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사
1902년에 스톡홀름 연주협회의 부설 관현악단인 '스톡홀름 연주협회 관현악단' 으로 창단되었고, 초기에는 연주
협회의 방침에 따라 오페라 등 무대 작품의 공연과 관현악 연주회를 모두 소화하는 악단으로 운영되었다. 그러나
1914년에 연주회 전문 관현악단의 필요성을 인정한 협회 측의 결정으로 대폭 개편되었고, 이듬해 핀란드 출신
지휘자인 게오르크 슈네보익트를 초대 상임 지휘자로 영입했다. 2년 뒤인 1916년에는 연주협회 소속 합창단이
결성되어 관현악단 공연에 합류하기 시작했다.
슈네보익트가 1924년에 사임한 뒤로는 약 2년간 객원 지휘에 의존했고, 1926년에 체코 출신의 바츨라프 탈리히가 상임 지휘자에 취임했다. 탈리히는 1936년까지 10년 동안 재임하면서 악단의 연주력 향상에 주력했고, 탈리히
사임 후에는 독일에서 망명한 지휘자 프리츠 부슈가 직책을 이어받았다. 그러나 부슈는 겸무 중이던 덴마크 방송
교향악단의 직책에 주력하기 위해 1940년에 물러났다. 1937년에는 연주회의 정기적인 라디오 중계가 시작되어
사실상 방송 관현악단의 지위를 가지게 되었다.
부슈의 후임으로는 헝가리 출신 지휘자인 칼 가라굴리가 임명되어 1953년까지 활동했고, 가라굴리 사임 후에는
또다시 2년간의 공백 상태가 유지되다가 1955년에 독일 지휘자인 한스 슈미트-이세르슈테트가 부임했다. 슈미트-
이세르슈테트는 그 때까지 스웨덴에만 국한되어 있던 악단의 명성을 세계적으로 만들기 위한 기초를 마련하는 데
주력했으며, 재임 중이던 1957년에는 악단의 이름을 '스톡홀름 필하모니 관현악단'으로 개칭했다.
슈미트-이세르슈테트 사임 후 2년간의 공백기 뒤 후임으로 임명된 안탈 도라티도 특유의 조련 능력을 살려 북구
음악 외에 독일이나 동유럽 음악 분야의 연주력을 크게 향상시켰다.
이어 소련 출신 지휘자들인 겐나디 로제스트벤스키와 유리 아로노비치가 차례로 상임 지휘자를 맡아 러시아/소련
음악을 적극적으로 소개했으며, 1987년에는 파보 베르글룬드가 직책을 이어받았다. 그러나 베르글룬드는
1990년까지 단기 재임에 그쳤고, 후임으로 로제스트벤스키가 다시 복귀해 1995년까지 재임했다. 로제스트벤스키의 두 번째 재임기 중인 1992년에는 스웨덴 왕실로부터 '왕립' 의 칭호를 받아 현재의 명칭으로 다시 개칭되었다.
로제스트벤스키 사임 후에는 최초로 공동 상임 제도를 도입해 영국의 앤드루 데이비스와 에스토니아계 미국인인
파보 예르비가 1998년까지 활동했다.
2000년에는 미국 출신의 젊은 지휘자인 앨런 길버트가 다시 단독 상임 지휘자로 부임했고, 길버트는 2009년에
뉴욕 필하모닉의 음악 감독으로 이임하기 위해 사임 의사를 밝혔으며, 후임으로는 2008/09년 시즌부터 핀란드
출신 지휘자 사카리 오라모가 상임 지휘를 맡아, 또 다시 스웨덴 정체성을 찾아 오케스트라를 조직하고 오케스트라
제 2 황금기를 꿈꾸고 있다.
주요 활동
초기에 오페라극장 관현악단 활동을 겸했던 만큼, 상주 공연장으로 스웨덴 왕립 오페라극장을 사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1926년에 연주회 전용으로 지어진 공연장인 스톡홀름 음악당으로 옮겨가 현재까지 상주 악단으로 활동하고
있다. 이 공연장은 매년 노벨상 시상식 장소로도 활용되고 있으며, 식전 행사의 음악도 스톡홀름 왕립 필이 계속
맡고 있어서 유명하다.
양차 세계대전 중에도 중립국으로 남아 있었기 때문에 악단 활동에 큰 지장을 받지는 않았지만, 한동안 해외에는
잘 알려지지 않은 상태였다.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탈리히나 부슈, 가라굴리 등 외국인 지휘자를 상임으로
영입했으며, 이외에도 빌헬름 푸르트벵글러나 야샤 호렌슈타인 같은 유명 지휘자들을 자주 객원으로 초빙해 공연했다. 그러나 세계적인 명성을 얻기 시작한 것은 2차 세계대전 이후이며, 상업용 음반 녹음은 1950년대 후반부터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도라티는 시벨리우스를 비롯한 북구 관현악 작품을 RCA에 녹음했고, 로제스트벤스키는
쇼스타코비치의 발레 작품들을 세계 최초로 전곡 녹음하는 등 소련 시절 레퍼토리의 음반화에 집중했다. 데이비스도
라흐마니노프의 관현악 작품을 위시한 음반을 취입한 바 있다. 그러나 다른 유명 악단들과 비교하면 아직 녹음량은
적은 편이다. 이외에도 푸르트벵글러가 지휘한 녹음의 방송 실황이나 호렌슈타인의 말러 교향곡 녹음도 발매
되고 있다. 출처: 위키페디아.
1992년 Stockholm Philharmonic Orchestra에서 Royal 명칭을 부여받은 RSPO는 노벨상 수상 기념식
참가를 시작으로 시즌을 맞는다. 제2차 세계 대전 이전까지 국제적으로 인정받지 못한 이 오케스트라는 독일 출생
Hans Schmidt-Isserstedt를 전후 10년이 지난 1955년 수석 지휘자를 지명하고 1964년까지 9년간 그와
함께 다양한 작곡가의 작품을 조명하여 오케스트라의 폭을 넓혀 점차 국제적 명성을 얻는다. 이후 헝거리 출생 지휘자
Antal Doráti를 1966 수석 지휘자로 영입하여 1974년까지 12년간 함께하며 더욱 폭넓은 레파투어와 도라티의
북구 정체성에 맞는 무겁고 단단한 오케스트라 조직을 앞세워 RSPO의 황금기를 이룬다. 도라티는 리스트 음악원에서
졸탄 코다이에게 작곡을 배우고 벨라 바르톡에게 피아노와 작곡을 배워 바르톡의 작품을 초연하는 등 헝거리 출신
세계적 음악인과 함께 한 거장으로 그의 나이 60세, 지휘자로서 모든 것이 확립된 시간에 그를 맞아들인 RSPO의
혜안은 오케스트라가 스웨덴에서 벗어나 세계에서 존중받는 오케스트라로, 세계 메이저급 오케스트라의 위치에
올라서는 황금기를 맞는다.
이셀슈테트와 도라티가 단단한 오케스트라로 탈바꿈시킨 RSPO가 도라티 이후 이렇다 할 수석 지휘자를 만나지
못해 수석 지휘자가 공석으로 지내거나 3-5년 주기로 바뀌면서도 오케스트라의 앙상블을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은
스웨덴 문화 정책의 힘과 1970년대 쏟아져 나온 대량의 음악인 인프라 덕분이었다. 그러나 그것보다도 우리가
눈여겨보아야 할 중한 것은 스웨덴의 시스템이라고 필자는 생각한다. 유럽의 문화 정책은 "지원은 하되 간섭하지
않는다"를 기조로 삼고 있다. 이 정책이 유지될 수 있었던 것은 모든 것이 투명하고 공정하게 집행되는 문화단체의
시스템이 작동하기 때문이다. 국가가, 민간단체가, 국민이 문화인들을 위해 낸 성금은 한 국가의 얼굴인 문화가
自尊을 지켜내며 자유로운 활동을 보장해 주기 위해 쓰여져야 하는 국민의 돈이다. 스웨덴은 잘 짜여진 시스템을
만들어 자체적인 자정력에 의해 간섭받지 않고도 공정하게 경영하고 그 과정을 모두 투명하게 밝힘으로 문화의
자존력을 높인다. 이런 시스템은 공정한 사회를 만들고 세계에서 가장 존중받는 국가의 위치로 올라서 이것을 토대로
인류가 꿈꾸는 이상적 사회상을 이루는 개혁적 발상을 생산해 낸다.
"서울 시향 경영 본부의 잘못된 파행 운영이 서울시 감사에 지적되어 곧 발표를 앞두고 있다고 한다. 일반 직원에
대해서는 편파적인 평가가 이뤄졌고, 시간 외 근무를 하지 않고도 수당을 받는 등 파행운영을 일삼아 온 것이 지적
되었다고 한다."
필자는 서울 시향 운영진에게 오래전부터 투명하고 공정하며 개혁적인 시스템을 갖추라는 조언을 해 왔다.
서울 시향은 우리나라 오케스트라의 미래이자 얼굴이다. 그들의 실패를 우리는 바라만 보아서는 안 된다. 우리는
발언을 통해 서울 시향이 바르게 오케스트라를 방향 잡게 하고 운영진들에게는 하루빨리 투명하고 견고한 시스템을
갖추라 하여 서울시 의회의 간섭에서 벗어나 음악에만 전념할 수 있게 하여야 할 것이다.
ps. 함영주 KEB하나은행장이 서울 시향의 신임 이사장으로 선임됐다는 소식을 접했다. 오케스트라를 책임지는
책임 매니저는 회계업무나 예산을 위한 재정 문제를 잘 처리하기 위해서만 뽑히는 것이 아니다. 이는 경영 관리팀이
책임을 지면 된다. 이사장은 오케스트라가 음악에만 전념할 수 있게 다른 모든 제반 상황들을 처리할 능력을 필요로
하고 더욱 중요한 것은 예술의 가치를 뼛속 깊이 인지하여야 그 책무를 할 수 있는 쉽지 않은 자리다. 특히 지금
처한 서울 시향의 실정에서 서울시 의회와 충돌을 냉철한 사고와 정치력으로 막아야 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전임 이사장을 잘못 선택하여 10년의 음악적 결과물까지 비판받은 서울 시향이 상임 지휘자도 없는 정말 중요한
시기에 현 은행장을 겸임하여 이사장으로 선택한 것은 아주 잘못된 결정이라 감히 말할 수 있다. 이 문제는
우리나라 음악인들이 스스로 자신의 영역을 넓혀 놓지 못해 생긴 문제이기도 하다. 예술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새롭게 탄생되는 직업이 늘어나는 추세다. 오페라가 현대인에게 맞게 발전한 Musical과 많은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소화하기 위해 실용 음악과가 생겨 났고 우리나라에서는 클래식을 기초로 단단한 이론으로 무장한 실용
음악가들의 노력으로 k pop이란 새로운 쟝르를 개척하여 세계 음악계에 존중을 받고 있다. 거기에 비해 우리나라
클래식 분야는 예술 행정, 공연 기획 전문가, 매니지먼트 전문가, 크리틱커 등 클래식 분야에서 꼭 필요로 하는
전문가 양성에 소홀하여 연주인들의 권익과 위상에 손상을 입어도 대변을 해 줄 전문인이 없는 것은 클래식 음악가
들이 스스로 반성을 해야 할 것이다. 오로지 솔리스트 양성을 위한 제일주의에 함몰한 우리나라 음악대학의
시스템이 그런 결과를 가져왔다고 필자는 생각한다. 전 세계에서 전문 솔리스트로 활동할 수 있는 음악인을
손에 꼽을 수 있을 정도로 클래식 음악 세계는 화려했던 예전에 비해 위축되어있는 것이 현 실정이다. 우리의
젊은 음악도들이 빨리 인지해야 할 현실이다. 그러나 한 발짝만 눈을 돌리면 클래식 음악계에서 필요한 다양한
직업들이 널려있다. 세계적 오케스트라들이 단원을 찾지 못해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고 자신의 적성에 맞는다면
우리나라에서 취약한 분야인 크리틱커, 예술 행정가, 공연 기획가, 매니저, 예술 전문 기자, 방송국 pd, 실용음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자신의 포부를 펼칠 수 있다. 우리의 젊은 음악인들이 음악인의 권위와 가치를 지키기 위해
솔리스트만을 고집하지 말고 다양한 분야에서 자신의 적성을 살려 참여해 주기를 부탁드린다.
RSPO는 2000년 33세의 젊은 미국 출생 지휘자 알렌 길버트에게 수석 지휘자를 부여하고 8년간 그와 함께
성장한다. 2008년 길버트가 그의 고향인 뉴욕 필 상임 지휘자를 맡아 떠나자 이웃 핀란드 출생 사카리 오라모를
수석 지휘자로 받아들여 잘 짜인 세대교체를 이루고 제2의 황금기를 꿈꾸고 있다. 오라모는 바이올린 전공으로
Finnish Radio Symphony Orchestra에 악장으로 재직하며 지휘 전공을 병행하여 28세의 나이에 지휘자의
길로 들어선다. 이후 1998년 사이먼 레틀 후임으로 City of Birmingham Symphony Orchestra를 10년간
맡고, 2003년 친정인 Finnish Radio Symphony Orchestra의 수석 지휘자를 맡아 성공적인 결과물을 보여
RSPO에 낙점 받는다. 오라모는 스칸디나비아의 정체성을 살려 오케스트라 베이스 파트를 굳건하게 조직하고,
금관파트는 힘이 있고 강하게 조련하여 순수함과 명징한 오케스트라 앙상블을 끌어냄으로써 스칸디나비아만이 그릴
수 있는 또 다른 세계의 오케스트라 象을 제시한다.
2017/18년 시즌 RSPO는 건실한 시스템에 의한 막강한 섭외력으로 Manfred Honeck, Riccardo Muti,
Christoph Eschenbach, Gustavo Dudamel, Herbert Blomstedt 등 세계적 마에스트로를 객원 지휘자로
Vilde Frang, Garrick Ohlsson, Renaud Capuçon, Janine Jansen 등 최상의 솔리스트들과 함께 준비한다.
우리나라 출신 단원으로는 제2 바이올린 뚜띠에 이원희가 있다.
단원 구성: 1.Vn. 2Vn. Viola. Cello. K.Bass.
악장 2, 18명. 17명. 12명. 12명. 9명.
..............................................................................................................
Fl. Ob. Cla. Bn. Hr. Tp. Tb. Tu. Tim. Pe. Hf. Pi. 총인원.
4명. 4명. 4명. 4명. 6명. 4명. 4명. 1명. 1명. 3명. 1명. 1명.- 105명.
2017/18. season
Skari Oramo.
Manfred Honeck, Semyon Bychkov, Andrey Boreyko, Franz Welser-Möst(2),
HK Gruber, Karina Canellakis, Gustavo Dudamel, Andrey Boreyko, Daniel Blendulf,
Riccardo Muti, Christoph Eschenbach, Alain Altinoglu, Klaus Mäkelä,
Joana Carneiro, Karl-Heinz Steffens, Herbert Blomstedt, Gustavo Gimeno,
Martin Fröst,
Kirill Gerstein, Daniel Lozakovitj violin, Quirine Viersen cello, Vilde Frang,
Emanuel Ax, Colin Currie percussion, Janine Jansen, Carolin Widmann violin,
Igor Levit, Andrej Power violin, Renaud Capuçon, Tine Thing Helseth trumpet,
Garrick Ohlsson, Peter Friis Johansson, Alina Pogostkina violin,
2017/18 시즌 주요 Program.
Igor Stravinsky Concerto in D for String Orchestra 12 min
Igor Stravinsky Concerto for piano and wind instruments 20 min
Igor Stravinsky Petrouchka (1947 version)
Igor Stravinsky Funeral Song 12 min
Igor Stravinsky Violinkonsert 22 min
Igor Stravinsky The Rite of Spring
Strauss Jr./HK Gruber Perpetuum mobile/Charivari 13 min
HK Gruber Piano Concerto 23 min
HK Gruber Dancing in the Dark 24 min
Igor Stravinsky Symphony in Three Movements
Ludwig van Beethoven Piano Concerto No. 3 36 min
Kaija Saariaho Laterna Magica 20 min
Jean Sibelius Symphony No. 7
Ludwig van Beethoven Violin Concerto 42 min
Ludwig van Beethoven Symphony No. 6 "Pastoral"
Wolfgang Amadeus Mozart Symphony No. 38 "Prague" 25 min
Ferruccio Busoni Piano Concerto
Benjamin Staern Jubilate 7 min
Béla Bartók Violin Concerto No. 1 22 min
Gustav Mahler Symphony No. 1 "Titan" - Skari Oramo.
Joseph Haydn Symphony No. 93 23 min
Anton Bruckner Symphony No. 9 - Manfred Honeck,
Mikhail Glinka Valse-Fantaisie 6 min
Wolfgang Amadeus Mozart Violin Concerto No. 5 30 min
Pyotr Tchaikovsky Symphony No. 2 "Little Russian" - Semyon Bychkov
Victoria Borisova-Ollas Angelus 20 min
Edward Elgar Variations on an Original Theme "Enigma" - Andrey Boreyko
Victoria Borisova-Ollas Angelus 20 min
Camille Saint-Saëns Cello Concerto No. 1 18 min
Edward Elgar Variations on an Original Theme "Enigma"
Ludwig van Beethoven Symphony No. 4 31 min
Dmitry Shostakovich Symphony No. 6
Ludwig van Beethoven Grosse Fuge, version for string orchestra arr Welser-Möst
Ludwig van Beethoven Symphony No. 9- Franz Welser-Möst
HK Gruber into the open... for solo percussion and orchestra 28 min
HK Gruber Northwind Pictures 25 min
Igor Markevitch Le Nouvel Age - HK Gruber
Wolfgang Amadeus Mozart Symphony No. 41 "Jupiter" 27 min
Richard Strauss Also sprach Zarathustra - Gustavo Dudamel
Britta Byström Persuasion 7 min
Max Bruch Violin Concerto No. 1 24 min
Ludwig van Beethoven Symphony No. 5 - Karina Canellakis
Anna Thorvaldsdottir Aeriality 12 min
César Franck Symphony in d minor - Daniel Blendulf
Franz Schubert Symphony No. 4 "Tragic" 30 min
Johannes Brahms Symphony No. 2 - Riccardo Muti
Matthias Pintscher Hérodiade-Fragmente for soprano and orchestra 24 min
Franz Schubert Symphony No. 9 "Great" - Christoph Eschenbach
Betsy Jolas A Little Summer Suite 11 min
Béla Bartók Concerto for Orchestra
Betsy Jolas A Little Summer Suite 11 min
Pascal Dusapin Aufgang, Violin Concerto 31 min
Béla Bartók Concerto for Orchestra - Alain Altinoglu
Britta Byström Farewell Variations 15 min
Joseph Haydn Trumpet Concerto 15 min
Sergey Prokofiev Symphony No. 1 "Classical" 15 min
Johannes Brahms Haydn Variations - Klaus Mäkelä
Andrea Tarrodi Camelopardalis 8 min
Andrea Tarrodi Liguria 10 min
Andrea Tarrodi Stellar Clouds, Piano Concerto No.1 (World Premiere) 21 min
Claude Debussy Printemps "Symphonic Suite" arr Henri Büsser 16 min
Andrea Tarrodi Wildwood (World Premiere) - Joana Carneiro
Fanny Mendelssohn-Hensel Overture 9 min
Felix Mendelssohn-Bartholdy Violin Concerto in e minor
Robert Schumann Symphony No. 1 "Spring" - Karl-Heinz Steffens
Franz Berwald Symphony in C major "Sinfonie singulière" 27 min
Hector Berlioz Symphonie fantastique - Herbert Blomstedt
Rolf Martinsson Ich denke Dein... for soprano and orchestra 26 min
Gustav Mahler Symphony No. 4 - Gustavo Gimeno
Music by Wolfgang Amadeus Mozart, Ludwig van Beethoven,
Victoria Borisova-Ollas, Jesper Nordin and others - Martin Fröst
Principal conductors.
Georg Schnéevoigt (1915–1924)
Václav Talich (1926–1936)
Fritz Busch (1937–1940)
Carl Garaguly (1942–1953)
Hans Schmidt-Isserstedt (1955–1964)
Antal Doráti (1966–1974)
Gennadi Rozhdestvensky (1974–1977)
Yuri Ahronovitch (1982–1987)
Paavo Berglund (1987–1990)
Gennadi Rozhdestvensky (1991–1995)
Andrew Davis and Paavo Järvi (1995–1998)
Alan Gilbert (2000–2008)
Sakari Oramo (2008–present)
Antal Dorati.
제2 바이올린 Won-Hee Lee.
|
첫댓글 '지원은 하되 간섭하지 않는다' 예술계 발전을 위해서는 가장 바람직한 정책인 것 같습니다. 표현은 간단하지만 실천하기가 쉽지 않은 말인데 스웨덴이라는 나라는 여러가지로 배울점이 많은 나라에요.
RSPO의 17/18년 레퍼토리는 개성있고 독특하네요. 다른 오케스트라와 극명하게 차이가 나는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