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唐谷鄭先生實紀上
詩
思鄕
稽山
山寺曉鍾
鏡水
殷山
練鋪臺玩瀑 二首
唐谷鄭先生實紀上
賦
九思賦 三十三句三百九十八字
唐谷鄭先生實紀上
性理雜著
論心性說
論心性情之名
格致誠正說
大學經一章血脈
仁包四德說
仁含義禮智
公而以人體之爲仁說
泛應曲當用各不同說
禮字說
禮字義
道字義
知字義
忠恕信字義
四端七情
論四端七情之發
知屬氣行屬質說
唐谷鄭先生實紀上
易學圖象總論
畫卦說
包犧仰觀俯察以畫八卦圖
則河圖以畫八卦圖
伸圓圖爲橫圖
論數
論太極圖上下圈
論先天太極二圖
論形而上下
論陽始於下陰始於上
論水火氣
五行生旺圖
陽稱日陰稱月
聖人畫卦天地運氣
論歲日月定限
唐谷鄭先生實紀下
[附錄]
事實大略
墓誌銘幷序 盧玉溪 禛
墓碣銘 梁九拙 喜
輓章 二首○盧玉溪 禛
祭文
諸賢讚述
題儒行錄 盧雲堤亨弼
門人錄
溏洲鄕賢祠上樑文 盧勿齋光履
奉安時告由文
奉安時告文孝公文
春秋常享祝文 參判 盧光斗
雲谷書院新創記
跋[奇正鎭]
識[李晩著]
跋[盧光懋]
識[鄭煥周]
跋[鄭直鉉]
跋[大永]
跋[顯楙]
唐谷鄭先生實紀下
追錄
雲谷精舍記
雲谷書院廟庭碑
重刊跋
[刊記]
唐谷鄭先生實紀上
思鄕
月色은同天地요人情은異楚秦이라今朝杯酒處이心送未歸身이라
稽山
稽岑罷夕嵐하니山骨碧巉巉이라玉立高人像하니何誰夢傅巖고
山寺曉鍾
落月半西峯에幽人夢赤松이라晨聲飛渡水요坐聽寒山鍾이라
鏡水
鏡水淸如何오秋來自白波라滄浪爲誰潔고狂客濯纓歌라
殷山
首陽亦周土라薇蕨汚淸風이라若解殷山在면應先箕子東이라
練鋪臺玩瀑 二首
札札聲休織女機하니期將匹練沈汀磯라河西忽報牽牛信하니流下人間也不知라
白練橫斜翠障圍하니劈開山骨減雲肥라漲時河落深舂地요急處雷奔下激磯라何許靈源連海窟기幾多餘沫散林霏라雄觀未遂爐峯勝하니且向前山欲拂衣라
..........................
溪兴
唐·杜荀鹤
山雨溪风卷钓丝,
瓦瓯篷底独斟时。
醉来睡着无人唤,
流下前溪也不知。
杜荀鹤(846~904),唐代诗人。字彦之,号九华山人。汉族,池州石埭(今安徽石台)人。大顺进士,以诗名,自成一家,尤长于宫词。官至翰学士知制诰。大顺二年,第一人擢第,复还旧山。宣州田頵遣至汴通好,朱全忠厚遇之,表授翰林学士、主客员外郎、知制诰。恃势侮易缙绅,众怒,欲杀之而未及。天祐初卒。自序其文为《唐风集》十卷,今编诗三卷。事迹见孙光宪《北梦琐言》、何光远《鉴诫录》、《旧五代史·梁书》本传、《唐诗纪事》及《唐才子传》
..........................
九思賦 三十三句三百九十八字
大矣君子之思여誠美厥訓之有箴이라制於外而養於內 하고察於身而省於心이라隨事觸物에無適不然이라思也丨 乃於是乎有九하니其衆理於方寸이요應萬事於目接이라 日一 本竹日 然物摟欲累而交相이면奈天與之汨沒가肆君子居敬 精義하고直以方兮致曲이라目不觸乎非義오視欲明於無
:: 0017 ::
形이오耳不聞乎非禮오聽欲聰於無聲이라卽之也溫이오色 必期乎如玉이라坐尸立齊오貌必期乎儼若이라言不易於 出口오思自盡其發己오行多畜於旣往이라思小心於執 事오疑思問而明辨이오忿思難於一朝온況簞豆之辭受 에審義理於一毫니此所謂君子之有思라勿憚三日之 先庚하고周旋折旋兮여克念造次顚沛兮로다必行積工夫 於泛應이라是吾心之虛靈이니聲色辨惡於千里오暴慢斯 遠於德容이라信可行於蠻貊이요敬可承於禋宗이라兩端竭 於一叩하니大澤止於山下오得不苟於一芥하니義乃決於 取舍라天理順兮德性尊이니可耳順而心通이라然九思不
:: 0018 ::
在多端이라必曰在乎吾中이라吾中兮伊何오心之官兮維 思하니官失職於釐差라吾恐物交而引之에靜吾定乎主 一이오制吾志於守約이라體有立兮用以行에庶操存而不 忒이라邈余生之顓蒙이慕顔氏之四勿이라思無邪而養正 어舍乎是而安適기系曰百爾君子는不知所思라精外 安內에何用不思오罔念作狂하니彼何人斯며彼何人斯 오蓋亦勿思아
..........................
追錄
贊禹梧谷恪
敬以治身이요忠以事君이요王室儒會에百世同芬이라
.........................
事實大略
皇明孝宗皇帝弘治元年 我成宗大王十九年 戊申某月日先生生
武宗皇帝正德元年 我中宗大王元年 丙寅先生年十九歲
世宗皇帝嘉靖元年 我中宗大王十七年 壬午先生年三十五歲宅南 百步許에構一小齋하야日與諸生으로講習不怠하니遠邇 之士騈趨而承學焉하다
嘉靖十八年己亥先生年五十二歲見介菴之學이日就 하고亟稱於人曰龍之飛鳳之鳴은不待習熟而能이니此 子之變化氣質이若是之速也라
:: 0061 ::
嘉靖二十六年丁未先生年六十歲五月十五日易簀于 寢하다
嘉靖二十七年戊申十二月建兆于沙斤北麓城隍山下 同安洞艮坐原
純廟辛卯道論齊發하야立享于溏洲祠하다
士林의議建祠文에略曰桐溪鄭先生이贊曰學問之 醇正이요造詣之淵篤이라秤星已定이요水月相照라以詞 翰理致相高라하고靑蓮李先生曰以興起斯文으로爲己任 이라하고九拙梁先生이銘其墓曰德有立而名有稱하고玄石 朴先生曰訓迪來學羽翼斯文이라하고玉溪盧先生이誌其
:: 0062 ::
墓曰維彼唐谷은人擬白鹿이라하고雲堤盧先生이特書儒 行錄曰博學眞君子는開來古聖風이라하고思湖吳先生이 撰其集錄曰一代名儒皆出其門하니其功이不在韓昌 黎之下라하고梅村鄭先生師友錄에曰其平生蘊蓄之美 와啓迪之功은寔儒林之宗匠也라하고春睡堂鄭先生天 嶺誌에曰邃於性理之學하니易象著圖오經旨立說하야 誘掖作成하니名碩相望云云
.......................
墓誌銘幷序 盧玉溪禛
公의諱希輔오字仲猷며鄭姓이니其先은晉陽人也라公 이自南海로徙居于咸陽하다四世祖諱可願은號淸溪이니
:: 0063 ::
官至安州牧使兼判德州事요祖諱確이요父諱孝忠이니皆 不仕오母夫人海州鄭氏는嘉靖大夫漢城府尹訥生之 孫이요司醞署直長漢元之女라公이幼聰警不群하야能刻 意問學하고及長에益自植立하야爬羅搜剔에摛藻日進하니 聲名遂大振이라連擧于有司나竟不售하야白首窮困하니人 甚惜之라居第湫隘하야僅蔽風雨하고蔬糲或不給이나猶怡 然不以爲意하다性이不與人苟合하고不喜交遊하며杜門端 居에淡泊自守니然遇事剛果하이不以人言으로有所屈撓 하고晩歲以訓迪後進爲已任하야誨誘諄至하야終日答問호대 略無倦色하니學徒聞風遠來者甚衆이라結茅齋于公之宅
:: 0064 ::
南百步許하야常群聚而講習焉하니未十年에稍稍登科第 하야仕于朝하고通經綴文하야方業擧子者不可選記라嘉靖 丁未五月에卒終于家하니得年六十이라其年冬에門人이 聚賻將葬地라가因時不利하야不克葬하고越明年戊申十二 月某甲에始襄事하니實城隍山之同安原也라娶羅州朴 氏忠順衛諱桂幹之女하야生四男二女하니男長曰業이요次 曰乘이요次曰栗이요次曰棄니皆成就有行이라惟棄은未有 室이라女長은適朴德昭요次는適崔應福이라嗚呼라以公 之文行이必且爲世用而竟不仕以終하니或者其有後乎 은저將葬에業等이請銘于盧禛커늘念禛이實賴公誘掖하야
:: 0065 ::
得至今日이라無所報效하니是嗛이라於銘에其可辭아銘曰 窮也者는吾不知其可惡이요達也者는吾不知其可慕라 窮而守義는君子維則이라達而無善는其死誰藉오維彼 唐谷은人擬白鹿이라濟濟蹌蹌에靑衿滿堂이라湖嶺之濱 이半是門人이라功存啓後에萬古不朽라
........................
墓碣銘 梁九拙喜
壽也者는吾不知其可慕요夭也者는吾不知其可惡이라 德有立而名有稱은雖老死其何傷가九泉之下에公有 自得者存이니吾何恨夫子之云亡가
........................
輓章 二首○盧玉溪禛
:: 0066 ::
少昔才名大하니相傳萬口傾이라靑雲收羽翮이요白首掩柴荊이라絃誦遺風遠이요詩書舊業淸이라門人封馬鬣하니寒日共呑聲이라歲晩來縫掖하니慇懃任發蒙이라承恩惟我最하니報德竟何窮고原草空蕭瑟이요山花自滿紅이라傷心遽如 許하니哀淚灑西風이라
........................
祭文
踰海有鄕하니實同甌越이라旣荒而阻하니俗蓇于學이라公奮 其間에出類拔萃라聰明俊逸이恰聞强記과摛華發藻 은沛若川增이라遊于學庠에嘉聲聿興이라先進嗟賞이요儕 友惶駿이라甲科之榮은擬拾地芥러니命不我謀하야而此窮
:: 0067 ::
躓이라一畝之宮이요一簞之食이라澹如泊如에絶彼外榮이라 斂德于躬하고惠我後生이라誨我諄諄에不遺昏明이라縫掖 于于에自遠方來라縛茅東澗에左右其齋라載絃載歌 오以問以考라人各其材에蔚乎有造라鄕多髦士하니冠 佩濟濟라雖有淺深이나皆其抽啓라昔余幼眇에亦廁門 後라誘我誨我에刔其蔽覆이라緊敎之賴에以有今日이라 荷德惟深이나報恩靡力이라前歲之夏에余在漢瀕이라承凶 千里에係官莫奔이라徂秋南覲에乃始一哭이라慙負幽明 에慟結胸臆이라今此匍匐에踰歲且暮라誠衰物菲하니詎 暴情素아
........................
諸賢讚述
唐谷鄭先生은諱希輔나天稟超詣요氣質敦確이라見義 不撓하니賁育이失其勇이라吾先人이 德溪 特詡以砥柱頹波 而惜乎라抱道窮山에命不謀德이라惟以推衍經義하야嘉 惠後學으로爲己任하니一代名儒皆出其門이라其功이不在 韓昌黎之下라嗚呼悕矣로다 出吳思湖長箚錄
公諱希輔니一時名賢碩士多出其門이라如盧玉溪李 靑蓮姜介庵梁九拙蘇暘各林灆溪曹梅庵都 著作二十餘賢이是最顯者也라其餘成一藝而名未達 者는殆難以遍擧則其平生蘊蓄之美와啓迪之功이寔
:: 0069 ::
儒林之宗匠也라 出鄭梅村復顯師友錄
鄭唐谷諱希輔字仲猷니邃於性理之學하야易象著圖經 旨立說하야誘掖作成에名碩相望하니門人盧玉溪銘其墓 曰功存啓後萬古不朽라하니是豈阿好之言가實當時親炙 之實錄也라惜其文獻이盡佚無徵하니可勝痛哉아 出鄭春睡堂秀民天嶺誌
........................
題儒行錄 盧雲堤亨弼
博學眞君子는開來古聖風이라千秋唐谷裡에遺業永無 蹤 先生所著六經註釋八卷蓋失於兵燹故云
......................
門人錄
盧玉溪諱禛字子膺豐川人官吏判謚文孝享溏洲書院賜額
李靑蓮諱後白字季眞延安人官判書謚文 淸建院海南
梁九拙諱喜字懼夫南原人官判書建祠 龜川
姜介庵諱翼字仲輔晉陽人官昭格署參奉 配享灆溪書院
吳德溪諱健字子强咸陽人官弘文館典翰 享西溪書院
蘇暘谷諱世讓字彦謙晉州人官贊成謚文正享益山花山書院
鄭梅村諱復顯字遂初瑞山人立祠居昌
曺梅庵諱湜字幼淸昌寧人
林灆溪諱希茂字彦實羅州人官禮曺正郞
盧徙庵諱裸字子將豐川人官察訪
都養性諱希齡字子守星州人官著作
梁竹庵諱弘澤字浩然南原人
禹愚泉諱績字功叔丹陽人官掌隷院習讀 贈工曹參判
鄭竹軒諱摯字仲尹瑞山人
邊桃灘諱士貞字□□□□人建祠玄溪
*邊士貞 1529 1596 長淵 仲幹 桃灘
........................
溏洲鄕賢祠上樑文 盧勿齋光履
啓湖嶺之門人하니可無崇報之擧며循溏洲之國學하니特 有揭虔之儀라於禮則然이니以道所在라恭惟唐谷鄭先 生은俊逸出類요聰警不群이라欽慕文獻之大方하니盍往 北學이며奮發蓇嗤之遐俗하니遄離南荒이라自早年深得夫 旨義之微요悟後學不止於章句之末이라摛華發藻요瓊 瑰燦爛이라儕流靡然讓頭오入學遊庠에繩尺峻嚴하니老 成爲之斂手라俯仰觀察에辨陰陽氣數之交運하니大哉 太極圖先天圖요反覆精詳에釋禮義節文之有差하니燦 然克復說昭穆說이라與其馳騖於時俗利祿之學으론曷若
:: 0074 ::
專攻於天人性命之原가存此心於隱微幽獨之中하니戒 愼者愈嚴愈敬이요窮這理於學問思辨之際하니省察者惟 一惟精이라在朝廷에明公巨卿이罔非誘掖中做去오環 嶠湖에鴻儒碩士는盡自淵源上得來라久矣百世瞻仰 之誠이闕却一社崇奉之禮라博學眞君子를慕耿光而 莫攀이요絃誦蔚儒風은撫遺韻而曷逮야眷彼溏院이允 合妥靈이라肆鄕隣激感也彌篤이요迺廟宇經始之倏新이라 人莫不聽其父兄이라捨金帛而來助요師未必賢於弟子 라微玉翁而誰歸아草木留香於某邱하니想諸賢追隨之 跡이요江山相望於故宅하니挹先生嘉遯之風이라謹稽灆院
:: 0075 ::
兪㵢溪之依一蠹祠은蓋取廬山李公擇之從二程廟라 講堂齋庖之仍舊하니安用加屋疊牀이며靈宮神門之載新 하니好是茂松苞竹이라想氣像之誾侃하니渾然在座之春風 이요念道契之昭融하니晃乎滿潭之秋月이라敢陳六偉之短 唱하야聊助雙虹之脩樑이라抛樑東하니門隣景德德加隆이라 而來百世恢公議하니一體斯文祭祀同이라抛樑西하니萬丈 頭流苦不梯라努力躋攀無退縮이면未應前路塞茅蹊라 抛樑南하니拳石高孤做巨巖이라花露▼(毛+監)毶春意好하니行看 溪水碧於藍이라抛樑北하니衆星燦燦環宸極이라生三事一 秉彝情은絃誦聲中體認得이라抛樑上하니由來太極一生
:: 0076 ::
兩이라一身還有一乾坤하니宣朗人文應萬象이라抛樑下하니 曰我蹌蹌濟濟者라詩禮工夫須勉旃이면海東千載挽虞 夏라伏願上樑之後에式禮莫愆이요報祀無替라士林增 賁하니罔非麟角之奇資며山川聳覩하니不讓鹿洞之佳景이라
..........................
奉安時告由文
元氣之會에篤生眞儒라鄕稱文獻이요源溯程朱라曰惟 先生은展也私淑이라主敬之工이요爲己之學이라圖象燦然 에洞貫道器라學究情性이요工專格致라萬理一原을覃 思實求라心收汗馬요目無全牛라澹泊自守에其介如 石이라一簞一瓢은不改其樂이라婆娑邱林에歲月遲暮라
:: 0077 ::
執厥繩尺에正我向趣라環湖曁嶺에迪訣明誠이라隨材 大小가咸底于成이라出爲宰輔오處亦名碩이라一畝唐谷 은千古白鹿이라高山景行이自我先正이라幼眇及門에水 月相映이라苟欲揭虔에捨溏奚適가百年今日애鄕祠斯 創이라地臨筇屐이요席比函丈이라縟儀載擧에衿紳濟蹌이라 花山增重이요灆水彌長이라文不墜地하니報祀無替라其始 自今으로欽于世世라
...........................
奉安時告文孝公文
惟先生은天相斯文에奮起南服이라孝爲本領이요學則餘 力이라沈潛性理에蔚爲師式이라志學就正에曰有唐谷이라
:: 0078 ::
最承恩奬에圖報彌極이라山因嶽尊이요水出藍碧이라遹追 遺志에載擧尸祝이라雖異宮墻이나便同函席이라于以有光 에不孤其德이라神理人情이可胥無隔이라玆因將事에先 用虔告라洋洋如在하니尙庶歆格하소서
..........................
春秋常享祝文 參判盧光斗
不有先覺이면孰開後學가濟濟鄕士는咸得私淑이라
...........................
雲谷書院新創記
書院之設이尙矣라古之賢人이飭躬勵行하고覃思經傳 하야菀爲士林之師表요矜式後人이면仰止尊慕하야卽其讀 書之地하야建院而俎豆之故로謂之書院이니益自唐宋以
:: 0079 ::
來로已是通行之禮也라式至我東에名賢輩出하야其儀 愈繁이라苟有功德이施於民國者와及發揮聖學者면或 於生長之鄕과杖屨之所와莅宰之邑에設祠屋以餟之 하니有國學鄕祠之別이나皆所以致崇報而尊尙之義也라 唐谷鄭先生은其先는晉陽人也라先生이生蘭浦에天 稟卓異하고氣質敦確하야見義不撓에賁育이失其勇하니其 所守를可知矣라早寓咸陽之唐谷하야屢擧功令이나連屈 於有司하야退而爲爲己爲人之學하야推衍經義에嘉惠後 人하고沈潛性理하야毫分縷析이若河決下流而東湊요至 於格致誠正四端七情에皆逐字立說하며尤深於易學하야
:: 0080 ::
推本說卦之義而著圖經若干言하야以敎學者하니湖嶺章 甫의束脩及門하야親炙講論에擧皆學透精微요位至淸 顯하야爲世所推重者二十餘賢이요通一藝而名未達者殆 難以遍擧라如盧玉溪李靑蓮蘇暘谷姜介庵吳德 溪는皆享國學이요梁九拙鄭梅村은竝餟鄕祠라其開繼 衛道之功이不下昌黎之倡明이요服膺造詣之功이可將 安定之門人則平生蘊蓄之美와啓迪之深이寔儒林之 宗匠也라是宜立祠호데顧時有未集하야未遑克擧라歲辛 卯에士論齊發하고本裔致力하야創鄕祠於溏洲國學之右 하야始揭虔而擧縟儀하야遂百年闕失之禮하고伸士林抑鬱
:: 0081 ::
之歎하니實斯文大幸也라其後에南海縣後孫曁鄕士同 辭合議하야又設新祠하니是旣桑梓之鄕則于此妥靈이允 愜於神理人情이니後生之所開口而活頭攢喜가宜無過 於是矣라惟我末學이徒慣耳聞이요惜其遺集이失於兵 燹이라祗憑寂寞文字은顧何能形容其德微哉아輒以舊 所聞者及實錄中所在者로擧梗槪而爲之記라
上之四年癸丑端陽嘉善大夫前行戶曹參判兼五衛都 摠府副摠管豐川盧光斗記
...........................
跋[奇正鎭]
知行氣質之辨이在唐谷先生微言中僅一斑耳이라然이나 私竊喜之하니謂可以作窮格家律令活例니恨吾得此稿 之晩暮하야未暇逐段硏鑽也라或以全書之逸로爲先生 病하니噫라經師莫盛於東漢이니東漢經師의見於儒林傳 者其最也라夷考其文論經이或無一句語流傳著籍하고 門人千百이或無一顯者可記어늘今先生之論經은幾節 目也며門人顯者幾人也오比之東漢經師에不旣多矣 乎아後世良史氏整理名山之藏儒學淵源이면先生이居 首列는無疑也라然則全書之逸이當爲後生學子의病
:: 0083 ::
이요不當爲先生病이라正鎭也素膚淺하고重以昏花나先生 後孫督過之에不獲終辭라
乙丑榴夏幸州奇正鎭謹書
識[李晩著]
余嘗登頭流絶頂하야見其蜿蟺磅礴이崒乎高大하야澟然 有不可犯之像하고其或奮迅突兀而作氣하고平衍散漫而 結局하니雖其體勢不同而要之켄대皆此山之支流餘裔也 라宜其鍾精毓秀하야挺出人傑이라時則有若一蠹夫子奮 起南服하야倡明絶學하야儼然若泰山喬嶽이可敬而可畏 也라同時에有唐谷鄭先生이間氣挺生하야以布衣로爲 士林宗主하니一時名類皆出其門인데如盧玉溪蘇陽谷李 靑蓮梁九拙姜介庵吳德溪諸賢이特其尤者也요其餘 以文學行誼요通一藝而備一行者도蓋不可數計也라
:: 0085 ::
嗚乎其盛矣라先生之遺文이散佚殆盡하야今其所存이 只寂寥數十篇而其詩則雄渾健雅하고動盪發越하야讀之 令人有遺世出塵之想이요其文則無一字一句尋常汗漫 之作而推明理氣之本原하고劈破性命之頭顱하며其他格 致誠正四端七情之說도無不逐字發明하야開示蘊奧하고 尤深於易學하야推本設卦하고著圖立說하야遂使一方學者 로擧囿於洪爐大鞴之中而各因其材而篤焉하니則雖其 造道有淺深하고器局이有大小而其所以發揮經傳하고羽 翼斯文則實是先生之敎之餘也라嘗讀蠹翁詩曰看盡 頭流千萬疊하고孤舟又下大江流라蓋其雄偉剛大之氣
:: 0086 ::
撑亘宇宙에凜乎其不可犯者는蠹翁이實有之요先生 詩曰稽岑罷夕嵐하니山骨碧巉巉이라玉立高人像하니阿誰 夢傅巖가鍾得淸淑之氣가盤據固結하야承前而起後則 先生이殆庶幾焉이라先生之後孫이以先生實紀를將欲 付諸剞劂氏하야問序於余어늘余固非其人이라不敢當이다嘗 登山而有想慕前人之懷故로因其所感而書而與之라
通訓大夫行山淸縣監眞城李晩著謹識
跋[盧光懋]
唐谷鄭先生의詩文若干篇을而後之覽者以其遺佚未 全으로爲恨이나然丹山片羽와全鼎一臠이足令人歎賞이라 何必多乎哉아先生之後孫이懼其愈久而愈逸也하야將 欲活印而壽傳焉則於先生實紀에不無諸賢敍述之備 而謂余是先生學相傳道同方之裔孫이라하고命余綴數語以 尾之어늘余旣昏且謏陋라何敢僭越而贅說哉아古人有 言에汚不至阿其所好라하고又曰文章如精金美玉이면自有 定價라하니是集之行也에必當有具眼者興起而鑑定이면以 其原集之散逸無多는勿之恤也
己丑維夏嘉善大夫同知中樞府事豐川盧光懋謹跋
識[鄭煥周]
讀天下書者는知天下之賢이요讀一家書者는知一家之 賢故로善讀者自一家而視天下니讀其書不知其人이 可乎아吾鄕에有唐谷處士鄭公先生이果其人焉이라謹 按先生이嘗著六經註釋八局而厄於兵燹하고其幸存者 는性理象畫等說若干編耳라然이나實與北溪字義와濂 溪圖書로相爲表裡則先生之學은蓋性諸天而誠諸已 也라宜乎及門之士多顯達名碩이니一傳而得玉溪介庵 之賢而世敎復明이요再傳而得孤臺之孫而家業不墜하며 溏洲之祠가猶婺源周程之祠而祀典이得正하니可謂身
:: 0090 ::
窮而道不窮矣라噫라先生이旣去에道在實記하니使後 生學者로得其門而入則人才之盛이安知不如嘉靖 穆陵之世乎아知道者鮮矣라又孰知處士之功이補 世之大歟아吁其可慨라洪流猛獸는古今一害라此編 之行于今日이豈偶爾云爾아蓋亦先生圖說中一理也 라不佞이竊有感於斯也하야於其鄭友大翊之請에不敢 以蔑學而辭一言이라
崇禎五己丑淸和節後學河南鄭煥周謹識
跋[鄭直鉉]
處士唐谷先生은吾鄕倡所文之賢也라與我一蠹先祖 로幷世差後라目見陽九之厄而猶且誘掖奬訓하야門多 顯者하니如玉溪靑蓮九拙諸先生이最著而介庵先生則 以晩進而得其宗하야創我文獻公廟하야斯道如日中天하니 嗚乎라是誰之功歟아家傳而有東里先生長子與孤臺先生次孫二公 하고又其族孫忠毅公이皆有功於斯文者而丁酉之亂에 孤臺公의衛道之功이炳如日星하니何其盛哉아誰謂芝 無根醴無源乎이傳에曰君子不出家而成敎於國이라하니信 矣라夫世之論者稱其門賢而不及家學則陋矣라若
:: 0092 ::
其造道之精深이已載卷中圖上하니讚述則前輩備矣라 愚何敢贅爾리오只敍誼感如右라大均大衡甫는歸하야共 欽念乎哉어다
己丑維夏下澣前參奉河東鄭直鉉謹書
跋[大永]
庸學은是傳道之書而散在戴記則程朱以前은世莫之 行焉이라嗚呼라吾先祖唐谷公이以蘭洲爲父하고豊溪爲 兄하야承襲庭訓而傳其道者는盧玉溪李靑蓮梁九拙姜 介庵吳德溪蘇暘谷諸先生也라所著六經註釋과與許 多詩若文이逸不傳이요傳者는性理易象等說若干編而 已라越我王考農窩公이殫誠於溏院之設하고旣又謀梓 先藁之藏在中衍者而未果矣라松隱舍伯이 大翊 深懼乎 愈久而愈失其傳하야奮發宗議하야始克刊行하야以就數百 年未遑之事하니果不爲吾門之一大幸耶아功旣訖에命
:: 0094 ::
余記顚末커늘不避汰濫之誅而敢略敍梗槪如是云爾라
龍集二十有六年己丑四月下澣十代孫大永謹跋
跋[顯楙]
蓋自孔門以後로君不命之而師道立焉이라故로處士之 門에賢者多出이라嗚乎이吾先祖唐谷公이自南海로館 于朴春塘之門하야仍居咸陽하니卽一蠹文獻先生鄕也라 時値史禍之餘에士氣沮喪而奮發特立하야慨然以興起 斯文으로爲己任하야引進後學하니於是名碩이多出門下하야 嫡傳于玉溪靑蓮九拙介庵暘谷德溪諸先生而斯道復 明이라若是其倡斯文하고闡斯道而久闕俎豆하니實爲欠典 이라越在純廟庚寅에族曾大父農窩公諱夢朝께서克遵 士林之公議하야殫誠設院하고且營鋟梓先稿而未就矣라
:: 0096 ::
曁其孫大翊氏承先志而始克刊行하니此實二百年一朝 功이豈非有待歟아不肖幸見是役에重有感於豐溪公 先生長兄 云爾라
己丑四月下澣十一代孫顯楙謹跋
.........................
追錄
雲谷精舍記
兢燮이少聞咸陽에有鄭唐谷先生이以潛德奧學으로爲 一時師表하니諸嘗學於先生者如盧玉溪梁九拙姜介菴 諸賢이皆以名儒로稱焉하니竊以爲咸은故文獻先生鄕 也라自文獻之世로至鄭先生이未久하야遺風이尙不斬 하니宜其取斯哉인저日에南海士人鄭君暘驥와李君基俊 이以其鄕中諸章甫書로北走四里하야踵門而告曰吾鄕 에舊有鄭先生祠하니以先生之生이實在玆土也라祠毁 而鞠이且五十年矣라某等이相與合力하야以築一舍于
:: 0098 ::
其地하고冒祠之故號而顔之曰雲谷精舍라하고將以時會于 是而講先生之道焉하노니幸子之無惜一言以爲記라커늘兢燮 이發書而歎曰嗟乎라南海之爲邑이踔遠荒阻하야雖當 隆化之時라도聲明文物之被常後于中土而先生이乃奮 起於是하시니其不可謂豪傑之士也哉아然이나今大陸이己 沈에中州北方은古所謂文明之區者라도日趨於椎魯而 聞玆邑은四境에絃誦이相達하고又能知慕前賢하야不忍 荒廢其地如此하니則因響求聲하고循名責實之務將於是 乎在라百世之下에安知不有如先生者丨相輩而出乎 아是可以記也라若夫所講之道則有先生之諸言이可
:: 0099 ::
抽而繹이요又能溯而上之하야以尋先生之所未盡得者 是則區區所望於諸君子者也已라
歲丁巳季丑昌山曺兢燮記
雲谷書院廟庭碑
南海治西二十里許望雲山下中峴村에有雲谷祠하니卽 唐谷鄭先生祠也라其始創建하야幾年而廢하고廢而復建 하니世間平陂循環이蓋有如此歟져先生以我朝成宗 十九年으로生于南海二東草谷里第하시니以間世挺生之資 로濡染家庭而培根旣厚러시니爲博學無方而事賢友仁也 하야就于咸陽하니咸은故文獻先生鄕也라其遺風이尙爲 不斬하니宜多取則故也라仍而受室于朴春堂之門하야乃 爲定居하시니時則國家政亂에士林이罹禍酷甚이라先生이 絶意仕進하고隱居唐谷하사不懾不沮하고卓乎深造하야以授
:: 0101 ::
徒成物로爲己任하사乃於宅南百步許에構一小齋하야日 與諸生으로講習하니遠邇之士騈趨而承學焉하니湖嶺之俊 髦聚于函丈하야親炙講論할새隨其材器하야咸至于成하니出 而通顯於世者甚多하고其餘以文學丁義로通一藝而 備一行者不可數計라惟先生이天賦卓異하사其於聖 賢經傳어不由師傳而超然獨得하사能通乎性命之深奧 하고察乎人事之當務하사卽自信愈篤하야不易乎世하고不求 乎人而囂囂焉하시다先生所著嘗有六經註釋八局而失 於兵火하고其幸存者는性理象畵等若干篇而與北溪字 義와濂溪圖說로相爲表裡하고其詩文이淸澹和厚하시니於
:: 0102 ::
思鄕之詩와稽山之詠에可見其戀戀乎父母之國과斷 斷乎愛君戀闕之衷矣라槪擧前賢之所述則盧玉溪撰 先生之誌에曰維彼唐谷人擬白鹿湖嶺之濱半是門人 功存啓後萬古不朽라하고吳思湖撰其集錄에曰一代名儒 皆出其門하니其功이不在韓昌黎之下라하고奇蘆沙謂儒學 淵源은先生이居首列이無疑라하고曺深齋謂先生은豈不 誠豪傑之士也哉라하니諸君子豈阿好而稱道哉아實爲千 古定評이라粤在純祖辛未에道論이齊發하야立享于溏 洲祠하고越二十二年哲宗癸丑에南海士林及後裔同 辭合議하야創建祠宇于此地하니實以先生桑梓之鄕則于
:: 0103 ::
此妥靈이允合神理人情故也라又不幾年而高宗五 年戊辰에邦禁下而見撤하고五十年間에只有空墟而荒 草茂沒하니過者指點이러니歲丁巳에鄕士林及後裔相與 合力하야重建祠宇及講堂而每當春秋에行釋菜禮하고講 誦先生之道焉하니於是에郡內外有志諸氏獻納土地 或誠金하야立基本則産而充當享禮及諸般行事經費하야 自是以來로年久歲深하야累次隨毁修補而往在乙丑年 度에祠宇未免滲漏傾頹之境이라必爲大加補完修理而 事鉅力綿하야不得己而上申于政府하야得鉅金修理完了 하니於是에廟貌苟完하다先生의諱는希輔요字는仲猷요
:: 0104 ::
號는唐谷이니其先은晉陽人이니麗朝丨僉正諱仲恭之後 요累傳至諱可願號淸溪하야本朝에中生員하야官至左贊 成兼安州道兵馬使判德州事하니是爲先生之高祖也오 王考의諱는確이요仕顯信校尉하니太宗이是置南海縣하고 選隣邑士族中備百行者하야以訓導之하니公이其敎授官 이요考의諱는孝忠이요號는蘭洲老人이니才行文章이一世 師儒之最요兄의諱는希哲이요號는豊溪니以孝로聞하고 從遊金自菴先生하다惟南海之爲邑이踔遠荒阻하니俗瞢 于學而先生이能奮起于是하사倡明斯道하야啓我後人하시니 豈不偉哉며豈不偉哉아今自本祠享會時에多士發議
:: 0105 ::
하야立廟庭碑而明記本祠治革하야使入是廟者로皆有所 肅恭하고有所慕焉케한대郡內儒林이咸爲贊同而成之하다石 旣具에責文于余하니余竊念後生末學이生于先生易簀 四百年之後而愚陋淺劣하니豈敢容喙리오但據實記中撮 其槪要而俾刻之于石하다系之銘曰
欹歟先生은挺生南服이라不惟質美라亦學之力이로다父有 蘭洲로兄有豊溪라濡染家庭에蒙養整齊라博學無方 에早己擇隣이라就于天嶺에事賢友仁이라文獻遺風을私 淑與聞이라道與時違에固窮隱遁이라主敬守約하니上達天 德이라沈潛性理에毫分縷析이라湖嶺章甫丨束脩及門이라
:: 0106 ::
親炙講論에春風其薰이라隨其材器에各底于成이라出爲 通顯이요處亦名碩이라倡明斯道하야啓我後學이라先生之德 은永永無斁이로다
檀紀四千三百二十五年壬申十月日
後學成均館敎導員鄭喆基撰
檀紀四千三百三十一年戊寅正月日豎
........................
重刊跋
古之君子丨其道行於時則足以黼黻王猷요澤潤生民 而不幸時不遇矣요道不行矣則立言著書하야以垂訓於 後世하나니唐谷鄭先生이果非其人歟아先生이自南海蘭 浦로移寓咸陽唐谷하야因爲自號焉이라與一蠹鄭文獻先 生으로幷世差後而雖未束脩執策이나其向道慕仰之誠이 深且切矣라戊甲禍後에士氣沮喪하고斯道沈晦하야士之 學問이爲世大禁而所謂士者丨或自放於規矩之外而 苟爲全身遠害之計者丨衆焉則豈不爲世道而深歎也 哉아是時에先生이確立其志하야不懾不撓而惟以倡明
:: 0108 ::
道學으로爲己任하니遠近學者丨聞風坌集而如玉蓮暘拙 介德桃梅諸賢이幷出其門而顯達於世하니人物之盛이 丨 莫過於此時則其啓迪之功이大而倡絶學傳後者非 先生而誰與哉아所著仁義禮智心性理氣格致誠正四 端七情에皆逐字立說하고又於易經에推本說卦之義而 著圖詳明하니其羽翼斯文之功이亦大矣라咸陽七林이 建溏洲鄕賢祠而俎豆하고南海章甫丨建雲谷祠於桑鄕 而虔奉하니此好賢之彝性而先生之盛德光輝丨愈久不 泯則先生은亦可謂身雖窮而道不窮者矣라往昔己丑 에十代孫松隱公大翊이與弟大永과族姪顯楙로拔貧
:: 0109 ::
而刊出實記若干帙하야未能廣布러니今大永之孫埈益이 詢議宗中하야以國文懸吐하야使讀者易解하고又附追錄文 字하야重刊廣布하니其追先之孝思丨可尙矣라蓋文者는 載道之器也라先生之道丨載在實記하니是集之行에讀 者沈潛反復하야詳味玩索則豈不知先生之道歟아役 垂訖에埈益이請跋文於不佞커늘固辭不獲而敍之如右 하고亦寓高山景行之忱焉이라
歲戊寅閏五月日后學礪山宋瓊煥謹跋
唐谷鄭先生實紀下
[刊記]
一九九八年七月日
一九九八年七月日
發行處:咸陽郡咸陽邑雲林里
成均館儒道會咸陽支部
發行人:咸陽郡休川面木峴里
成均館典學 鄭埈益
印刷:晉州市鳳谷洞四八二-二九
東洋印刷社
電話(○五九一)四三-四○○七
...........................
함양선비<당곡 정희보> 영남 호남 땅 인재 반이 '제자'
함양 수동에서 거창 쪽으로 약 5분 정도 가다 보면 우명리 동안 마을이 나온다.
국도에서 얼마 떨어지지 않은 곳에 감모재(感慕齋)라는 재실과 바로 옆에
[당곡선생신도비(唐谷先生神道碑)]가 있다. 바로 위 야트막한 언덕에 선생 묘소도 있다.
선생의 학덕과 인품에 비해 재실은 너무 초라해 보였다. 선생 별세 후 후학들이 선생을 모실 때
없어 제자 옥계(玉溪) 노진(盧 )이 주향(主享)으로 있는 당주서원( 洲書院)에 별묘(別廟)를
만들어 모셨고, 1868년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당주서원이 없어지자, 1948년에 후손들이
감모재를 건립하여 선생을 추모하고 있다 한다.
지금 함양의 유림들은 당곡을 {제자 치레는 잘 하셨는데 당신 치레를 못하신 어른}이라고
하며,선생의 학덕이 세상에 널리 알려지지 않은 것을 안타까워하고 있다. 당곡(唐谷)
정희보(鄭希輔). 소백산맥 동쪽 기슭 지리산 황석산 덕유산 등에 둘러싸여 수려한 경관을
가진 고장,조선시대 [左安東 右咸陽]이라 불렸을 정도로 어진 선비와 뛰어난 학자가 많이
배출된 함양에서 내로라하는 인재를 키운 학자다.
그의 제자 옥계 노진은 {영남 호남 땅의 인재 반은 선생의 문하생이다}라고 할만큼
당시 당곡 문하에서 많은 인재가 배출되었다. 이조판서를 지내고 문효공(文孝公) 시호를
받은 옥계 노진, 이조판서를 지내고 문청공(文淸公)시호를 받은 청련(靑蓮) 이후백(李後白),
이조판서에 증직된 구졸(九拙) 양희(梁喜), 남계서원에 배향된 개암(介庵) 강익(姜翼),
홍문관(弘文館) 전한(典翰)을 지낸 덕계(德溪) 오건(吳健), 문장 행의(行宜)로 거창
영빈사(瀯濱祠)에 모신 매촌(梅村) 정복현(鄭復顯), 시와 명필로 이름 난 매암(梅庵) 조식(曺湜),
군수를 지낸 남계( 溪) 임희무(林希茂), 노진의 아우 사암(徙庵) 노과, 홍문관 저작(著作)을 지낸
양성헌(養性軒) 도희령(都希齡), 죽암(竹庵) 양홍택(梁弘澤), 우천(愚泉) 우적(禹績),죽헌(竹軒)
정지(鄭摯),도탄(桃灘) 변사정(邊士貞) 등이 문인록에 있는 제자들이다.
영호남 인재 반이 당곡의 제자라는 말이 과장이 아닐 정도로 많은 인재들이 글을 배웠다.
이중 옥계 노진은 남명이 함양 쪽으로 유람올 때 꼭 불렀을 만큼 두터운 친분을 가졌으며,
개암 강익, 덕계 오건, 매촌 정복현, 남계 임희무, 양성헌 도희령 등은 뒤에 남명 문인이
되기도 하였다. 이들은 어릴 때부터 당곡에게 글을 배워 문리(文理)를 어느 정도 터득한 후
남명의 문하에 들어가 다시 모자란 공부를 하였을 것으로 짐작된다.
또한 이들은 남명의 명성이 높자 남명의 제자로서 널리 알려지기도 하였다.
당곡은 1488년(성종 19년) 진양 정씨 효충(孝忠)의 둘째 아들로 남해군 이동면(二東面)
초양리(草陽里)에서 출생하였다. 당곡의 형 희철(希哲)은 자암(自菴) 김구(金絿)와 교유가
있었다는 기록이 족보에 보이는데, 자암이 남해 유배 때의 일인 듯하다. 당곡은 17세때
함양군 수동면 당곡으로 이주하였다고 남해 군지에 기록되어 있다. 당곡이 남해를 떠나
함양에 오게 된 경위를 전하는 기록은 없다. 다만 부인 나주박씨가 함양군지 [名賢篇]에
이름이 있는 춘당(春塘) 박맹지(朴孟智)의 손녀임을 볼 때, 당곡은 당시 함양의 명문가인
나주박씨 집안으로 장가들어 이곳에 정착을 하게 된 것으로 보여진다.
박맹지는 1426년(세종 8년) 관변리(官邊里) 대수(大樹)에서 태어나 학행이 뛰어나
단종조 문과에 급제,삼가현감,승문원 교리 등을 지내고 1492년 67세로 세상을 떠난 인물이다.
당곡이 함양으로 이주해 평생을 보냈지만, 남해에서도 후학들이 서면 중현리에
운곡정사(雲谷精舍)를 지어 당곡의 학덕을 기리고 있다. 당시 당곡이 이주해 온 곳은
당시 함양 동면(東面) 모간리(毛看里)였다.
지금 행정구역상으로 수동면(水東面) 우명리(牛鳴里)이다.
당곡이 35세때 집 남쪽 100여보 쯤에 집을 지어 제자들을 가르쳤는데, 지금 정확한
위치를 알 길 없지만, 함양 어른들은 {毛看里는 지금의 우명리 근처 [당내미]라고 하는
곳이 있는데 그곳이 당곡이 아닌가 싶다}라고 추측하고 있다. 당곡실기 서문을 지은
상주(尙州)의 선비 계당(溪堂) 류주목(柳疇睦 1813-1872)은 선생이, 살던 곳의 지명을 따서
호를 지었는데, 그곳은 산수가 빼어난 곳이라고 적었다. 우명리의 경치가 좋은 어디엔가
당곡이 제자들을 가르치면서 유유자적하게 보낸 곳이 있을 것인데 지금은 아무 흔적이 없어
찾을 길 없다고 하니 안타까울 따름이다.
함양의 유맥(儒脈)은 대단하다. 영남의 유학을 본격적으로 꽃피운 점필재 김종직의 제자로
광해 2년(1610) 문묘에 배향된 일두(一 ) 정여창(鄭汝昌)의 유풍이 살아 숨쉬는 고장으로
그야말로 안동에 비견될 만한 고장이었다. 그러나 무오사화로 인해 일두와 그 문인들이
화를 당하고부터는 함양의 유맥을 이끌 마땅한 인물이 없었다.
이때 당곡이 있어 함양의 유맥을 이은 것이다.
한말(韓末) 창녕의 학자 심재(深齋) 조긍섭(曺兢燮.1873-1933)은 이를 {함양은 옛날 文獻公
정여창의 고향이다. 문헌공으로부터 당곡에 이르기까지 세월이 얼마 되지 않아 문헌공이 남긴
학풍이 없어지지 않았을 것이고, 당곡이 마땅히 이를 취했을 것이다}라고 하여 당곡이 일두
정여창의 유맥을 이었음을 말하고 있다.
1547년(중종2년) 60세의 일기로 선생은 세상을 떠났다. 그해 겨울에 문인들이 장례를 치르려
했으나 시기가 좋지않아 다음해 무신년에 비로소 장례를 치렀다.
당곡은 성리학에 지대한 관심을 가지고 많은 저술을 하였으나, 대부분 전쟁중에 소실되어
수습하지 못하고 몇몇 글들만을 모아 1책으로 엮은 49장 분량의 [唐谷鄭先生實紀]만 지금껏
전해오고 있다.전하는 글의 내용은 시 6편 부 1편, 나머지는 성리학에 관한 내용들과 당시
그의 문하에서 수업한 문하생들이 선생을 추모한 것이다.
당곡은 벼슬을 하지 않고 평생을 후학 가르치는 것을 즐거움으로 삼았다. 그의 문하에서
과거에 급제하여 벼슬을 한 사람들이 많이 배출되어, 벼슬로 혹은 학행으로 드러나 후세에
이름이 전하건만 정작 그들을 가르친 [선생] 당곡은 후학들에게 잊혀져 가고 있다.
필자는 당곡선생의 묘소를 참배하면서, 선생의 학문과 정신을 널리 선양하여 후학들이
고결한 학덕을 본받아 잊혀져 가는 우리의 선비정신을 일깨웠으면 하는 마음이 간절하였다.
(2000.7.26. 경남일보)
.....................
암서집 제20권 / 기(記) / 운곡정사 기〔雲谷精舍記〕
긍섭(兢燮)이 어릴 때 듣기를, 함양(咸陽)에 정당곡(鄭唐谷) 선생이 깊은 덕과 학문으로 일시의 사표가 되었다고 한다. 일찍이 선생에게 배웠던 노옥계(盧玉溪)ㆍ양구졸(梁九拙)ㆍ강개암(姜介庵) 같은 제현들이 모두 이름난 선비로 일컬어졌다. 나는 가만히 생각하기를, “함양은 고(故) 문헌(文獻) 선생의 고향이다. 문헌 선생의 시대에서 당곡 선생에 이르기까지 오래되지 않아 유풍(遺風)이 아직 다하지 않았으니 문헌 선생의 유풍을 취함이 마땅하다.”고 하였다.
하루는 남해(南海)의 선비 정양기(鄭暘驥) 군과 이기준(李基俊) 군이 그 고을의 여러 선비들 편지를 가지고 북쪽으로 4백 리를 달려 나의 집에 이르러 고하기를, “우리 고을에 옛날 정당곡 선생의 사당이 있었던 것은 선생이 태어난 것이 실로 이곳이기 때문입니다. 사당이 허물어져 폐허가 된 지 50년이 되어 갑니다. 모(某) 등이 서로 힘을 합하여 그곳에 한 채의 집을 짓고, 사당의 옛 이름을 그대로 써서 편액을 ‘운곡정사(雲谷精舍)’라 하고, 장차 때로 이곳에 모여 선생의 도를 강론하려 합니다. 그대는 일언(一言)을 아끼지 말고 기문을 지어 주기 바랍니다.”라고 하였다. 긍섭은 편지를 열어보고 탄식하여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아, 남해 고을은 내륙에서 매우 멀고 아득히 막힌 곳에 있어서 비록 교화가 융성한 때에 있어서일지라도 성명(聲明) 문물(文物)의 영향이 항상 내륙보다 뒤졌다. 그런데 당곡 선생이 여기에서 분연히 흥기하였으니 ‘호걸(豪傑)의 선비’라고 말할 수 있지 않겠는가? 그런데 지금 듣건대, 이 고을의 사방 경계에 문교(文敎)를 익히는 소리가 서로 들리고, 또 능히 전현을 사모할 줄 알아 차마 그 유지(遺址)를 황폐하도록 내버려 두지 않으려고 한다. 이와 같다면 메아리로 인하여 그 소리를 구하고 이름을 따라 그 실상을 바라는 일이 장차 여기에 있을 것이니, 백대의 후에 선생 같은 사람이 이어서 배출됨이 있지 않을 것인가? 이것을 기록할 만하다.
강론할 도와 같은 것은 선생이 남긴 말씀이 있으니 미루어 연역(演繹)할 수 있고, 또 능히 소급하여 올라가서 선생이 다 얻지 못한 것을 찾을 수 있다. 이것이 곧 내가 여러 군자들에게 바라는 것이다.
[주-D001] 정당곡(鄭唐谷) : 정희보(鄭希輔, 1486~1547)를 말한다. 자는 중유(仲猷), 호는 당곡(唐谷), 본관은 진양(晋陽)이다. 관련 자료로는 《당곡정선생실기(唐谷鄭先生實紀)》가 있다.[주-D002] 노옥계(盧玉溪) : 노진(盧禛, 1518~1578)으로, 본관은 풍천(豊川), 자는 자응(子膺)ㆍ자용(子庸), 호는 옥계(玉溪)이다. 1546년(명종1)에 문과에 급제하였다. 관직은 이조 판서에 이르고, 청백리에 녹선되었다. 저서로는 《옥계집》이 있다. 시호는 문효(文孝)이다.[주-D003] 양구졸(梁九拙) : 양희(梁喜, 1515~1580)로, 본관은 남원(南原), 자는 구이(懼而), 호는 구졸(九拙)이다. 1546년(명종1)에 문과에 급제하였다. 관직은 이조 참판에 이르렀다. 저서로는 《용성세고(龍城世稿)》 권1에 《구졸암고(九拙菴稿)》가 전한다.[주-D004] 강개암(姜介庵) : 강익(姜翼, 1523~1567)을 말한다. 자는 중보(仲輔), 호는 개암(介庵) 또는 송암(松庵), 본관은 진주(晋州)이다. 경상남도 함양(咸陽)에서 살았다. 1549년(명종4) 진사시에 합격하였다. 1552년(명종7)에 남계서원(藍溪書院)을 건립하여 일두(一蠹) 정여창(鄭汝昌, 1450~1504)을 제향하였다. 뒤에 남계서원에 제향 되었다. 저서로는 《개암집》이 있다.[주-D005] 문헌(文獻) 선생 : 정여창(鄭汝昌, 1450~1504)을 말한다. 자는 백욱(伯勗), 호는 일두(一蠹), 본관은 하동(河東)이다. 경상남도 함양(咸陽)에서 살았다. 점필재(佔畢齋) 김종직(金宗直, 1431~1492)의 문인으로 무오사화에 연루되어 죽었다. 시호는 문헌(文獻)이다. 함양의 남계서원(藍溪書院)에 제향 되었다. 관련 자료로는 《일두집》이 있다.[주-D006] 남해(南海) : 경상남도의 군읍(郡邑) 이름이다.[주-D007] 호걸(豪傑)의 선비 : 재덕이 출중한 선비를 말한다. 맹자가 말하기를 “문왕을 기다려 흥기하는 사람은 평범한 백성이니, 재덕이 출중한 선비의 경우는 비록 문왕이 없더라도 오히려 흥기한다.〔待文王而後興者, 凡民也, 若夫豪傑之士, 雖無文王, 猶興.〕”라고 하였다. 《孟子 盡心上》
ⓒ 부산대학교 점필재연구소 | 김홍영 (역) | 2015
http://cafe.daum.net/ygmui/52qe/4143
[출처] 당곡 정희보에 관한 강동욱 박사의 글|작성자 ahn6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