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황점볼락 : Sebastes oblongus Günther
► 이 명 : 꺽더구, 검서구, 검강구
► 외국명 : (영) Oblong rockfish, (일) Takenokomebaru (タケノコメバル)
► 형 태 : 크기는 전장 35㎝ 정도되는 중형 볼락류이다. 겉모양은 볼낙과 유사하나 조금 길고, 빛깔은 암황갈색으로 옆에 4~5줄의 불규칙하고 분명하지 않은 흑갈색의 반문이 있으나 약어에는 불규칙한 가로띠가 있다. 눈을 중심으로 방사상의 흑색 띠가 있다. 주둥이는 길고 양 턱은 길이가 같으며, 양 턱, 서골과 구개골에는 융털 모양의 이빨띠가 있다. 서골치총은 삼각형이다. 두 눈 사이는 평탄하고 폭이 넓다. 머리의 가시는 강하나 위로 뻗지 않고 코가시, 안후극, 귀가시 및 노정극은 있으나 안전극, 안상극 및 이마가시는 없다. 꼬리지느러미는 둥글게 돌출하며, 등지느러미의 가시는 13개이다.
크기는 최대 전장 35㎝까지 자란다. 몸에 작은 점이 많아 황점볼락(yellow spot rockfish)이라 부른다. 몸은 방추형으로 몸과 머리는 옆으로 납작하며 약간 길다. 머리의 가시는 강하나 위로 뻗지 않는다. 눈 아래에는 가시가 없다. 머리는 크고 눈은 작아 주둥이의 길이보다 약간 짧다. 양 턱의 뒤끝은 눈의 후단부 아래까지 이른다. 입은 뾰족한 편이다. 측선은 뚜렷하고 아가미구멍의 위쪽에서 시작하여 꼬리지느러미 기부까지 뻗는다. 몸빛깔은 암황갈색으로 담황색 바탕에 옆구리에 4∼5줄의 불규칙하고 희미한 가로띠가 있으나 어려서는 더욱 분명하지 않다. 눈을 중심으로 방사상의 검은색 띠가 있다. 각 지느러미는 노란색 바탕에 흑갈색 점들이 흩어져 있다.
► 설 명 : 근해 연안의 암초지대에 서식하며, 거의 이동하지 않는 정착성 어종이다. 새우나 게류, 어류 등을 먹는다. 난태생으로 11월~다음해 1월에 7.0~7.5mm의 자어를 낳는다. 전장 35㎝의 성어는 3~11만 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자망, 낚시 등으로 어획한다. 일본 관서지방에서는 죽순이 나올 무렵에 많이 잡히고 이 시기에 맛이 가장 좋기 때문에 “takenoko(죽순)”라는 이름이 붙었다. 맛이 좋아 한국에서는 생선회, 매운탕, 구이, 찜, 냄비요리, 어죽 등으로 이용하며, 인기가 많다.
가두리에서 월동이 가능하고, 내만에서 거의 이동하지 않고 사는 습성 때문에 종묘 방류를 통한 연안자원을 조성하고 어업생산을 높이는데 효과가 좋다. 남획으로 인한 자원 고갈이 심각하여 한국의 국립수산과학원에서는 1994년부터 매년 10만 마리씩 종묘를 연안에 방류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제철은 봄~초여름이다. 비늘은 단단하지만 제거하기 쉽다. 껍질은 두껍고 질기다. 뼈는 약간 단단하다. 살은 투명감이 있는 백색이다. 살은 구우면 약간 단단하게 조여지지만 매운탕이나 찌개처럼 물을 통해 가열하면 조금 덜 단단해진다. 뼈와 살은 잘 분리되며, 좋은 국물이 나온다. 죽은 후에는 선도 저하가 빠르고, 살의 투명감이 없어지므로 생선회는 활어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생선회는 살에 감칠맛이 적으며, 기름이 많이 오르는 일도 없지만 약한 단맛이 있다. 담백한 맛을 보충하려면 간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다른 볼락류와 마찬가지로 매운탕이 제격이다. 간, 위장, 심장 등도 맛이 좋으며, 맛있는 국물이 나온다. 소금구이, 찜, 조림, 찌개, 국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이용한다.
► 분 포 : 한국(남해안, 제주도), 일본(하코다데 이남에서 큐우슈우까지), 대만, 남중국해 등 서부태평양 연안에 분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