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통일한국 원로원 (대재앙을 넘는 사람들) 원문보기 글쓴이: eodlfrhkd
< 한국의 선도 역사 >
동이족 선도의 시작은 환인(桓因)이라고 볼 수 있다.
조여적(趙汝籍; 조선 명종 때의 인물)이 쓴 책, "청학집"(靑鶴集)에 보면,
"환인"은, "동방(東方) 선파(仙派)"의 종조라고 나와 있다.
그렇다면, 환인은, 누구에게서, "선도"를 배웠는가 하면,
그것 역시, "변지수"라는 인물이 기술한, "기수사문록"(記壽四聞錄)에 나와 있다.
그 책에 의하면, "명유"(明由)에게서, 선도를 배웠다고 나온다.
명유는, 상고의 선인인, "광성자"(廣成子)에게서, 선도를, 전수받은 인물이다.
따라서, 광성자라는, 신화적 인물이, 선도를, 인간세계에 전한, 최초의 인물이며,
그가, 명유와 황제에게, 도를 전하여, 명유는, 환인에게 전하여, 동방선파의 종조가 되게 했고,
황제는, 한족, 즉, 중원선파의 종조가 되는, 황제내경의 저술자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여하튼, 환인은, 그 아들, 환웅에게 전했고,
환웅은, 계속, 그 아들과 자손들에게, 선도를, 전해 내려오다가,
드디어, 단군 한배검에게, 그 맥이, 이어졌다고 볼 수 있다.
그리하여, 삼국유사에 따르면, 중국의 유불선이, 들어오기 이전에,
이미, 고조선에서는, 선도가, 중심사상이 되어, 사회의 기본이념으로, 자리잡고 있었음을, 볼 수 있다.
그리하여, 단군의 선도는, 아사달 산에서 살고 있던, "문박씨"(文朴氏)에게, 이어졌다는 사실이,
"이능화"(李能和)의 "조선도교사"라는, 서적에 나오고 있다.
후일, 문박씨의 선도는,
보덕(普德), 을밀(乙密), 영랑(永郞), 안류(安留), 단옥(丹玉), 벽옥(碧玉), 대란(大蘭), 소란(小蘭), 구상(九尙),
무골(武骨), 묵거(黙居), 재사(再思) 등에게 전달되어 이어졌다고 되어있다.
어쨌든, 한국은, 고대로부터, 중원의 한족에게는, 선도의 본거지처럼, 여겨져 왔다.
산해경(山海經)에도, 고조선의 옛 이름인, 발해가, 선인국(仙人國)으로 표현되어지며,
이는, 열자(列子)에서도, 같은 표현으로, 기록되어 있다.
어쨌든, 한국 선도의 시조는, 환인이며,
중국 선도의 시조는, "황제"와 "노자" 이다.
따라서, 중국선도는, 황노교(黃老敎)라고도 불렸는데,
그 초기에는, 수련보다는, 의식과 주술의 결과인, 단약을 복용함으로써, 장생불사를 추구하였다.
이에 반해, 한국의 선도는, 초기부터, 의식과 주술보다는,
오직, 수련만을, 주축으로 삼는, 전통이 이어졌다.
다시 말하자면, 광성자가, 황제에게 전한 것은, 의학과 의식이라면,
명유에게 전한 것은, 실수련법이었다고, 유추할 수 있겠다.
그런데, 사실상, 광성자란 인물은, 신화적인 인물로서, 중국인들이,
자신들의 선도에 정통성을 부여하기 위해 후대에 만들어진 인물일 수가 있다고도 볼 수 있는데
본래는 한(漢)족의 전통에는 선도사상이 없었다고 말하는 사람이 있다.
중국상대 문헌에는, 신선설이 없으며, 십삼경(十三經)과 노자에도 없고,
춘추시대까지도, 나타나지 않는다.
장자(莊子)에 와서야, 비로소, 선인(仙人)이라든지, 신인(神人)설 같은 것이, 나오기 시작하는데,
이는 전국시대에 해당된다고 말한다.
한편 은족동이설(殷族東夷說)이란 주장은
학계에서 무척 설득력 있는 주장으로 대두되고 있다.
그것은 세계 4대 문명 발상지 중의 하나인 황하문명이 바로 은족에 의해서 이룩된 것인데
이 은족은 바로 동이족이라는 사실이다.
중국학자의 ‘중국민족사’에 나오는 주장을 보아도 맹자는 순임금이 동이족이라고 말했다고 한다.
사실상 현대에 와서도 중국인들에게는 순임금을 은족의 조상이라고 보고 있으며
은족은 동이족으로서 동방에서 일어났지만
은이 멸망한 후 기자는 동쪽으로 가서 기자조선을 세웠다고 한다.
또 한편의 일화에 의하면
노자에게 선도를 전수한 황제(黃帝)는 백민(白民)에서 태어났고 동이(東夷)에 속한 사람이라고 하며,
또한 백두산(白頭山)의 다른 이름인 대풍산(大風山) 삼청궁(三靑宮)에서
자부선인(紫府仙人)으로부터 선도를 전수받았다고 했다.
그런데 환단고기(桓檀古記)에 따르면
자부선인은 발귀리(發貴理)의 후손이며 발귀리는 환웅(桓雄)시대의 선인(仙人)이었다고 한다.
이런 정황으로 보아서 결국 중국의 신선도는 동이족의 선도와,
이 선도에서 유래되어 그들의 노장(老壯)철학을 낳았고
결국 그들의 도교가 된 것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한편 단군신화 역시 그 주제가 선도수련에 해당된다.
범인(凡人)인 웅녀가 쑥과 마늘만으로 동굴에서 100일간 정진 수행하는 것은
당시에 불교가 없는 이상 선도수련의 그것이라고 말할 수 있는 것이다.
마침내 웅녀는 단을 이루어 선녀(仙女)가 되었고
선인이자 천인인 환웅과 결합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단군 역시 1048년 간 통치 후에 아사달(阿斯達)에 가서 신선(神仙)이 되었으며
고구려의 동명왕도 19년 간의 재임 후 천선(天仙)으로 화했다는 기록이 있다.
건국의 시조가 사명을 마친 뒤에 선거(仙去)하는 건국설화를 한족뿐만 아니라
다른 어느 민족에서도 찾아보기 어렵다.
이러한 선도의 전통은 삼국시대에도 그대로 전승되어
고구려에서는 ‘선인도(仙人道)’라는 이름으로 널리 성행했으며
종교적 무사 계급을 ‘조의선인(皁衣仙人)’이라 불렀다.
또한 옥저(沃沮)의 두 왕녀 단옥(丹玉)과 벽옥(碧玉)에 대한 이야기와
기자(箕子)의 부인이었던 대란(大蘭)과 소란(小蘭)에 관한 이야기 등
사선녀(四仙女)의 전설도 조선후기 이의백(李宜白)의 오계집(梧溪集)에 나온다.
그런 차에 고구려 때 중국으로부터
오두미(五斗米)도라는 도교가 들어왔지만 별 무리 없이 기존의 선도문화와 잘 어울렸다.
중국의 도교와 조선의 선도 수련이 아무런 마찰 없이 잘 혼합될 수 있었던 것은
역시 선도의 전통이 이미 조선에 있었던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고구려가 멸망한 뒤에 생긴 발해 역시
고구려의 도맥을 계승하여 천신교(天神敎)라는 이름의 선도가 널리 성행했다.
또한 발해국지(渤海國誌)에 보면
발해에서 당나라 무종(武宗)에게 보물궤를 보내왔는데 그 속에 선서(仙書)가 가득 들어있었으며
또 중국의 장건장(張建章)이라는 사람이 발해의 대도(大島)에서 대여선(大女仙)을 만났다는 일화도 전해지고 있다.
신라 역시 고구려 못지 않은 선도국(仙道國)이었다.
삼국사기에 보면 최치원이 화랑도(花郞道)에 대해 난랑비(鸞郞碑) 서문에 다음과 같이 쓴 것이 나온다.
“우리나라에는 현묘한 도가 있으니 이를 풍류(風流)라 한다.
이 가르침을 설치한 근원은 이미 선사(先史)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거니와
그것은 실로 유불선 삼교를 포함한 것으로서 모든 생명과 접하여 이들을 감화하였다.”
*** 한국의 선도 역사 2 ***
이는, 이미, "화랑도"가, 전통 선도의 맥을, 잇고 있음을 나타내는데,
신라의 유명한 사선(四仙)인, "영랑"(永郞), "술랑"(述郞), "남랑"(南郞), "안상"(安詳) 중에서,
금강산에서 수도한, 당시의 유명한 신선인, "영랑"의 도맥이 이어져, 제도화된 것이다.
그리고, 초대의 화랑은, "설원랑"(薛原郞)이었는데,
그는, 왕과 대신들로부터, 국선(國仙)의 대접을 받았다.
또한, 화랑 출신의 유명한 선인, "물계자"(物稽子)는,
자신의 제자들에게, "조식법", 즉, "단전호흡"을, 가르쳤음이 알려졌다.
또한, "백결"(百結)선생이나, "우륵"(于勒)같은, 음악가들 역시, 선가(仙家) 출신이었으며,
"만파식적"의 설화 역시, 선가(仙家) 전통의 음악임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통일신라 이후에는, 불교가, 매우 융성해서,
선가는, 불가에, 흡수되는 양상이었는데, 보통, 많은 사서(史書)에 기록된, 승(僧)은,
일부는, 선도의 수행인인 선인(仙人)으로, 이해해야 타당할 것이다.
"원효대사" 역시, 화랑 출신으로, 물계자 계통의, "풍류도"를 닦은 후에, 불문에 입문했다.
"의상" 역시, 선도에, 조예가 깊어, "도가"에서는, 자혜(慈惠)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는데,
그는, 당나라에 가서, 김가기, 최승우, 최치원 등과 더불어,
"전진도"의 "북오조" 중, 가장 큰 스승인, 정양제군 "종리권"에게, 선도를 배웠다.
그 중에서, 김가기(金可紀)는, 중국의 조정대신들 앞에서, 백일승천 하여,
"우화등선 16선" 중의 하나로 꼽히며, 그의 이야기는, 당나라 때의 선사(仙史)자료인, 속선전(續仙傳)에 나와 있다.
그리고, 승려이며, 풍수학의 대가인, "도선"(道詵)국사 역시,
물계자 계통의 선도 수련인으로, 도가쪽 이름은, "옥룡자"(玉龍子)였음이 밝혀졌다.
이들, 선도의 수련인들이, 불교도로, 그 모습을 바꾼 이유는,
화랑출신에 대한, 탄압정책이, 표면화되면서부터였다.
그러나, 물계자로부터, 대세(大世), 구염(仇染)으로 이어지는, 선도의 맥을 이어받아,
선도를, 크게 꽃피운 사람은, 다름 아닌, "최치원"이다.
또한, 그는, 천부경을, 한문으로 번역하여, 후대에 전했다.
그는, 중국 유학 중에, 종리권을 만나, 전수받은 도가의 수련법과,
고유한, 우리의 선도를 합해서, "한국선도"를 정립하고, 그 비조가 되었다.
한편, 고려 때에는, 국선(國仙)의 경신행사(敬神行事)인, 팔관회가 행해지면서,
그 주관자를, 선가(仙家)라고 불렀는데, 이는, "화랑의 유풍"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북송에서 파견된, 중국의 도사들에 의해, 중국도교가, 왕실에 전해졌다.
당시, 궁궐에는, 도교의 사찰인, 도관이, 설립되었는데,
"복원궁"(福源宮)이 바로 그것이다.
예종 12년에, 처음 설립된 복원궁은, 왕실의 안녕과, 복을 비는 행사를 주관하고,
동시에,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 업무를 관장했다.
그 후로, 도사란 직위명으로, 10 여 만 명을, 득도시킨 것과,
송나라에, 도사를 파견하였으며, 전국 도교의 총림과 같은 역할을 하면서,
민간신앙을, 하나의 제도적 종교로까지 발전시켜,
조선이, 건국되기까지, 270여 년 간, 고려 왕실번창의, 신앙적 기반이 되었다.
고려시대, 선도의 주요인물들로는,
곽여(郭輿), 이명(李茗), 최언당(崔言黨), 한유한(韓惟漢), 한식(韓湜), 강감찬(姜邯贊), 명법(明法), 권진인(權眞人)
등을 들 수 있는데, 모두, 최치원의 도맥을, 이어받은 사람들이다.
한편, 조선조에 와서, 복원궁의 뒤를 이은, "소격서"(昭格署)는,
그 행사의 규모가, 줄어들기는 했지만, 조광조에 의해, 사라질 때까지,
왕실의 번영을, 도교적 입장에서 기원하는, 대표적인 도관 노릇을 했다.
특히, "마니산"에서 열리는, 초제(醮祭)는, 국가적인 제천행사로서, 단군의 전설을, 계승하는 것이었다.
조선 중기 이후, 성리학을, 정치이념으로, 내세우는 유림들에 의해,
결국, 조선의 제도권적 도교의 본산지는, 사라지게 되었지만,
재야지식인들에게, 관심을 불러일으켜, 그 맥이, 전수되어졌다.
조선 중기 이후의 선도는, 개인의 은둔적 수련을, 위주로 하여,
풍수지리설과 산신사상 등과 함께, 민속 선도로, 숨어들면서, 민중에, 널리 성행하게 되었다.
한국의 선도 역사에 대한, 문헌적 기록은, 그리 많지 않지만, 대표적인, 세 가지 도교역사서가 있다.
그것을 소개하면,
"한무외"(韓無畏; 1517- 1610)가, 광해군 2년에 지은, "해동전도록"(海東傳道錄)과,
"홍만종"(洪萬宗; 1645-1725)이 지은, "해동이적"(海東異蹟),
그리고, "조여적"(趙汝籍)의 "청학집"(靑鶴集) 이다.
그렇다면, 해동전도록은, 어떤 책인가?
이 책은, 현존하는, 최초의 한국 선도의 계보(系譜)를 서술한 책이다.
이 책은, 지은이가, "한무외"지만, 이 책을, 세상에 전파한 사람은, "이식"(李植; 1584-1647)이다.
이 책의 내용은, 김가기(金可紀), 최승우(崔承祐), 자혜(慈惠; 義相대사)의 일화,
그리고, 도교가, 전파된 경로, 각각의 수련기 등이, 적혀있으며,
각종 도법, 비결, 도장경의 전래와 함께, "최치원"을, 동방 선파의 비조로 삼아, 기술하였다.
"해동이적"에 관하여서는, 홍만종이, 기술한 책으로서,
한국 선도의 특성을, 잘 보여준 책이데, 한국의 선도 역사에서, 크게, 이적을 남긴,
20인 중에, 9명을 뽑았다.
그 이름을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권진인(權眞人), 남궁두(南宮斗), 김시습(金時習), 홍유손(洪裕孫), 남주(南珠), 정렴(鄭𥖝), 전우치(田禹治), 권극중(權克中) 등이다.
이 책은, 조선의 고유한, 선도적 입장에서, 조선 선인들의 전기를, 집대성한 전기류인데,
특히, 선도수련의 경전을, 수록해 놓았다.
그 목록은 다음과 같다.
음부경(陰符經)
용호경(龍虎經)
참동계(參同契)
황정경(黃庭經)
최공입약경(崔公入藥經)
동고경(洞古經)
정관경(定觀經)
대통경(大通經)
청정경(淸靜經)
끝으로, "조여적"의 "청학집"은,
은둔생활을 하던, 선인들의 행적을, 모아놓은 것인데, "도참사상"이나, 민간설화를 신봉하고,
명청의 교체를, 예언했으며, 조선왕조의 몰락을, 내다보았다.
그리고, 이외에도, 선도와 관련하여, 각종 비기(秘記), 참서(讖書)등이, 유행했는데,
정감록(鄭鑑錄)과 토정비결(土亭秘訣)이 대표적인 것이다.
또한, 홍길동전(洪吉童傳)이나, 전우치전(田禹治傳), 구운몽(九雲夢), 박씨전(朴氏傳)등의 소설은,
민간에 유포된, 선도사상을, 잘 대변해주고 있다.
한편, 이능화의 "조선 도교사"는,
우리나라의 도교사 전반에 관한 자료들을, 모두 수집해놓았으므로,
우리의 선도역사를 연구하는데 있어서, 그 공헌도는, 절대적이라고 할 만큼 매우 크다.
본래는, 한문으로, 서술되었으나,
이종은(李鍾殷)이, 우리말로, 번역해놓았기 때문에, 일반인 독자들도, 쉽게 읽을 수 있다.
조선의 선도역사에서, "최치원"이, "해동선도"의 비조라고 불린다면,
김시습은, 해동선도 최전성기의 중심인물이라고 할 수 있다.
김시습은, 유불선을, 자유로이 넘나들 만큼, 유불선 모두에, 달통해 있었고,
유생에서 시작하여, 다음은 불교, 그리고 말년에 가서는, 선도에, 깊은 통달을 보여주었다.
김시습처럼, 유불선을, 자유로이, 넘나든 사람으로서, "서산대사" 가 있다.
서산대사의 제자인, 사명당 역시,
그의 일본에서의 행적을 보아도, 역시, 선도를 수련한 흔적이, 역력하게 보인다.
특히, 김시습은, 그가 죽었을 때, 자신의 시신을, 항아리에 넣어서 봉한 뒤,
3년 뒤에 열어보라는 유언을, 자신의 제자들에게 남겼는데, 3년 뒤, 어느 절에서, 제자들과 승려들이,
그의 유언에 따라, 항아리를 열어보니, 생시와 똑같은 모습으로, 있는 것을 보고, 매우 놀랐다고 하는 일화도 있다.
이런 일들은, 현대에서도, 티베트의 고승들에게, 일어나는 일이다.
한편, 그의 저서, 매월당집(梅月堂集)에서, 심호흡에 의한, 다양한 자세와,
정신통일 방법, 신체단련방법 등을 설명하고 있다.
그의 이러한 문장들은, 당시에, 일반인들이, 도무지, 이해를 하지 못했지만,
그 후에, 북창 정렴(1506~1549)만이, 제대로 이해하였다.
그는, 선도에 대한 연구가 깊었으며, 그의 행적이, 모두, 이적(異蹟)투성이어서,
이미, 살아있을 당시에도, 이인(異人)으로 여겨졌다.
그는, 김시습의 "용호론"(龍虎論)을, 체계적으로, 설명하고, 정리하여,
"용호비결"(龍虎秘訣)이라는, 선도수련의 지침서를 저술했는데,
그 수련방법이, 자세하고, 쉽게 풀어졌기에, 일반인들도, 읽고서, 수행할 수 있을 정도였다.
북창(北窓) 정렴 이후로, 신선사상을, 이론적으로 정비하려는, 지식인들의 운동이 있었는데,
그 인물들과 저서를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정렴(1506-1549) : 용호비결(龍虎秘訣)
한 무외(1517-1610) : 해동전도록(海東傳道錄)
곽재우(1552-1617) : 양심요결(養心要訣)
조여적(1520-1611) : 청학집(靑鶴集)
권극중(1585-1659) : 참동계증해(參同契證解)
홍만종(1645-1725) : 해동이적(海東異蹟)
순양자(純陽子; 선조) : 중보 해동이적
서명응(1716-1787) : 도덕지귀론(道德之歸論)
홍석주(1774-1842) : 정노(訂老)
강현규(1797-1860) : 참동계연설(參同契演說)
작자미상 : 직지경(直指鏡), 중묘문(衆妙門)
*** 한국의 선도역사 -3 ***
한편, 해동의 주자(朱子)로까지 불리는, 거유 이퇴계(1501~1570)는,
중국의 주권(朱權)이 지은, 도가류의 의학서인, 활인심(活人心)을, 상세히, 복사하고, 연구하여,
그 중에, 어려운 부분은, 한글로 표기해, "활인심방"(活人心方)이란 제목의 책을 발간했다.
여기에는, "단전호흡"의 여러 자세가 있고,
또 도인법(導引法)이라는 체조의 방법들이 자세하게 묘사되어 있다.
도교에 배타적이었던 이퇴계가 유교에서 거부하는 수련도교를 스스로 실천하고 양생법을 강의하고 제자들에게 권했다는 것은 놀라움을 금치 못할 사건인데 이는 그만큼 조선 중기의 지식인들에게 수련도교가 널리 퍼져있었다는 증거가 된다.
유학에서 퇴계와 쌍벽을 이루는 이율곡(1536~1584) 역시 도교의 양생론에 관심을 갖고 있었으며 순언(純言)이라는 글을 지어 제자들에게 선도수련을 권장하기도 했다. 한편 주기론(主氣論)을 주장한 서화담은 단순한 관심의 차원에서 벗어나 김시습으로부터 직접 선도를 배운 사실이 있다. 그는 그 때문에 일생을 은거하며 수련하여 선도의 높은 경지에 이르렀다. 그는 선도이론에 대한 책을 남기지는 않았지만 자신의 수련에 대하여 시 한 수를 남겨 놓았다.
“내 몸에는 연(鉛)과 홍(汞)의 약재가 있으니 수(水)와 화(火)를 조정하여 성태(成胎)를 맺는다. 혼돈하기에 앞서 도모(道母)를 만나고 혼연한 중에 영아(嬰兒)를 얻었네. 아홉 번 굽는 솥이 은근히 돌아가고 삼십육 동천이 차례로 열리네. 내가 바로 옥경의 진일자(眞一子)이니 아무도 이 도사가 여동빈임을 모르네.”
이리하여 조선조 선도의 맥은 김시습을 필두로 이혜손(李惠孫)과 그의 제자 청학상인(靑鶴上人), 그리고 칠문(七門)에게 이어졌다. 칠문의 속명은 알려져 있지 않고 단지 도명만 알려져 있으니 그들의 이름을 열거해보면 금선자(金蟬子), 채하자(彩霞子), 취굴자(翠窟子), 아예자(鵝蕊子), 계엽자(桂葉子), 화오자(花塢子), 벽락자(碧落子)들이다. 또한 이사연(李思淵), 이정운(李淨雲), 담월당(潭月堂), 한휴휴(韓休休), 이의백(李宜白), 이흥종(李興宗), 이유(李愈), 홍만종(洪萬宗), 서경덕(徐敬德), 이지함(李芝涵), 홍유손(洪裕孫), 박묘관(朴妙關), 정희량(鄭希良), 정렴(鄭𥖝), 정작(鄭碏), 정초(鄭礎), 남궁두(南宮斗), 남사고(南師古), 장세민(張世民), 장도관(張道觀), 장휘량(張輝梁), 승대주(承大珠), 박지화(朴芝華), 윤준평(尹俊平), 관치혜(瓘治兮), 전우치(田禹治), 서기(徐起), 정두(鄭斗) 곽재우(郭在禹)등등 이 외에도 많은 분들이 있다.
문헌에 나온 한 이 분들의 이름을 일일이 나열하는 것은 어려운 가운데서도 선도의 맥을 이은 노고를 높이 받들며 후학인 우리가 그 뜻을 이어받고자 다짐하는 의미에서다. 조선 말 우리민족의 의식을 높이 치켜세운 가장 큰 일이 있었으니 그것은 바로 동학인데 이 동학 역시 선도의 정신이 그 밑바탕이 되어 일어난 것이다. 그 후 일제 치하의 혹독한 탄압으로 겨우 명맥을 유지하던 선풍(仙風)은 더욱 사라져 갔으며 해방 이후 서양문물에 밀려서 그 자취조차 사라지게 되었다.
4. 선도의 역사
일반적으로 선도는 동이족을 중심으로 한 맥과 중국의 한족이 중심이 된 맥이 동시에 발전되었다고 보는 것이 학자들의 다수 의견이다. 단지 문자의 사용이 늦었던 동이족은 그 문헌이 매우 적은 편이어서 선도의 주류가 되지 못했을 뿐이라고 본다. 그러므로 먼저 그 문헌이 풍부한 한족(漢族)의 발자취부터 살펴보기로 하자.
(1) 중국의 선도 역사
선도는 신선이 되어 불로장생하기 위한 수련방법을 총칭한 것으로 때에 따라서 단도(丹道) 혹은 금단도(金丹道)라고도 불렸다. 선도는 사실상 노자 이전부터 그 수련문화가 있었지만 도교가 형성되면서 노자의 도경(道經)을 경전으로 삼았기에 노자(老子)를 도교의 교조 혹은 원조로 삼아 태상노군(太上老君)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그는 성이 이(李)요 이름은 이(耳)이다. 춘추시대의 인물로 나이는 공자보다 위라고 한다. 한때 공자는 노자에게 예를 물었다고 하고 노자는 공자를 가리켜 “공구는 우리 스승님의 제자다”라고 칭찬했다는데 이는 도가 같다는 뜻이다. 이에 공자는 노자를 가리켜 용과 같다고 했는데 그 조화(造化)가 용과 같다는 뜻으로서 노자를 유용씨(猶龍氏)라고도 했다.
이런 노자는 그의 도를 소양제군(少陽帝君)인 왕현보(王伭甫)에게 전했다. 이에 왕현보는 정양제군(正陽帝君)인 종리권(鍾離權)에게 전하고, 종리권은 순양진인(純陽眞人) 여동빈(呂洞賓)에게 전했다.
그러면 순양진인 혹은 여조사로도 불리는 여동빈에 대해서 알아보자. 여조사의 이름은 암(嵓)이고 자가 동빈(洞賓)인데 당나라 때 인물로서 과거에 계속 낙방하여 60세가 되었을 때 처음으로 종리권을 만나 선도를 배우게 되었다. 그리하여 처음에는 선도에 크게 통했고 후에는 불가(佛家)의 선사(禪師)인 황용(黃龍)조사에게 입문하여 역시 불도에도 도통하였기에 여조사(呂祖師)라고 칭하게 되었다. 그런데 선도에서는 여조사에 대한 일화가 가장 많다. 마치 불교의 관세음보살처럼 여동빈신선은 사람들이 어려울 때마다 시대와 공간을 초월하여 나타나서 사람들을 구원해 주었다고 했는데 결국 이러한 민간신앙은 신선사상이 도교화되는 과정의 일례라고 볼 수 있겠다.
여동빈은 두 명의 제자를 두었다. 하나는 중양진인(重陽眞人)이라고 불리는 왕덕위(王德威)이고 다른 하나는 해섬제군(海蟾帝君)이라고 불리는 유성종(劉成宗)이다. 왕덕위 즉 왕중양의 일파를 북파라 하고 전진교라고도 부르는데 그의 제자 7인은 단양(丹陽)진인 마옥(馬鈺), 담처단(譚處端), 장생(長生)진인 유처현(劉處玄), 장춘(長春)진인 구처기(邱處機), 왕처일(王處一), 학대통(郝大通), 손불이(孫不二) 등이다. 이 7인을 북칠진(北七眞)이라 한다. 그리고 마옥 즉 마단양(馬丹陽)은 송피운(宋披雲)에게, 송피운은 이태허(李太虛)에게, 이태허는 장자경(張紫瓊)에게, 장자경은 조연독(趙緣督)에게, 그리고 조연독은 진상양(陳上陽)에게 각각 전하였다. 그리고 전진교에서 유명한 구처기에 의해 용문파가 창시되었는데 용문파는 지금까지 800여 년의 역사를 가지고 전진도의 주류를 이루면서 맥을 이어왔다. 현재 중국에서 대기공사로 활동하고 있는 왕력평(王力平)은 용문파의 18대 전인이다.
이에 비해 남파라고 말할 수 있는 것은 해섬제군 유성종이 자양진인(紫陽眞人)인 장백단(張伯端)에게 전했고, 장백단은 현태(玄泰)진인 석행림(石杏林)에게, 석행림은 자현(紫賢)진인 설도광(薛道光)에게, 설도광은 이환(泥丸)진인 진남(陳楠)에게, 진남은 자청(紫淸)진인 백옥섬(白玉蟾)에게, 백옥섬은 학림(鶴林)진인 팽사(彭耜)에게 각각 전했다.
그러면 선도의 역사상 가장 중요한 사람 다섯을 뽑아서 보통 오조(五祖)라고 불렀는데, 이는 다섯 제군을 가리키는 말로서 시대 순으로 다음과 같다. 그들은 소양제군, 정양제군, 부우(孚佑)제군, 해섬제군, 중양제군이다. 그 본명을 말해보면 왕현보, 종리권, 여동빈, 유성종, 왕덕위 이렇게 다섯 명이 선도에서 가장 상징성이 중요한 인물이라고 볼 수 있겠다. 다시 말하면 이들을 주인공 삼아서 선도의 수련에 관한 가르침을 엮은 경전이 도장에서 가장 흔하게 나온다는 뜻이다. 여기서 부우제군은 여동빈(순양)진인을 말하는데 그 이름은 말뜻 그대로 참된 친구를 의미한다.
그렇다면 노자 이전에는 선도가 없었는가? 물론 없었다고 할 수는 없다. 하지만 정확한 문헌의 시작이 노자이기 때문이며 노자 이전에는 여러 문헌에 부분적으로 나오는 이야기들이 있다. 어쨌든 노자 이전의 신선도에는 어떤 인물이 있었는지 열거해 보자.
∙적송자(赤松子) : 신농씨 때 선인, 물을 다스리는 우사(雨師), 신농에게 가르침을 베품. 곤륜산에서 서왕모(西王母)와 함께 선도를 닦았다고 함.
∙광성자(廣成子) : 황제의 스승, 공동산(崆峒山) 석실에 살면서 3개월간 황제에게 도를 전했다고 한다. 천이백세의 수명을 누렸다고 한다.
∙팽조(彭祖) : 767세에도 노쇠하지 않고 소년의 혈색을 지녔다고 함. 그의 스승은 청정선생 은나라 말기 사람이다.
황제(黃帝) 헌원(軒轅)씨 : 황제내경의 주인공, 황제내경은 한의학의 시조로 알려져 있다.
∙동방삭(東方朔) : 무(武)제, 장수한 사람의 대명사 임.
용성공(容成公) : 자칭 황제의 스승이라고 함.
∙방회(方回) : 요임금 시대의 선인
∙갈유(葛由) : 주나라 성왕시대의 선인
왕자교(王子喬) : 주나라 영왕의 태자 진(晉)이라고 알려짐.
∙창용(昌容) : 자칭 은나라 왕자라고 함. 2백년 동안 안색이 20세와 같았다고 함.
노자 이후에도 많은 신선들이 있었는데 그들 역시 노자의 가르침에서 시작한 정통 선도의 맥에 포함되지 않는 인물들이다. 다시 말하면 기공은 이미 고대로부터 중국 전반의 민중 속에 퍼져있었다고 봐야 할 것이다. 춘추전국시대 이후로 당나라 시대의 이인(異人), 즉 선도수련의 대가들의 이름을 나열해보면 이전(李筌), 무능자(無能子), 천은자(天隱子), 나은(羅隱), 담초(譚焦), 손사막(孫思邈), 사마승정(司馬承禎), 장지화(張志和) 등이 있다. 그 뒤로 오대(五代) 북송(北宋)시대에는 임영소(林靈素), 두광정(杜光庭), 장군방(張君房)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