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주요 실습 일정
시 간 | 프로그램 | 대 상 자 | 내 용 | 실습생 역할 |
9:00~10:00 | 복지 요결 공부 | 실습생 전체 | -사회사업 간접 강점 ~ 맺음말 | 학습, 경청, 기록 |
10:00~10:30 | 지역사회 인사 | 실습생 | -관악 드림타운 M어머님께 전화 | 인사 |
10:30~11:00 | 슈퍼비전 | 실습생 | -전날 슈퍼비전 요청 사항 답변 경청 및 학습 -사업 논의 및 진행 사항 공유 | 학습, 경청, 기록 |
11:00~12:00 | 중간 평가서 작성 | 실습생 | -양식에 따라 중간 평가서 작성 | 기록 |
12:00~13:00 | 점심 식사 | - | - | - |
13:00~14:00 | 중간 평가서 작성 | 실습생 | -양식에 따라 중간 평가서 작성 | 기록 |
14:30~15:30 | 복지 요결 공부 | 실습생 | -동료 선생님과 복지 요결 나눔 | 학습 |
15:30~16:00 | 사업 논의 | 실습생 | -잔칫날 시간표 기획 | 경청, 기록 |
16:00~18:00 | 실습 일지 작성 | 실습생 | -실습 일지 기록 -실습 일지 업로드 | 기록 |
2. 실습 일정 세부 내용
1. 복지 요결 공부 (9:00~ 10:00)
구체화-구체적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점의 중요성을 배웠습니다. 사회사업의 방법인 묻고 의논하고 부탁하기에서 묻기를 희망과 강점을 이야기하게 합니다. 이때 무엇을 어떻게 하고 싶은지 희망을 구체화하게 합니다. 그렇게 하면 본인과 함께 할 사람과 같이 주도적으로 사업 참여하게 됩니다. 그래서 이런 작업을 잘해야 합니다. 그리고 감사에서도 고마움을 구체적으로 표현해야 합니다. 누가 언제 무엇을 어떻게 했고 어떤 의미 감동 효용이 있었는지 이야기합니다. 앞으로 우리가 하는 단기사회사업에서 감사는 이렇게 표현하기로 했습니다.
2. 지역사회 인사 (10:00~ 10:30)
잦은 왕래를 약속드렸던 M어머님께 바쁜 일정으로 인해 너무 오랜만에 연락드려서 죄송한 마음으로 전화를 걸었습니다. 오늘 오후에 어머님 댁에 찾아가 뵙고 싶었습니다. 하지만, 오후에 낙성대에 약속을 가신다고 하셨습니다. 이에 서로의 일정을 공유했습니다. 어머님께서 이번 주 목요일 오전에 있는 탁구 연습 모임에 오셔서 탁구 치는 것을 구경하고 싶다고 하셨습니다. 그래서 이번 주 목요일 오전 지하 1층 강당에서 어머님을 만나 잔칫날 무슨 곡을 부르실지, 리허설이 필요하실지 여부를 여쭤보고 어머님의 공연을 돕기로 했습니다.
3. 슈퍼 비전 (10:30~11:00)
전날 슈퍼비전으로 요청을 드렸던 질문에 대한 답변을 받았습니다. 자세한 슈퍼바이저 선생님의 설명을 통하여 좋은 학습을 할 수 있었습니다. 실제 적용 사례를 보여주시며 활동일지에 대해 알게 되었습니다. 활동일지의 진행자 평가가 모여서 총평가가 됩니다. 이 활동일지의 진행자 평가는 사전과 사후 중간의 과정입니다. 우리가 어떠한 노력을 했고 의미가 있는지, 사업 목적을 잘 이뤘는지를 파악할 수 있게 한다고 하셨습니다. 이에 앞으로 활동일지의 진행자 평가에 어떠한 내용을 써야 할지 명확히 알게 되었습니다.
다음으로 사업을 논의하였습니다. 오늘 당일 타임 테이블과 업무 분장에 대해 논의해서 만들기로 했습니다.
마지막으로 비폭력 대화에 대해 알려주셨습니다. 비폭력 대화에서 대화의 근본적인 성질은 두 가지로 나뉘어진다고 합니다. 바로 부탁과 감사입니다. 이에 대해 사회사업을 하면서 당사자와 대화할 때, 깊은 뜻을 이처럼 파악할 수 있다고 조언을 주셨습니다.
3. 실습 일정 평가
1) 배운 점
-자연주의 사회사업의 묘미 ‘변수’
오늘 아침 우리 사업에 대해 슈퍼비전을 주신 부분에서 큰 배움을 얻었습니다. 우리는 당사자의 자주성에 따라 자연주의 사회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그러다 보면 늘 변수가 생기기 마련입니다. 처음과 달리 그 변수가 좋은 것이라면 반영하여 사업이 흘러가게 합니다. 그러기에 처음 계획을 고집하기보다 좋은 변수를 반영하여 사업을 진행해야 할 것입니다.
저는 저의 강점도 잘 파악하고 있듯이 약점도 파악하고 있습니다. 저는 모 아니면 도, 흑백논리가 강한 사람입니다. 늘 정확하게 하려고 합니다. 사람과의 관계에서도 정확하게 구분을 지으려 해서 저와 저를 사랑하는 주변 사람들이 곤란을 겪은 적이 많습니다. 계획도 이러했습니다. 계획이 틀어지면 건강 악화로 이어질 만큼 심하게 스트레스를 받았습니다. 그래서 제 삶을 위해 약점을 보완하려 하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계속 훈련하는 것은 계획이 틀어지거나 정확하지 않은 것들로부터 스트레스가 오면, 그 상황에서 한발 물러나 제3 자의 시선으로 그 상황을 보는 것입니다. 그리하면 ‘사람이 살다 보면 그럴 수도 있지. 지금 정확하게 단정 짓는 것, 이 외에 더 중요한 건 무엇일까?’를 자연스레 생각하게 됩니다.
오늘 아침 사업 회의에서 이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고, 사회사업도 결국 모두 사람들이 하는 일이라 오히려 계획이 틀어지지 않으면 이상한 일일지도 모르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제가 평소에 나를 위해 그러한 훈련을 하듯, 사회사업도 한 걸음 뒤로 물러나 나무에 집중하기보다 숲에 집중하기도 하며 근본은 지키되, 유연한 생각을 할 수 있도록 해야겠습니다. 그것이 사회사업을 위해서라면 우리는 자주 그 훈련을 해서 여유를 가져야 할 것입니다.
2) 보완점
은영 선생님과 11시에 중간 평가서를 같이 쓰기 시작했습니다.
선생님은 한 시간 동안 평가서를 거의 다 완료하셨습니다.
늘 일지를 같이 쓰기 시작하면 은영 선생님은 빠르게 끝내고 다른 실무를 작성해 주십니다.
이에 은영 선생님께 항상 감사합니다.
손이나 머리가 느리다기보다 글을 시작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것 같습니다.
은영 선생님이 오늘 점심을 먹으러 가며, ‘나는 10년동안 보고서를 썼는데 당연하죠!’ 하셔서
은영 선생님의 10년 경력을 날로 먹으려고 노력하는 저도 성찰하게 되었지만,
보고서를 쓰거나 잔치 준비를 하는 실무에 있어서 제 능력치로 인해
고생해 주시는 은영 선생님께 늘 죄송합니다.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을지 늘 고민하고 최선을 다해 노력하는 동료가 되도록 하겠습니다!
3) 슈퍼비전 요청 사항
슈퍼비전 주신대로 은영 선생님과 함께 복지 요결을 공부하며 궁금한 점을 같이 해결해 나갔습니다.
그리하여 오늘은 슈퍼비전 요청 사항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