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앙정 (俛仰亭)
글자 크기
의견 제시
URL 복사페이스북 공유트위터 공유
면앙정
건축 유적 문화재
전라남도 담양군 봉산면에 있는 조선전기 문신 송순이 건립한 팔작지붕 형태의 누정. 정자.
시도지정문화재
지정 명칭
면앙정(면仰亭)
지정기관
전라남도
종목
전라남도 시도기념물(1972년 08월 07일 지정)
소재지
전남 담양군 봉산면 면앙정로 382-11 (제월리)
더보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접기/펼치기
목차
정의
내용
참고문헌
접기/펼치기
정의
전라남도 담양군 봉산면에 있는 조선전기 문신 송순이 건립한 팔작지붕 형태의 누정. 정자.
접기/펼치기
내용
1972년 전라남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건물. 조선 중기의 문신이며 시신(侍臣)이었던 송순(宋純)이 만년에 벼슬을 떠나 후학들을 가르치며 한가롭게 여생을 지냈던 곳이다.
송순은 41세가 되던 1533년(중종 28)에 잠시 벼슬을 버리고 고향인 이곳으로 내려와 이 정자를 짓고, 「면앙정삼언가(俛仰亭三言歌)」를 지어 정자이름과 자신의 호(號)로 삼았다 한다. 그러나 그 정자는 1597년(선조 30) 임진왜란으로 파괴되고 지금의 정자는 후손들이 1654년(효종 5)에 중건한 것이다.
건물은 동남향하고 있으며, 한가운데에 한 칸 넓이의 방이 꾸며져 있다. 기둥은 방주(方柱)를 사용하였으며 주두(柱頭)조차 생략되고, 처마도 부연(浮椽: 처마 끝에 덧 얹어진 짤막한 서까래)이 없는 간소한 건물이다. 주위에는 상수리나무·굴참나무·밤나무 등이 숲을 이루고 있으며, 그 속에는 아름드리 나무도 간간이 서 있다. 주된 전망은 후면에 해당하는 서북쪽으로 평야 너머로 연산(連山)이 보이고 서남쪽에는 맑은 냇물이 흐르고 있다.
면앙정의 풍류운치는 당대에 명사들에게 흠모되었는데, 송순이 지은 잡가(雜歌) 2편에서 그 풍취를 살펴볼 수 있으며, 이 글은 또한 『청구영언』 등 가집(歌集)에 무명작으로 다음과 같이 전해지고 있다. “십년을 경영해야 초당삼간 지어내니 반간은 청풍이요, 반간은 명월이라. 강산은 드릴대 업스니 돌려두고 보리라.” 이 노래는 만년에 이 정자를 두고 읊은 것으로 전해진다.
이 건물은 간소한 양식의 건물이기는 하지만 역사적 의의가 크기에 1972년에 기념물로 지정되었는데 중수 때에 원형이 많이 달라졌을 것으로 보인다.
접기/펼치기
참고문헌
『내고장 담양』(담양군, 1982)
『전남문화재대관』(임해림, 1975)
『담양향토문화집』(담양향토문화편찬위원회, 1972)
접기/펼치기
관련 미디어
(10)
면앙정
면앙정
면앙정
면앙정
면앙정
면앙정
면앙정
면앙정
면앙정
담양 면앙정의 현판
다음 슬라이드이전 슬라이드
접기/펼치기
집필자
윤국병
건축 유적 문화재
강릉 방해정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에 있는 조선후기 문신 이봉구가 건립한 누정.
건축 유적 문화재
강호정
경상북도 영천시 자양면에 있는 조선후기 의병장 정세아가 건립한 누정.
건축 유적 문화재
경주 서출지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의 사금갑 전설 관련 연못.
건축 유적 문화재
경포대
강원도 강릉시에 있는 고려후기 강원도 존무사 박숙정이 건립한 누정. 누각 · 조경건축물.
건축 유적 문화재
고석정 및 순담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에 있는 조선시대 의적 임꺽정 관련 누정. 정자.
건축 유적 문화재
공북루
충청남도 공주시에 있는 조선후기 에 중건된 공산성의 북쪽 문(門). 성문.
건축 유적 문화재
괴산 고산정 및 제월대
충청북도 괴산군 괴산면에 있는 조선후기 충청도관찰사 유근이 건립한 누정. 정자.
건축 유적 문화재
괴산 애한정
충청북도 괴산군 괴산읍에 있는 조선후기 제14대 선조 연간에 박지겸이 건립한 누정.
건축 유적 문화재
나주 쌍계정
전라남도 나주시 노안면에 있는 고려후기 문신 정가신과 전주정 · 윤보 등이 건립한 누정. 정자.
건축 유적 문화재
담양 후산리 명옥헌 정원
전라남도 담양군 고서면에 있는 조선후기 오이정이 조성한 정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