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 브레이스(Brace Bar) 카 바닥구조의 부재
상방향 열림 도어(Up Sliding Door) 위로 열리고 아래로 닫히는 도어 |
|
상부 안전거리(Top Clearance) 카 상부에서 운전시 보수원 등의 안전을 위한 여유 승강로 천장에서 최상층 정지상태의 카 천장까지의 거리 |
|
상승과속방지장치 엘리베이터가 층 레벨에 정지해 도어가 열린 kdxo에서 엘리베이터 로프와 메인 시브(main sheave)의 마찰력 저하 또는 제동장치의 불량이나 고장 등의 원인으로 서서히 미끄러져 이동되거나 정상속도보다 빠르게 운행되는 경우 브레이크 슈가 설치된 작동판을 작동시켜 순간적으로 엘리베이터 견인 로프를 조이도록 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으 미끄럼과 과속을 방지할 수 있는 보조 제동장치이다. |
|
상하 개폐 도어(Bi-parting Door (Bi-parting Vertically Siding Door)) 2매의 문이 상하로 개폐하는 문 |
|
상현재(Upper Chord) 에스컬레이터 프레임의 상부재 |
|
설치도(Layout) 설치 요소의 공간상태, 관련치수, 크기, 위치 등을 지정하기 위해 엘리베이터승장로와 기계실의 게획치수와 높이를 나타내는 축척 기계도면. |
|
세이프티 슈(Safety Shoe) 엘리베이터 카문의 선단에 설치되는 안전장치로, 문이 닫혀질 때 사람 또는 물체가 여기에 닿으면 반전하여 열리도록 구성된다. 통상 문의 전체 높이에 걸쳐 문의 선단보다 약간 돌출시켜 두어 닿으면 인입됨과 동시에 내장된 스위치가 작동하는 구조이다. 일명 세이프티 에지라고라고도 한다. |
|
소방관제서비스(Firefighter`s service) 다음과 같은 사항을 제공하는 장치나 장치군. (1) 평상적인 이용으로부터 벗어나서 이미 지정된 승장에 대해 즉시 취소할 수 있는 신호. (2) 소방수나 다른 인증된 긴급인원을 위한 특별 조정을 허용하는 경우. |
|
속도 제한 장치(Speed Limiting Device) 승강로의 속도를 제한하는 장치 |
|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Operated Valve) 솔레노이드에 의해 전자적으로 개폐되는 밸브를 말한다. 유압 엘리베이터에는 통상적으로 각종 솔레노이드 밸브가 사용된다. |
수동 강하 밸브(Manually Operated Down Valve) 유압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수동조작으로 카를 저속하강시키기 위한 밸브 |
|
수전반(Power Source) 승강기 제어반에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 |
|
순간식 비상정지장치(Instantaneous Safety Type)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의 일종으로 작동시 정지력이 급격히 작용하고 카 또는 균형추를 거의 순식간에 정지시킨다. 따라서 작동시의 충격이 크고 속도가 45m/min이하의 저속도 엘리베이터에만 사용이 인정되고 있다. 작동원리는 대표적인 롤러방식의 경우에 있어서 나타내면 비상정지 프레임의 테이퍼 부분에 인상로드에 연결된 롤러가 있고 조속기의 작동에 따라 당겨 올라간 롤러가 레일과의 협각부에 끼어 들어가 강력한 정지력이 발생한다. 한편 순간식 비상정지장치에는 조속기를 사용하지 않고 롤러의 장력이 없어지는 것을 검출하여 작동하는 방식도 있으며 슬랙로프 세이프티라고 부른다. |
|
스링(Sling) 카의 기둥 |
|
스윙 도어(Swing Door) 좌우의 어느 한 쪽 선단을 힌지로 지지하고 힌지를 축의 앞뒤로 회전하게 한 문. |
|
스커트 가드 안전스위치(Skirt Guard Safety Switch) 디딤판과 스커트 가이드 사이에 이물질이 들어갔을 때 에스컬레이터를 정지시킴. 일반적으로 스커트 가드의 변화를 검출하는 스위치로 상하의 승강구 부근에 설치된다. |
|
스커트 가드(Skirt Guard) 에스컬레이터나 수평보행기의 내측판하부에 있으며 발판의 측면과 작은 틈새를 보호하는 패널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스테인레스 강판이나 표면을 불소수지등의 저마찰재료로 코팅한 강판등이 사용된다. 간단히 스커트 패널이라고도 한다. |
|
스크류 펌프(Screw Pump) 유압펌프의 일종 |
|
스텝 체인(Step Chain) 일종의 롤러체인으로 에스컬레이터의 폭이 넓고 층고가 높을수록 높은 강도의 체인을 필요로 한다. 좌우 체인의 링크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일정한 간격의 환강으로 연결한다. 이 환강 좌우단에는 바퀴가 부착되어서 가이드 레일 위를 주행한다. |
|
스텝(Step) 에스컬레이터 승객이 탑승하여 오르내리는 이동계단. |
스트레이너(Strainer(Suction Filter)) 유체중의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의 일종. 유압장치에서는 작동유에 철가루, 모래 기타 이물질이 혼입되면 기기의 수명을 단축할 뿐만 아니라 고장원인으로도 된다. 그러므로 이들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각종 필터가 이용된다. 스트레이너는 이중에서 비교적 눈이 거친 필터로 작동유의 통과저항이 작아 일반적으로 펌프의 흡입측에 이용되므로 일명 흡입필터라고 한다. |
|
스프링 완충기(Spring Buffer) 엘리베이터의 완충기로서 스프링을 사용한 것. 구조가 간단하고 경제적이지만 완충능력이 낮기 때문에 정격속도가 60m/min이하의 엘리베이터에만 사용된다. |
|
승강로 구출구(Emergency Exit(Hoistway)) 승강로 내 비상구 출구 |
|
승강로(Hoistway) 하나 이상의 엘리베이터, 덤웨이터, 자재운반 승강기(material lift)가 이동하는 수직통로. 피트와 오버헤드를 포함한다. |
|
승강장 문 잠금장치(Door Interlock Device) 승강장 문 안전장치로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중 중요한 기능을 갖고 있다. 승강장 문 잠금장치는 Cage가 정지하고 있지 않은 층의 승강장 문이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잠금(Lock) 기능을 갖고 있으며, 승강장 문이 완전히 닫혀 있는지 여부를 제어반에 전달하여 만일 전층의 승강장 문중 어느 한층의 승강장 문이라도 확실히 닫히지 않아 도어 스위치가 ON되지 않았을 경우는 안전회로를 차단시켜 운행을 중단시키는 기능을 한다. 승강장에서 승강장 문의 잠금을 풀 경우는 특수한 전용키로만 풀려야 한다. |
|
승강장 버튼(Hall Button) 승강장에서 승객이 누르는 버튼 |
|
승강장(Elevator Hall) 승객이 승강기에 타고 내리는 곳. |
|
시방(Specifications) 장비의 설치를 위해 제안된 계획, 자재, 치수 및 기타 모든 요구조건의 상세하고 목록화된 설명. |
|
시브(Sheave) 로프가 걸리는 하나 이상의 홈을 가지고 회전하는 도르래. |
|
시일형 와이어로프(Seal-Type Wire Rope) 와이어로프를 구성하는 스트랜드가 시일형인 것을 말한다. 시일형 스트랜드는 안쪽에 가는 소선을 바깥쪽에 굵은 소선을 배치하여 안쪽의 소선 오목부에 바깥쪽의 소선이 모아지도록 구성된다. 바깥쪽의 소선이 굵기 때문에 마모에 강한 성질이 있어 주로 엘리베이터용으로 사용된다. |
신축문[伸縮門](Collapsible Gate(Folding Gate)) 다수의 소기둥을 갖는 격자형상의 문으로, 소기둥의 간격이 변화하여 문자체가 신축함에 따라 개폐하는 것. 접문이라고도 한다. 이것은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카문에 이용되는 일이 있다. |
|
실[문턱](Sill) 카 및 승강장 출입문의 바닥문턱 |
|
실린더(Cylinder) 유압잭에 있어 기름의 유입 및 유출을 통하여 피스톤의 상승/하강을 안내하는 외부관. |
|
심블 로드[샤클](Thimble Rod(Shackle)) 로프 연결구에 부속되는 공정 봉 |
|
안전 밸브(Relief Valve) 회로의 압력을 설정치 이하로 조절제어 |
|
안전 스위치(Safety Switch) 통상적으로 보수용의 정지 스위치 |
|
안전마크(Demarcation Line) 상하승장에 접근하여 상호의 높이가 접근하는 관계운동을 일으킬 때에 운동화 등을 신은 승객의 발이 끼이는 사례가 있어서 스텝의 좌우전방에 주의색인 황색으로 칠하던지 황색의 플라스틱을 끼워 스텝주위의 홈에 끼이지 않도록 표시하는 데마케이션을 채용하고 있다. |
|
안전봉(Safety Bar) 전동 덤웨이터의 카 출입구에 설치하는 막대로 주행 중 짐이 퉁겨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통상 파이프 모양의 막대로 출입구 한 쪽 틀의 하부 또는 중간부의 한쪽에 설치되어 반대측으로 비스듬하게 또는 수평으로 젖혀 간을 막도록 구성된다. 전동 덤웨이터는 사람이 타지 않는 것이기 때문에 카에는 문을 설치하지 않는 것이 보통이나, 플로어형일 경우에는 손수레 등을 싣는 일이 있어 간단하기는 하나 이와 같은 안전봉이 필요로 하다. |
|
안전장치(Safety Device) 안전확보를 위한 기기의 총칭 |
|
에스컬레이터 승객들이 오르내리는 데에 쓰이는 경사지고, 연속되며 전기구동방식의 계단장치. |
에이프런(Apron) 카 바닥 출입구 폭 이상의 선단 보호판 |
|
엘리베이터 (Elevator(Lift)) 로프식 또는 유압식 승강기 |
|
연결판(Fishplate) 가이드 레일 이음매에 대어주는 판 |
|
예방 보수(Preventive maintenance) 엘리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 조종중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검사, 테스트, 조정, 청소 및 그에 근사한 활동. 장비가 적당한 조정순서로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되며 계획에 근거하여 행해진다. 또한 계획보수(schedule maintenance)라고도 한다. |
|
오리피스(Orifice) 유체의 유로 단면적을 부분적으로 작게 한 고정 스로틀 밸브의 일종. 일반적으로 스로틀 부분의 길이가 단면에 비해 짧은 것을 말하고, 이것에 대하여 스로틀 부분의 통로길이가 단면에 비하여 비교적 긴 것을 쵸크라고한다. 쵸크에 있어서의 압력강하는 유체 점도에 크게 영향을 받으나, 오리피스에 있어서의 압력강하는 유체점도에 별로 영향을 받지 않는다. |
|
오버헤드(Overhead) 최상 정지층의 기계실 바닥에서 승강로의 상부까지의 수직거리 |
|
와이어 로프(Wire Rope) 가는 소선을 다수 꼬아서 스트랜드를 만들고 다시 3∼9본의 스트랜드를 꼬아서 만든 것. |
|
완충기(Buffer) 카가 어떤 원인으로 최하층을 통과하여 피트에 도달했을 때 카에 충격을 완화시켜 주는 장치로써 카가 승강로의 최상층을 초과하여 진행하는 것에 대비하여 균형추의 바로 아래에도 설치한다. 그러나 이 완충기는 카나 균형추의 자유낙하를 완충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완충기에는 스프링 완충기와 유입완충기의 2종류가 있다. 엘리베이터의 정격속도 60m/min를 초과하면 운동에너지도 크게 되므로 유입 완충기가 사용된다. 그 행정은 카가 정격속도의 115%의 속도로 충돌했을 때, 평균감속도가 1G이하로 카를 정지시키는데 필요한 길이 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통이다. 또한 최대 감속도는 2.5G를 초과하는 감속도가 1/25초를 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유입 완충기는 자동차의 충격 흡수장치와 같은 원리로, 오리피스에서 기름의 유출량을 점진적으로 감소시켜서 충격을 흡수하는 구조이다. 카 또는 균형추가 유입완충기에 충돌했을 때의 완충작용은 플런저의 하강에 따라 실린더 내의 기름이 좁은 오리피스를 통과 할 때에 생기는 유체저항에 의하여 주어진다. |
|
외부 통화 장치(Interphone) 비상시 Car내의 승객이 외부와 통화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서 Car내 운전반의 인터폰과 기계실 또는 관리실에 장치된 인터폰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
외측판(Exterior Panel(External Panel)) 에스컬레이터 난간의 내측판에 대한 상대어. 일반적으로는 외장과 동의어로 사용된다.
워링톤형 와이어로프(Warrington-Type Wire Rope) 와이어로프를 구성하는 스트랜드가 워링톤형인 것을 말한다. 워링톤형 스트랜드는 외층의 소선이 크고 작은 2종류의 선직경을 이용하여 각 소선간의 틈새를 적게한 구조이다. 선 직경의 균형이 좋다는 특징은 있으나 최근에는 별로 사용되지 않는다. |
|
웨지 클램프 안전장치(Wedge Clamp Safety) 점진식 비상 정지 장치의 일종 |
|
웨지형 로프소켓(Wedge-type Rope Socket) 웨지를 끼워 로프를 고정하는 소켓 |
|
위치표시기(Position Indicator) 승장에 설치된 카 위치 표시 장치 |
|
유면계(Oil Gauge) 유량을 확인하는 계기 |
|
유압 엘리베이터(Hydraulic elevator) 플런저나 피스톤이 갖춰진 실린더안에서 기름의 유입/유출 압력에 의한 에너지를 이용하여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
|
유압 완충기(Oil Buffer) 기름의 유체저항을 이용한 완충기로 완충효율이 높아 엘리베이터의 완충기로서 꼭 필요한 것이다. 그 원리는 카 도는 균형추가 이것에 충돌할 경우 플런저가 하강함에 따라 기름이 좁은 오리피스를 통과함으로써 유체저항이 생기고 이로 인해 운동에너지를 흡수하여 충격을 완화하는 것이다. 평균감속도는 1G로 설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스프링식 완충기보다 성능이 좋기 때문에 60m/min이상의 속도를 갖는 엘리베이터에는 이것을 사용한다. |
|
유압 파워유닛(Hydraulic Power Unit) 유압 엘리베이터에서 유압펌프, 전동기, 유량제어밸브, 안전밸브, 역지밸브, 오일탱크, 수동 하강밸브 등을 하나로 모은 것. 파워 유닛의 임무는 단순히 작동유에 압력을 주는 것만이 아니고 카를 상승시키는 경우는 가속, 주행, 감속에 필요한 유량으로 제어하여 실린더에 보내고 하강시는 실린더의 기름을 같은 방법으로 제어한 후 탱크로 되돌린다. |
|
유압고무호스(Hydraulic Flexible Hose) 유압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방진 등의 목적으로 배관의 일부에 고무호스를 이용하는 일이 많다. 이 중에서 압력배관의 부분에 이용하는 고무호스는 충분한 내압성이 있는 것을 사용할 필요가 있고 유압 엘리베이터의 구조기준에 있어서는 사용압력에 대해 안전율을 10이상으로 한다. |
|
이동 케이블(Traveling cable) 엘리베이터, 덤웨이터, 자재운반 승강기의 카와 승강로나 기계실내의 고정된 부품사이에 전기적 신호와 전원을 제공하는 케이블. |
인레트 스위치(Inlet Switch) 에스컬레이터 이동용 손잡이 부위 안전 스위치 |
|
인장 풀리[시브](Tension Pulley(Or Sheave)) 체인이나 로프에 인장력을 가하는 것 |
|
인칭 조정(Inching) 수동 조작에 의한 미세동작 조정 |
|
인하용 엘리베이터(Service Elevator) 사람과 화물을 수송하는 엘리베이터 |
|
자동 레벨링 장치(Automatic Leveling Device) 자동적으로 카의 레벨을 맞추는 장치 |
|
자동차용 엘리베이터(Car Elevator(Vehicle Elevator)) 자동차를 실어나르는 승강기 |
|
작동압력(Working Pressure) 정격하중 상태에서 정격속도로 상승중의 유압 |
|
작동유(Hydraulic Oil) 유압장치에서 동력전달의 매체로서 사용되는 기름을 말한다. |
|
저울장치(Load-weighing Device) 카의 무게를 자동적으로 측정하는 장치 |
|
적재하중(Loading Capacity(Rated Load)) 카에 실을 수 있는 정격하중 |
전동 발전기(Motor Generator(M-g Set)) 전동기와 발전기를 기계적으로 직결하여 어떤 종류의 전력을 다른 전력으로 변환하는 장치를 말한다. 엘리베이터에서는 워드 레오나드 방식에 있어서의 직류 전원으로서 교류 전동기와 직류 발전기를 조합한 것이 이용된다. |
|
전동기(Motor) 엘리베이터에 사용되는 전동기는 일반 산업용 전동기에 비해 기동빈도가 최대 300회/시간까지 되므로 발열을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한다. 전동기의 최소 회전력은 +100%에서 -70%이어야 한다. 즉 역구동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충분한 제동력도 필요하다. 또한 앞에서의 회전력 범위에서 회전수는 될 수 있는 한 일정하게 하고 회전력도 오차는 +5%에서 -10% 이내로 되어야 한다. |
|
전망용 엘리베이터(Observation Elevator, Scenic Lift Panoramic Lift) 카 내부에서 밖이 보이도록 한 승강기 |
|
전자제동장치 모터가 회전을 정지하였을 경우 스프링 힘으로 제동원판을 잡아 엘리베이터를 정지시켜주는 장치입니다. |
|
점진식 비상정지 장치(Gradual Safety Device) 맨처음에 작동력이 서서히 상승하자마자 곧 일정해져 이후에는 안정된 제동력을 발휘하여 카 또는 균형추를 안정되게 감속, 정지시킬 수 있다. |
|
정격속도(Rated Speed) 엘리베이터의 정격속도는 카에 적재하중을 적재시켜 상승할 때의 최고속도를 말하고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단순히 속도라고 하는 일이 많다. |
|
정전등(Emergency Lighting) 정전시에 점등하는 카 조명장치 |
|
정지 버튼(Stop Button(Or Switch)) 비상시 카를 정지시키는 버튼 |
|
제2기계실(Secondary Machine Room) 기계실을 분리한 또 하나의 기계실. 수전반, 조속기 등을 설치하기 위한 보조기계실. 제1기계실은 천정 높이를 정격속도에 따라 2.0m이상∼2.8m이하로 하나 제2기계실은 보수관리상 지장이 없는 경우에는 일률적으로 2m이상이면 된다. |
|
제2시브(2nd Sheave, Beam Pulley, Deflector) 카와 균형추 사이의 거리를 유지하기 위해 메인로프를 안내하는 시브 |
http://cafe.daum.net/bklb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