성 원료에 대한 기피심리로 인해 천연물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연
령대, 성별, 질병상황에 맞는 맞춤형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세계 건강기능식품 시장규모
구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e) 2014년(e) 2015년(e) 2020년(e)
규모(억 달러) 803 846 902 961 1,034 1,100 1,179 1,677
- 7 -
- 최근 개별인정형 건강기능식품이 92%의 성장률로 매출액 순위로 2위에 진입하였으며, 앞으로
도 더욱 많은 개별인정형 건강기능식품 연구 개발이 이루어 질 것으로 예상된다.
건강기능식품 매출액 품목 현황 (2015)
순위 품목명 매출액 (천 원)
1 홍삼 694,290,522
2 개별인정제품 319,537,001
3 비타민 및 무기질 207,866,125
4 프로바이오틱스 157,871,787
5 밀크씨슬 추출물 70,518,958
ː ː ː
16 녹차추출물 (기억력 개선 건강기능식품) 12,072,461
- 현재 치매환자의 진료비는 타 질
환에 비해 상당히 높은 편이지만
기억력 개선(인지기능개선) 관련
건강기능식품의 판매량은 매우 저
조한 실정이다.
- 기억력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개별인정형 원료로는 구기자추출물, 녹차추출물/테아닌 복
합물, 인삼가시오갈피 등 혼합 추출물, 비파엽추출물, 천마 등 복합 추출물, EPA 및 DHA 함
유 유지, 원지추출분말, 은행잎추출물, 테이난등 복합 추출물, 피브로인 효소 가수분해물, 홍삼
농축액, 당귀추출복합물이 등록되어 있으나 대부분 캡슐형 영양제 제품으로 다양한 형태의 식
품가공과 효능이 더욱 뛰어난 소재의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꾸준히 요구된다.
2. 연구목표
- 치매예방을 위한 천연물 복합소재 이용 건강기능식품 개발
- 8 -
3. 연구추진방법
4. 기대효과
1) 경제적 측면
- 근원적 치료제가 개발되지 않은 상황에서 퇴행성 뇌질환의 미래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예상되
는 건강기능식품 개발을 통해 국내경제 활성 및 수출증진 효과를 창출할 것으로 예상된다.
2) 사회적 측면
- 점차 확대되는 고령화 사회에서 국가적 의료 손실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3) 학술적 측면
- 치열해지는 R&D 특허경쟁에서 국내 천연자원의 부가가치를 향상시키고 치매 예방 및 치료와
관련된 새로운 연구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