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교통수단
1. 가까운 거리 : 버스, 지하철, 택시 - 지불은 현금이나 교통카드
2. 먼 거리 : 기차, 고속버스, 시외버스, 배, 비행기 등을 이용함
*고속철도(KTX, SRT) 새마을호, 무궁화호 등등
(1) 시내버스
◉ 시내버스 이용방법
• 버스요금은 탈 때 현금을 지불하거나 교통카드를 사용한다.
• 교통카드는 정류장 주변의 판매점에서 구입할 수 있다.
교통요금은 한도금액 최대 50,000원까지 1,000원 단위로 현금을 충전할 수 있다.
※ 요즘은 신용카드에 후불식 교통카드 기능을 추가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 교통카드를 이용하면 요금이 할인된다. 또한 버스와 지하철을 갈아 탈 때 환승 요금이 적용되어 비용이 저렴해진다.
시내버스 요금 및 특징(일반요금)
시내버스 요금 및 특징(일반요금)구분교통카드현금
일반 시내버스 | 1,200원 | 1,300원 |
광역버스 | 2,300원 | 2,400원 |
마을버스 | 1,100원 | 1,200원 |
※ 위의 표는 서울 지역 기준이며 이용방법 및 요금은 지역마다 다를 수 있으니 각 지역 시 · 구청의 교통정보 사이트를 참고하면 된다.
알아두세요! 서울의 시내버스
간선버스중앙버스차선을 이용하여 교외 지역에서 서울 시내를 돈다.
지선버스서울 시내의 주요 지하철역이나 버스터미널을 연결하며 운행한다.
광역버스서울 도심과 위성 도시 통근을 위하여 특별히 고안한 특급 버스이다.
순환버스서울 시내를 돌며 주요 철도역뿐 아니라 상업, 관광과 쇼핑 지역에 정차한다.
마을버스철도역 또는 광역버스 환승거점, 아파트 단지 등 기타 지역을 잇는, 소규모 버스이다.
M버스(광역급행버스)수도권 도심의 교통혼잡을 완화하고 출퇴근을 신속히 하기 위해 기점 및 종점으로부터 5km 이내에 있는 4개 이내의 정류소만 정차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교통수단 (한국생활가이드북, 2018. 04.)
(2) 시외버스와 고속버스
◉ 시외버스 · 고속버스 이용방법
• 버스터미널에서 출발하며, 비교적 거리가 먼 지역의 도시를 방문할 때 이용한다.
• 시외버스는 여러 도시를 방문하므로, 소요시간이 고속버스에 비하여 긴 편이다.
• 고속버스는 한 도시만을 방문하며, 일반 고속버스와 우등 고속버스, 프리미엄 고속버스가 있다. 우등 고속버스는 좌석 간의 거리가 넓어 편하게 이용할 수 있고, 프리미엄 고속버스는 넓은 좌석 공간 및 테이블이 있고 개별 모니터가 전 좌석에 달려 있어 영화, TV 등 여러 콘텐츠도 즐길 수 있다. 가격은 프리미엄, 우등, 일반 고속버스 순서로 비싸다.
◉ 주요 도시 버스터미널
시외버스나 고속버스를 탈 때는 각 지역마다 있는 버스터미널에 가야 한다. 코버스(www.kobus.co.kr)나 시외버스예매(txbus.t-money.co.kr)에서 운행정보, 승차권 예약 등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터미널 이름전화번호
서울경부고속버스터미널 | 1688-4700 |
서대구 고속버스터미널 | 1666-2600 |
동서울 종합터미널 | 1688-5979 |
울산 고속버스터미널 | 1688-7797 |
센트럴시티터미널 호남 | 02-6282-0114 |
강릉 고속버스터미널 | 033-641-3184 |
상봉터미널 | 02-323-5885 |
속초 고속버스터미널 | 033-631-3181 |
서울 남부터미널 | 1688-0540 |
춘천 고속버스터미널 | 033-256-1571 |
수원 종합버스터미널 | 1688-5455 |
청주 시외버스터미널 | 1688-4321 |
인천 종합터미널 | 1666-7114 |
목포 종합버스터미널 | 1544-6886 |
안산 종합 여객자동차터미널 | 1666-1837 |
전주고속버스터미널 | 063-277-1572 |
의정부 버스터미널 | 1688-0314 |
광주 종합버스터미널 | 062-360-8114 |
대전 복합터미널 | 1577-2259 |
여수 시외버스터미널 | 1666-6977 |
천안 종합터미널 | 041-640-6400 |
부산 종합버스터미널 | 1577-9956 |
동대구 터미널 | 1666-3700 |
마산 고속버스터미널 | 1688-3110 |
2. 지하철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부산, 대구, 광주, 대전에서 지하철이 운행되고 있다. 수도권에는 9개의 지하철과 인천1 · 2호선, 분당선, 신분당선, 경의중앙선, 공항철도 등이 운영되고 있다. 노선별로 상이한 색상의 서울 지하철은 서울의 가장 변두리와 위성 도시 그리고 모든 곳을 가로지르는 많은 환승역이 기호로 표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지하철은 아침, 저녁 교통 체증 시간에는 2~3분 간격이고 그 외 시간에는 4~6분 간격이다.
(1) 승차권과 요금
구분교통카드1회용 교통카드
어른 | 1,250원 | 교통카드 운임에 100원 추가 |
청소년 | 720원 | 일반 1회권 적용 |
어린이 | 450원 | 교통카드 운임과 동일 |
※ 위의 표는 수도권 지역 10km 이내 기준이며 이용방법 및 요금은 지역마다 다를 수 있으니 각 지하철 운행기관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
(2) 이용방법
• 1회 기본구간일 경우 1,250원이며(10km 이내 교통카드 사용), 거리에 따라 요금이 추가 부과된다.
• 운행 시간은 일반적으로 오전 5시 30분부터 자정까지 운행한다.
• 지하철 노선도는 지하철역 곳곳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휴대가 편리한 포켓용 노선도는 각 지하철 종합안내센터 또는 역무실에서 무료로 얻을 수 있다.
• 지하철이 운행되는 모든 지역에서 교통카드를 이용하여 버스와 지하철을 바꿔 탈 경우, 환승요금제가 적용되어 할인받을 수 있다. 할인되는 방식은 지역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요금이 다를 수 있다.
• 요금은 현금으로 지급해도 무방하나, 할인이나 환승제 적용을 받지 못한다. 따라서 교통카드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교통카드에는 항상 1회 이용요금 이상의 잔액이 남아있어야 한다. 잔액이 부족한 경우, 버스정류장의 매표소나 전철 내 교통카드 충전기에서 원하는 현금을 내고 충전할 수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교통수단 (한국생활가이드북, 2018. 04.)
무인 발매기 정보
🚍무인발매기
① 교통카드 충전, 1회용 승차권 발급, 무임용 교통카드 중 원하는 서비스를 고른다.
② 행선지 선택버튼(운임)을 누른다.
③ 구매 시 필요한 매수를 누른다.
④ 돈을 넣는다.
※ 1회용 승차권 구입시 운임과 별도로 보증금이 필요하며, 보증금은 하차 후 보증금 환급기에서
돌려받을 수 있다. 지역별로 1회용 승차권의 보증금 및 형태가 다를 수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교통수단 (한국생활가이드북, 2018. 04.)
🚍 서울 지하철
서울교통공사 www.seoulmetro.co.kr
서울시 메트로 9호선 www.metro9.co.kr
한국철도공사 www.korail.com
네오트랜스주식회사 www.shinbundang.co.kr
코레일공항철도 www.arex.or.kr
3) 한국의 교통수단
한국의 교통수단 대한민국의 총 면적은 9만 9313㎢이다. 서울에서 부산까지 거의 500km 정도 되며, 자동차로 보통 5시간 이상 소요된다. 사람들은 각 지역을 이동할 때 주로 고속버스나 기차를 이용한다. 서울에서 부산까지는 고속버스로 약 5시간 정도, 기차로 약 4시간 정도 소요된다.
고속철도인 KTX가 생긴 이후로 지역 간의 이동이 더 용이해졌는데, 서울에서 부산까지 약 3시간 정도 걸린다. 제주도의 경 우는 배나 비행기로 이동하게 되며, 비행기로 약 50분 정도 소요된다.
첫댓글 와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