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주요 실습 일정
시 간 | 프로그램 | 대 상 자 | 내 용 | 실습생 역할 |
9:00 – 10:00 | 복지요결 | 실습생 전체 | 사회사업 평가 및 적용 | 경청, 학습 |
10:00 – 12:00 | 활동 기획 및 준비 | 보라매동 실습생 | - 리허설 준비 | 규칙 정리 |
12:00 – 13:00 | 점심시간 | - | - | - |
14:00 – 17:00 | 당사자 만남 | 보라매동 실습생 | 활동 구체화 활동 리허설 | 의견 조율, 진행 |
17:00 – 18:00 | 활동일지 작성 | 보라매동 실습생 | 활동 일지 작성 준비 물품 조사 | 활동 물품 구매, 아이들 소감 적기 |
활동을 직접해보며 즐기는 아이들 / 신발끈 묶어주는 기특한 강우
삐져서 숨어있는 강우 찾기~ / 아이들이 강우와 게임하고 싶어서 끌고 나오는 아이들
생각보다 어려운 탁구공 던지기 / 규칙 정할땐 얌전히 앉아서 의견 말하는 기특한 아이들~ 신비야 보고싶다
2. 실습 일정 세부 내용
- 복지 요결 (9:00 – 10:00)
오늘 복지 요결 사회사업 평가부분과 마지막 적용 부분을 공부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실습생들끼리 서로 느낀 점과 배운 것을 나누는 시간이었습니다. 평가회를 어떻게 진행할지에 대한 고민과 사회사업의 이상과 현실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하는 시간이었습니다. 읽으면서 배우는 것보다 나누는 시간에 배우는게 더 많았습니다.
- 당사자 만남 (14:00 – 17:00)
기획단 아이들과 복지관 본관에 위치한 강당에서 모임을 진행했습니다. 서진, 민주, 강우, 율이(중3)는 미리 도착해서 복지관에 와서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원래 2시부터 진행하려 했으나 강당에 오랜만에 온 아이들이 노는 시간도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여 20분정도 놀고 활동에 관한 이야기를 시작했습니다. 활동을 하며 정한 내용은 ‘4인 5각’ 게임 진행 순서와 ‘무궁화꽃이 피었습니다’ 규칙을 정하고 게임에 대한 준비물을 정했습니다. 다음 회의는 24일 2시에 진행하기로 약속하며 인사를 나누고 헤어졌습니다.
3. 실습 일정 평가
1) 배운 점
- 복지 요결 “이상과 현실은 다르다.”
복지요결 사회사업 평가와 적용부분을 공부하는 시간이었습니다. 평가를 보며 평가회는 추억과 사례 배움 강점 희망 감사를 이야기해야한다 말합니다. 마지막 기획단 수료식을 어떻게 진행하고 그림을 그려야할지 생각하였고 편지만 써주고 넘어갈려했지만 서로에 대한 배움과 강점 감사를 표현하면 더 좋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하지만 배운 것에 있어 이야기하며 감동이 넘치는 이상적인 그림이 좋지만 아이들이 행복하고 의미 있게 보낸 시간이라는 것을 말해주길 기대하는 시간이었습니다. 평가회가 하나의 일이 아니라 잔치로 생각되며 서로를 사랑하고 아끼는 시간이 되게 하고 싶습니다.
적용 부분을 읽으며 생각이 많아졌습니다. 처음에 배웠던 것과 같이 사회사업에 있어 모든 것은 ‘관계’로 시작되고 마무리 된다는 생각을 하였고 그러기 위해서 인사하고 묻고 의논하고 부탁해야 한다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다시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이후 실습생들의 이야기를 들으며 승주 선생님이 고민했던 당사자와 지역사회가 더불어 사는 삶에 대해 같은 생각을 했다는 것에 공감했습니다. 당사자와 사회사업가인 내가 하는 것이 아니라 지역주민들과 해야하는 것 아닌가? 라는 고민을 하고 있었는데 부장님 슈퍼비전으로 “그것은 우리가 배운 사회사업의 이상이다 현실은 어려울 수 있다”는 말에 배움이 있었습니다. 저도 사실 기획단 아이들과 회의하고 활동을 기획하면서 아이들끼리 의논하고 지역주민들과 함께 준비하는 것이지 나는 옆에서 그렇게 할 수 있게 돕는 역할이 아닐까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그렇게 지역사회와 당사자가 복지를 이루고 더불어 사는 일은 사회사업의 이상이고 당사자와 사회사업가의 관계도 매우 중요하기에 함께 준비하고 하는 것이 맞다 라는 이야기를 듣고 당사자의 자주성을 가지고 지역주민들이랑 하게 기다리고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나도 당사자가 되어, 지역주민이 되어 같이 활동을 하는 것도 하나의 사회사업이라는 깨달음이 있었습니다.
이후 재성 선생님의 나눔을 듣고 사회복지는 정답이 없다라는 생각을 한번 더 가지게 되었습니다. 사실 복지 요결을 읽으며 너무 사회사업이라는 것이 이렇게 해야 한다 라는 정답을 가지고 말하는 것 같아 비판적으로 보기도 했습니다. 근데 책을 읽을수록 정답이 아니라 계속 변화하고 상황에 맞게 사회사업가는 반응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복지 요결은 사회사업의 기본 틀이고 꼭 그대로 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응용해서 나만의 근본을 찾고 방법을 찾는 것이라는 생각이 들며 사회사업은 완벽이라는게 없고 계속 배우며 성장해야겠다는 다짐을 하는 시간이었습니다.
- 활동과 회의를 함께 하는 기획단 “애들아, 규칙을 정해볼까?”
기획단 아이들과 함께 본관 지하에 있는 강당에서 회의와 활동을 병행하며 진행했습니다. 아이들은 두 시까지 맞춰오라는 이야기에도 불구하고 그전에 도착해 “선생님 일찍 도착했어요”라며 자랑하고 복지관에서 함께 있다 강당으로 이동하였습니다. 함께 기획하고 준비했던 활동들을 직접 해보며 놓치고 있던 부분이나 바꿔야 할 규칙들이 있으면 정하기 위해 직접 해보는 활동이었습니다. 처음에 4인 5각 안에 게임들을 구성하고 배치까지 직접 하며 아이들이 주도적으로 판을 만들기 시작했습니다. 또한 팀을 만들고 다리 묶는 끈이 없으니 “신발 끈으로 묶어요”라며 서로 신발 끈을 묶어 다리를 고정하였습니다. 이후 아이들끼리 게임을 해보면서 불편한 점이나 게임의 순서를 변경해야 하는 것을 다시 의논하고 어떻게 하면 좋을지 규칙은 이게 좋은지 고민해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제기차기는 사람이 제일 오른쪽에 있어야 해. 왜냐하면 오른발로 차야하거든”, “그럼 왼발잡이는 어떻게 해?”, “방향을 바꿔야지! 그건 팀 안에서 정하면서 배치해야지”라며 서로 의견을 주고받으며 게임을 조율해 나갔습니다. 4인 5각 게임은 서로 아이들이 조율하면서 규칙과 순서까지 정했습니다. 재미있는 게임들이 만들어졌고 서로 규칙을 만들며 정하는 것이 인상 깊었습니다. 이후 아이들과 다른 팀게임인 줄다리기와 달고나는 아직 준비가 완벽하지 못해 진행하지 못했고, 무궁화꽃이 피었습니다를 진행하며 어떻게 규칙을 정할지에 대한 논의를 했습니다. “짝짓기를 넣어서 가는 길에 붙지 못하면 아웃으로 해보면 어떨까?”, “무조건 걸어가게 해야 할 거 같은데 좁을 수도 있잖아요.”, “짝짓기를 넣고 하면 다치지 않을까요? 위험할 거 같아요” 라며 서로 의견에 대해 이야기했습니다. 시간이 있으니 다해볼 수 있었고 모든 경우의 수를 다 진행해보며 가장 적합한 규칙을 찾았습니다. ‘무조건 걷기, 입모양도 움직이면 안됨(가리면 가능), 시작하면 출발점에서도 아웃 가능, 술래가 웃기게 하기 금지, 놀리기 금지’ 등 자세한 것까지 규칙을 만들며 재미있게 진행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았습니다. 아이들이 서로 게임을 하면서 논다고 하지만 나중에 지역주민들과 함께 할 게임에 대한 논의를 하는 것이 보기 좋았고, 제가 고민했던 “활동과 회의를 함께 할 수 있을까?” 라는 고민이 해결되는 순간이었습니다. 항상 아이들은 회의와 활동을 구분 지어서 “회의 빨리하고 놀아요”라며 노는 것에 집중해서 고민을 하고 있었습니다. 아이들이 회의를 하나의 놀이로 만들면 좋겠다는 생각을 계속하였는데 오늘 활동 준비를 하고 직접 해보면서 아이들의 의견을 듣고 정리하는 시간들이 아이들은 논다는 마음이지만 하나의 회의로 작용한다는 것에 기쁜 마음이 있었습니다. 매번 아이들과 이렇게 회의와 놀이를 구분하지 않고 함께 놀면서 회의 내용도 다루는 시간이 많아지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였습니다.
중간에 아이들끼리 서로 장난치다가 속상해지는 일도 생겼습니다. 율이(중2)와 강우가 무궁화를 하다가 율의 장난에 강우가 화가난 일이었습니다. 제가 보기엔 율이는 규칙안에서 장난을 친 것이였고 강우가 예민하여 화가 난 상태여서 데리고 나와서 이야기를 했습니다. 잘 들어주고 기분 나쁜 것이 무엇인지 공감해주니 강우도 생각하고 이해하며 풀었지만 밖에 있겠다며 들어가지 않았습니다. 같이 활동하고 싶었던 저는 ‘어떻게 하면 강우가 돌아올까?’ 고민하고 있었고 율이(중2)에게도 가서 강우가 기분 나빴던 것을 말해주며 그런 장난을 치지 말아 달라고 부탁하지 율이도 “알겠습니다. 죄송합니다”라며 다짐을 받고 강우에게도 사과하였습니다. 그래도 강우는 아이들이 자신 빼고 노는 것이 속상하지만 아이들은 노느라 바빠 자신을 찾기 바라는 것 같았습니다. 그 마음을 알고 율이는 “강우는 제일 멀리 뒤에서 무궁화 하는거지?”라고 말하자 강우는 씨익 웃으며 “왜 나만 뒤에서 해 안해!!”라고 웃으며 말했습니다. 아이들에게 “강우가 안하면 게임 시작 안해”라고 말하자 아이들이 다 강우에게 가서 하자고 끌고 당기며 말했습니다. 그래도 강우는 하지 않아서 “선생님이랑 같이 활동 준비물 고르자”라고 말하고 쿠팡을 찾으며 강우에게 “이거 사는 게 좋을까?”라며 물어보고 D-DAY날에 필요할 물품을 담고 내일 일정에 대해 결정 하였습니다. 이후 놀고싶지만 자존심이 강한 강우에게 “선생님 무궁화 하고 싶은데 강우가 해야 할 수 있어”라고 같이하자했고 강우는 “혼자 가서 하세요~ 아~ 혼자 못해요?”라고 말하며 아이들과 같이 게임을 하게 되었습니다. 이후 피구도 진행하며 행복하게 마무리 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아이들의 각각 강점을 파악하고 사건에 중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강점을 생각하고 그것에 맞게 당사자를 대하는 것을 실천하는 시간이었습니다. 리더쉽이 강한 강우에게 아이들을 위해 뒤에서 선생님과 함께 필요 물품을 구매하고 너가 없으면 안된다는 말을 하니 기분이 좋아지고 행복해하는 강우를 보았습니다.
2) 보완점
- 아이들과 정한 규칙을 너무 가볍게 생각했던 것 같습니다. 작은 것 하나하나 봐주다보니 아이들이 해도 되는구나 생각하며 계속 잘못된 행동을 반복 하는게 눈에 보였고, 오늘 규칙을 정하며 게임을 하는 것을 보니 규칙은 정말 잘 지키는 걸 보았습니다. 처음에 정한 규칙을 다시 아이들에게 정확히 인식시키며 나부터 규칙에 대한 숙지를 잘하고 가볍게 여기는 것이 아니라 그것은 꼭 지켜야 한다며 이야기하는 시간을 가질 것 같습니다. 아이들과 활동을 다시 한다면 규칙을 정확히 정해 서로 마음 상하는 일 없게 벌도 주며 기초를 잡았을 것 같습니다.
3) 슈퍼비전 요청 사항
- 복지 요결을 읽으며 선생님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이 무엇이며, 어떤 부분이 가장 성장하기 어렵다고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