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주요 실습 일정
시 간 | 프로그램 | 대 상 자 | 내 용 | 실습생 역할 |
9:00~9:45 | 복지요결 공부 | 보라매동팀 | -복지요결 공부(57~65p) | 학습, 경청 |
10:00~11:30 | 기획단 회의 준비 | 보라매동팀 | -회의 내용 선정 | 기록, 회의 |
12:00~13:00 | 점심식사 | - | - | - |
13:10~14:00 | 사례관리 당사자 만남 | 보라매동팀, 사례관리 당사자, 윤명지 선생님 | -인사 및 자기소개 -온기종기 마을잔치 설명 -행사 당일 안전 지도 부탁 | 인사, 경청 |
14:00~17:00 | 기획단 회의 | 온기종기 마을잔치 기획단, 보라매동팀 | 상품 및 상장 관련 내용 논의 - 역할 분담 및 세부 규칙 논의 | 기록, 경청 |
17:30~17:40 | 활동 피드백 | 보라매동팀, 사례관리 당사자, 마을 어르신 | -금일 활동 결과 피드백 | 기록, 경청 |
17:45~18:00 | 슈퍼비전 및 활동 피드백 | 보라매동팀, 윤명지 선생님 | -슈퍼비전 -금일 활동 결과 피드백 | 기록, 경청 |
2. 실습 일정 세부 내용
-복지요결 공부(9:00~9:45)
: 복지요결 공부를 위해 보라매동 실습생 모두 사회사업가의 역할(57~65p)를 소리내어 읽으며 공부했습니다. 각자 어떤 점을 느꼈는지, 또는 실습 기간에 어떤 점을 적용했는지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기획단 회의(14:00~17:00)
: 아이들이 공유공간에 도착하자마자 행사 당일에 안전 지도를 맡아주실 사례관리 당사자 선생님을 소개했습니다. 기획단 아이들 모두 어색하지만 씩씩하게 자기소개를 했습니다.
이후에 본격적인 회의를 시작했습니다. 우선 행사 당일에 상장을 얼마나 준비할지, 그리고 어떤 상을 줄지 회의했습니다. 아이들은 저마다 재미있고 독특한 상 이름을 이야기합니다. “다나까상이요!” “누구도막을수없상!” “현타없상 할래요!” 상장마다 여러 후보가 나왔고, 거수 투표를 통해 이름을 정했습니다.
예란 선생님의 도움으로 아이들은 각자 마을잔치 때 어떤 역할을 맡을지 정하고 행사 당일을 상상하며 세부적인 규칙을 세웠습니다. 작은 율이와 은성이가 만두 빚기와 팽이치기를 맡아주었고, 큰 율이와 강우가 딱지치기와 윷놀이, 비와 결이가 장기자랑, 그리고 선우가 시상식을 맡게 되었습니다. 총괄 진행자는 역할이 적은 선우와 가위바위보에서 당당하게 이긴 비가 맡아주었습니다. 팀마다 세부 규칙과 진행 방식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고 오늘 회의를 마무리했습니다.
3. 실습 일정 평가
1) 배운 점
아이들에게 과업이 와닿을 수 있도록!
: 오늘 진행 조력자를 맡아 강우와 함께 회의를 진행했습니다. 그동안 회의를 너무 많이 해서인지, 아이들이 전반적으로 집중하기 힘들어 보였습니다. 이때 예란 선생님께서 본인이 직접 만든 타임테이블을 아이들에게 보여주며 역할 분담을 도와주셨습니다.
아이들은 타임테이블을 보고 감을 잡았는지, 오히려 적극적으로 세부 규칙과 진행 방식에 대한 아이디어를 내주었습니다. 특히 은성이는 본 회의 때보다 더 집중해서 만두 빚기와 팽이치기를 할 때 어떻게 진행하면 좋을지 이야기해주었습니다.
아이들이 스스로 과업을 해결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무작정 기다리는 것보단 아이들에게 과업이 와닿을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이 사회사업가로서 필요한 태도임을 배웠습니다.
아는 것과 실천하는 것
작은 율이와 큰 율이가 서로 감정이 조금 상하는 일이 있었습니다. 이때 승연 선생님은 상황을 몰랐던 저와 예란 선생님에게 자초지종을 설명한 후 직접 작은 율이와 큰 율이를 따로 불러 차분히 이야기했습니다. 서로 본인이 했던 잘못에 대해 사과하고, 작은 율이가 일정 때문에 먼저 갈 때에는 각자 맡았던 역할을 수행하느라 고생했다고 격려하는 모습을 보았습니다.
오늘 승연 선생님이 보여준 모습처럼, 복지요결 공부나 슈퍼비전을 통해 배운 것을 아이들과의 활동에서 실천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자 합니다.
2) 보완점
해당사항 없습니다.
3) 슈퍼비전 요청 사항
해당사항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