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30일
오늘 중학생이 된 마음을 표현했다. 자신의 마음을 다른 친구들에게 말할 수 있어서 재미있었다./우리반 친구들이 전보다 시끄러워 진 것 같다. 아마 내 생각에는 중학교에 적응도 하고 친구들과도 많이 친해져서 인 것 같다./곧 급식을 먹을 수 있어서 신난다. 앞으로 수요일 4교시를 국어시간이라는 것을 기억하면 국어시간이 더 재미있을 것 같다.
3월 31일
오늘 국어시간에 비유법이 원관념을 보조관념에 빗대어 표현하는 것이라는 것을 배웠다. 모둠원끼리 시 한편을 통째로 외워 모둠 점수를 얻는 활동도 하였다. 시를 모두 맞추면 점수 5점을 얻을 수 있었는데, 우리모둠이 시를 모두 맞춰 5점을 얻게되어 기분이 좋았다./이제 다음 시간은 체육시간이다. 배재체조 말고 재미있을 것 같다.
4월 1일
오늘 국어시간에 비유와 상징을 찾아보는 활동을 했다. 저번 시에서 있는 원관념과 보조관념을 3세트 찾고, 그 시의 주제를 찾았다. 주제가 내 얼굴은꽃 같다는 것을 자랑하려는 것을 보니 이 시를 쓴 사람은 정상이 아닌 것 같다. 선생님이 시인들은 떨어진 꽃잎을 보고 눈물을 흘리는 사람들이 하는 것이라고 하셨다. 국어 선생님은 정말 재미있는 것 같다. 국어신간이 초등학교보다 재미있다.
4월 5일
오늘 '나는 지금 꽃이다'라는 시를 읽고 문제를 푸는 활동을 하였다. 모둠별로 칠판에 자신의 모둠이 쓴 것을 발표할 수 있어서 더욱 재미있었다. 이버에 문제를 풀면서 다시 생각할 수 있었던 것은 이 시를 쓴 사람은 정상이 아니라는 것이다. 요즘 이 시 덕분에 많이 웃는 것 같다. 이제 곧 쉬는 시간이어서 기분이 좋다. 열심히 쉬고 다음시간에도 열심히 공부해야겠다.
4월 7일
오늘 '나는 지금 꽃이다' 시를 마무리했다. 이 시의 갈래, 성격, 재제, 주제, 특징을 공부했다. 또, 이 시의 형식에는 형식이 정해지지 않은 자유시와 형식이 정해진 정형시가 있고, 시의 내용에는 감정을 말하는 서정시와 사실을 말하는 서사시가 있다는 것을 알았다. 또, '새로운 길'이라는 시를 외웠다. 국어시간이 재미있고, 다음 시간이 기다려진다.
4월 13일
오늘 윤동주 시인의 <새로운 길>이라는 시에 대한 문제를 풀었다. 우리 모둠이 푼 문제를 맞아서 좋았다. 또, 비유와 상징의 차이를 배웠다. 선생님이 비유는 원관념이 있지만, 상징은 원관념이 없다는 것을 알려주셨다. 따라서 상징이 원관념보다 해석하기 어렵다고 하셨다. 이렇게 열심히 공부하면 국어를 더 잘하게 될 것 같다.
4월 14일
오늘 윤동주 시인의 <새로운 길>을 정리했다. <새로운 길>의 갈래, 성격, 재제, 주제, 특징을 배웠다. 또, 문학에는 음운 문학, 산문 문학이 있다는 것을 배웠다. 비문학에는 논설문이 있다는 것도 배웠다. 윤동주 시인의 일대기도 영상으로 봤는데, 윤동주 시인은 정말 대단한 것 같다. 그리고, 내와 고개가 일제강점기를 의미하고, 숲, 마을이 독립을 의미한다는 것을 듣고 놀랐다. 오늘도 열심히 배워서 기분이 좋다.
5월 2일
오늘 새로운 조를 짰다. 나와 친한 친구들이 같은 모둠이 되어 좋았다./오늘 엄마, 아빠, 선생님, 친구에게 들은 말 중 가장 감동적인 말을 쓰는 활동을 했다. 들었던 말중 가장 기분 좋은 것을 쓰는 것이어서 다시 그때의 기분을 느낄 수 있었다. 앞으로 나도 남을 기분좋게 하는 사람이 되고싶고, 그렇게 되도록 노력해야겠다.
5월 4일
오늘 교과서에서 나온 대화중 상대를 배려하지 않은 말을 고치는 활동을 했다. 그 글을 보니 정말 듣기 싫은 말들이 많았는데, 주변의 대화와 비슨한 것 같다. 앞으로 욕을 덜 사용하고, 친구들한테도 그렇게 조언을 해주어야겠다./우리 모둠이 이번에 고치는 것을 많애 하지 못했는데, 다음 시간에 다 고쳐서 발표를 잘 하고, 모둠 점수도 많이 받아야겠다.
5월 13일
오늘 배려하며 말하기를 마무리했다. 저번에 배려하며 말하는 방법으로 역할극을 했는데, 그대로 되는 상황에서 문제를 풀며 복습할 수 있어서 좋았다. 앞으로는 친구를 더 배려하며 말하도록 노력해야겠다. 그리고 상처를 받은 친구의 입장에서 일기를 써볼 수 있었다. 그리고 그것 덕분에 그 친구들의 마음이 어떨지 알 수 있었고, 만약 이것이 실제라면 더 마음이 아플 것 같다. 나는 앞으로 그 사람들을 도와주어야겠다.
5월 17일
오늘 어휘에 관해 알아보았다. 어휘는 공통된 특징을 가지고 묶인 단어의 집합을 어휘라고 한다. 그리고 어휘에는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가 있고, 어휘는 기원, 지역, 집단에 의해 분류된다. 또, 고유어에는 의성어, 의태어, 색체어 등이 있고, 한자어는 한자에 기초하여 만들어진다. 그리고 외래어는 다른 나라 말에서 들어와 우리말처럼 쓰이는 말이다. 그리고 우리는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를 상황에 맞게 적절하게 사용해야 한다.
5월 19일
오늘 어휘의 세계를 더 공부했다. 오늘은 집단에 따라 쓰는 말, 전문어, 은어를 배웠다. 예를 들어 기상청에서는 호우주의보같은 언어를 사용하고, 화학 분야에서는 염화나트륨같은 단어를 사용한다(전문어). 또, 사냥꾼들은 날치나 소를 사고 팔 때 쓰는 저울같은 단어를 사용한다(은어). 하지만, 전문어는 그것을 모르는 사람들과는 사용을 자제하는 것이 좋고, 은어는 너무 많이 쓰면 비밀이 지켜지지 않기 때문에 남용하면 안된다.
5월 24일
오늘 어휘에 대한 문제를 푸어보았다. 문제를 풀며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 등에 대해 더 자세하게 알아볼 수 있었고, 그 예들을 볼 수 있었다. 또, 지역 방언이 사라지는 이유와 전문어, 은어가 쓰이는 이유도 더 자세하게 알아보았다. 그 이유를 알아보니 전문어, 은어가 더욱 세롭게 다가왔고, 그 지역의 특색을 가지고 있는 지역 방언이 표준어의 보급에 의해 사라지고 있다는 사실이 아쉬웠다.
5월 25일
오늘 어제 다 마무리하지 못했던 어휘의 세계를 마무리했다. 오늘은 지역 방언을 쓰는 까닭을 더 알아보았고, '금 알갱이로 장식한다'라는 뜻을 가진 누금이라는 전문어를 원래의 뜻으로 바꿔 같이 쓰인 단어(누금 기법)을 바꾸는 활동을 했다. 또, 은어를 사용한 사례와 그 사례를 통해 은어를 어떨 때 사용해야 하는지 더 자세히 공부했다. 오늘의 경험을 바탕으로 어휘를 더 잘 사용할 수 있을 것 같다.
10월 26일
1130 배양전 표관우1
배양전은 배재와 양정 사이의 경기이다. 우리 학교는 배양전을 위해서 6번~7번 정도 응원 연습을 하였다. 응원 연습을 할 때는 힘들기도 헀고 하기 싫기도 했지만 어느정도 연습이 되고 나니 재미있었다. 연습을 하던 중에 가장 재미있고 인상 깊었던 노래가 몇 가지 있었다. 첫 번째는 당연히 배재교가였다. 평소에 반 안에서 개별적으로 부를 때는 별다른 감정이 없었지만 학교 전교생이 다 같이 교가를 부르니 뭔가 더 특별하고 학교에 대한 자부심이 느껴졌다. 그 다음은 "달려간다"였다. 이 응원가를 부를 때 특이한 율동을 같이 하는데, 그것이 인상 깊었다. 처음에 그 율동을 배울 때는 동작이 촌스럽고 웃기다고 생각하였는데, 다 같이 하니 절도 있고 굉장히 멋있었다. 마지막으로는 "마징가 z"가 가장 재미있었다. 마징가z가 재미있었던 이유는 멜로디나 율동 때문이 아니다. 그 이유는 노래 중간중간에 잠깐씩 가사가 없는 부분에 우리에게 응원가를 가르쳐주신 전문배 선생님의 성함이 들어가서 였다. 예를 들면 '기운센 (전문배) 천하장사' 처럼 가사가 바뀌는 것이다. 이것이 어디서 시작되었는지는 모르겠지만 이제 전교생이 마징가 z를 그렇게 부른다. 이렇게 마징가z를 부르는 것이 정말 재미있었다. 이런 응원가를 말고도 다른 것들도 우리는 연습을 많이 했다. 그리고 그 덕분인지, 배재가 양정을 1경기 빼고 모두 이겼다. 아쉽게도 나는 학원 때문에 배양전을 가지 못했다. 다음 해에는 꼭 가보고 싶다. 선생님이 우리반 친구들이 응원하는 모습을 보내주셨는데, 정말 재미있어 보였다. 그냥 학원을 가지 말고 응원을 할걸 그랬다. 평소에는 평일에 했다고 하는데 이번에는 왜 주말에 하는지 모르겠다. 다음해에는 평일에 해서 갈수 있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