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정석(安貞錫)
1派24世-직장공파
1836-1911 應五 嘯軒 通仕郞繕工監假監役 省退軒주인 숭광학교건립 1派24世직장공파安斗喆1
蕭獻 安貞錫 (1836-1911) 通仕郞繕工監 假監役(통사랑선공감 가감역)
省退軒의 주인 으로서 지역사회 면민에 대한 빈민의 규휼에 참여하고
사립학교인 용지동(현 중앙동 내동시장부근)에 숭광학교를 (현상남초등학교의전신)건립하는등 사회활동에 참여 하였다.
{경북 하양현감;(현;구미)을 제수받은바 있음}창원부사 신기선이 두분의 공적을 높이 평가하여 용지마을에 공덕비석과 비각을 세웠다.
비각은 일제대공 통신대로 말미암아 柳花停(현 도청서북앞)에 이전해오다 창원시가 될때 창원집 맞은편 안산에 이전 보존 하고 있다.
그 후손 으로 敎祐- 祉鉉 -承達 -宅英 -熙鎭-度均으로 대를 잊고 있음
사립 숭광학교는 1908년 9월 창원의 선각자들에 의해 설립되었으나 일제의 탄압으로 15년만에 폐교되어
1923년 '남면 공립 보통학교'로 통합됩니다.(현,창원 상남초등학교 전신)
자는 응오 호는 소헌 字 應五 號 嘯軒
헌종5월20일 창원 퇴촌에서 (지금의 사림동;창원의집)태어나 어릴적부터 영리하여 9세때부터
세상 이치에 대하여 관심을 가졌다
당시 조정에서는 주자의 사창법 실시를 공포 했는바 공은 스스로 사재를 사용 하여 충당하니
동리 사람들이 비를 세웠다. 또마을의 약계로써 춘추에 후학에게 예를 가르치고 강학하며 규율을 만들어 따르도록 하였다.
고종 광서10년에 선공감 가감역관을 제수받고 이듬해 집정이 되면서 하양 현감에 추천 되었으나,
공은조정의 기강이 날로 문란해 짐을 보고 관직을 사양하고 학문에 전념 하다가 1911년 일기로 생을 마쳤다
통사랑선공감가감역관 안정석 묘갈명
貞錫정석字應五號嘯軒憲宗丙申五月二十日生通仕郞繕工監假監役乙酉春執政以河陽縣絶意不起辛亥八月六日卒
○墓昌原北面月村案山巽坐有碣晦峰河謙鎭撰有碑石配宜人驪州李氏父元新忌五月十二日
○墓南面加音丁村後堂山北向嶝丙坐有床石生二男二女配宜人坡平尹氏父纉周忌九月九日
○墓南面外洞村後乾坐有床石生一男二女配宜人昌寧成氏父載華旡育南面鳳林後山坐有床石
繕工監假監役安公墓碣銘 竝序
安氏籍順興文成公晦軒先生諱裕爲上祖其後累十世族益繁散處京鄕多簪纓顯者至副護軍諱明甲自咸安移昌原昌原之退村是其地也公諱貞錫字應五號嘯軒生憲廟丙申月日始幼甚岐
嶷九歲問日出於東照臨下士無有遠近距里之差何爲冬寒夏熱聞者異之及長好讀書專意爲己之學嘗曰大學之修齊治平本於誠正自有次序是實學也彼有以是爲高遠而不可學與夫不循階級徑事涉躐皆非也吾不爲是也先是朝廷依朱先生社倉法頒行國中坊曲而或因奉行不謹不能無折閱之虞公曰吾所居晩村之倉自吾人舊嘗捐財以充社用里人至立石頌之余不敢忘乃益大出金補之又置里中約契春秋率諸生習禮講學俾有成規高宗甲午除將作監明年執政擬薦監河陽縣公見朝政日紊竝不就辛亥以疾卒葬府北月村坐巽原公之大父曰守儀皇考曰斗喆有文行妣曰全義李氏初娶驪州李氏生男敎佑敎見壻盧銅奭金柄圭再娶坡平尹氏生男敎炯壻金相鎔李鶴九三娶昌寧成氏無育
側出男敎瑢敎洙女嫁姜大三孫男女十數人敎炯之子秉鉉以狀來請銘銘曰
河南明訓一命有濟呂氏藍田勸交德禮公仕不達亦克少施社有贏錢契有成規先志是追俾後爲則凡百過者視此篆刻
회봉선생유서(晦峯先生遺書) > 晦峯先生遺書卷之四十三 > 墓碣銘 河謙鎭(하겸진)
제목 : 창원항 공립소학교 신건시(新建時) 연조인원급(捐助人員及)
전수기(錢數記)(속) 전감역 안정석 4원 이성민 3원 전의원 최주환 2원 전참서관 감태현 5원 전주사 이상철 2원 이춘길 5원 노*두 5원
선세위원 김영섭 2원 정하진 2원 합 186인(완) 저편자 :날짜 : 1904년 09월 17일
발행기관 :분류 : 역 사 ;정보제공기관 :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
제공기관 : 국사편찬위원회날짜 AD 1904년09월17일
내용 창원항 공립소학교 신건시(新建時) 연조인원급(捐助人員及) 전수기(錢數記)(속) 전감역 안정석 4원 이성민 3원 전의원 최주환 2원 전참서관 감태현 5원 전주사 이상철 2원 이춘길 5원 노*두 5원 선세위원 김영섭 2원 정하진 2원 합 186인(완)
주제어 교육
출전 《황성신문》1904년 9월 17일자 3면
광고주 창원항 공립소학교
게재일 1904-09-17
11월 14일(무신) 맑음
좌목
병비의 관원 현황
○ 병비에, 판서 김영수(金永壽)는 병이고, 참판 윤치성(尹致聖)은 병이고, 참의 홍재정(洪在正)은 입직중에 나왔고, 참지 조병우(趙秉友)는 병이고, 행 좌승지 김병익은 나왔다.
동지중추부사 가설에 김상성(金相成)을 단부하고, 대호군에 최수정(崔壽貞)을 단부하고, 호군에 이언우(李彥宇)를 단부하고, 부호군에 양태연(梁泰淵)ㆍ신명원(申命元)ㆍ안정석(安貞錫)ㆍ김종호(金鍾鎬)ㆍ이병완(李秉琬)ㆍ홍재신(洪在新)을 단부하고, 부사용에 홍우관(洪禹觀)ㆍ권종린(權鍾獜)ㆍ박승헌(朴承憲)을 단부하였다.
한자 安貞錫
영어음역 An Jeongseok
이칭/별칭 응오(應五),소헌(嘯軒)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인·학자
지역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봉림동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민긍기
[상세정보]
성격 선비
출신지 경상남도 창원시 봉림동
성별 남
생년 1836년
몰년 1911년
본관 순흥
[정의]
조선 후기 창원 출신의 선비.
[가계]
본관은 순흥(順興). 자는 응오(應五), 호는 소헌(嘯軒). 아버지는 안두철(安斗喆)[1809~1877]이고, 어머니는 전의이씨(全義李氏)이다.
[활동사항]
안정석(安貞錫)[1836~1911]은 위기지학(爲己之學)에 힘썼고, 부친이 맡아 하던 사창(社倉)에 크게 기금을 출연(出捐)하였다. 1884년(고종 21) 선공감 가감역관(繕工監假監役官)을 제수 받았고, 1885년(고종 22)에는 집정(執政)이 하양현감에 천거하려고 하였으나 모두 나아가지 않았다.
[묘소]
경상남도 창원시 북면 월촌리에 있다.
[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
안두철생몰년(1809-1876)
입향조 안명갑의 7세손 퇴은(退隱) 안두철(安斗喆, 1809~1877)은 재산을 모아 살던 곳 퇴촌에 ‘성퇴헌(省退軒)’이라는 큰 집을 짓고, 보사계(補社契)라는 계를 창설하여 지역사회 빈민들의 구휼에도 힘을 썼다
敎祐- 祉鉉 -承達 -宅英 -熙鎭-度均
직장공파(直長公派)
8世 안원(安瑗)
ㅣ
9世 안종약(安從約)
ㅣ
10世 안수(安琇)
ㅣ
11世 안창공(安昌恭)ㅡㅡㅡ안창렴(安昌廉)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안창직(安昌直)
ㅣ ㅣ ㅣ
12世 안우(安 ) 안환(安環)---ㅡㅡㅡ안염(安琰)---ㅡㅡㅡㅡㅡㅡㅡ안종(安
) 안필(安王筆)ㅡㅡㅡㅡㅡㅡㅡㅡㅡ안순(安珣)
ㅣ ㅣ ㅣ ㅣ ㅣ ㅣ ㅣ
13世 안공진(安公軫) 안공의(安公義) 안경지(安敬之)안처순(安處順) 안흥종(安興琮) 안처관(安處寬)안처홍(安處弘) 안처충(安處忠)
ㅣ ㅣ ㅣ ㅣ ㅣ ㅣ
14世 안민(安敏心)안희(安熹)안희정(安希禎) 안의(安義) 안옥선(安玉先) 안헌(安憲) 안식(安湜)
ㅣ ㅣ ㅣ ㅣ ㅣ ㅣ
15世 안명갑(安明甲) 안상문(安尙文) 안언수(安彦秀) 안흥복(安興福) 안범(安範) 안의방(安義邦)
ㅣ ㅣ
16世안수환(安受환) 안중란(安重 )---안중신(安重信)
ㅣ ㅣ ㅣ
17世 안세후(安世厚) 안서용(安瑞龍) 안성용(安成龍)ㅡㅡㅡ안호문(安好問)
ㅣ ㅣ ㅣ
18世 안순(安恂) 안여웅(安如雄) 안여반(安如盤)
ㅣ ㅣ ㅣ ㅣ
19世 안성주(安聖輳) 안홍제(安弘濟)안홍적(安弘迪) 안홍조(安弘祚)-안홍상(安弘祥)
ㅣ
20世 안중현(安重玹)
ㅣ
21世 안필복(安必復)
안원(安瑗)ㅡㅡ>안종약(安從約)ㅡㅡ>안수(安琇)ㅡㅡ>안창공(安昌恭),안창렴(安昌廉),안창직(安昌直)
충순위병절교위,충순위(忠順衛)감찰,부솔(副率)
1 세 子美 (자미)[1]▼
2 세 永儒 (영유)[1]▼
3 세 孚 (부)[1]▼
4 세 珦 (향)[1]▼
5 세 于器 (우기)[1]▼
6 세 牧 (목)[1]▼
7 세 元崇 (원숭)[1]▼
8 세 瑗 (원)[1]▼
9 세 從約 (종약)[1]▼
10 세 琇 (수)[3]▼
11 세 昌恭 (창공)[1]▼
12 세 祐 (우)[1]▼ 王祐
13 세 公軫 (공진)[2]▼
14 세 敏 (민)[1]▼ 敏心(민첩할민}
15 세 明甲 (명갑)[2]▼
16 세 受환 (수환)[2]▼
17 세 世厚 (세후)[1]▼
18 세 恂순 (恂순)[1]▼
19 세 聖주 (성주)[1]▼
20 세 重玹 (중현)[2]▼ ;언보彦寶,1721-1794절충장군 첨지중추부사
화산성씨(上合)74
21 세 必復 (필복)[2]▼ ;학고鶴皐1751-1790(鳳)
상산김씨.(上下)47
22 세 守儀 (수의)[1]▼ ;근암槿庵1779-1851(上)
용성송씨(鳳) 73
23 세 斗喆 (두철)[1]▼ ;퇴은退隱1809-1876(上合)
전의이씨 68
24 세 貞錫 (정석)[1]▼ ;소헌嘯軒1836-1911(北)선공감 가감역
여주이씨(加) 파평윤씨(外) 창녕성씨(鳳中) 76
첫댓글 광서10년 이조 차첩
이조(吏曹)의 관리 임명첩(差定)
광서(光緖)10년 20일 동부승지(同副承旨) 신(臣) 이만교(李萬敎) 담당(次知口) 선공감가감역(繕工監假監役) 박규화(朴奎和)의 벼슬을 정석(貞錫)으로 고쳐 임명한
다. 이가 나올 수 있도록 구전(口傳)하여 시행하였으므로 시행한 것을 밝게 살펴
첩(帖)을 내림. 첩은 유학(幼學) 통덕랑(通德郞) 안정석(安貞錫)
광서10년 8월 일
임명(差定)
판서(判書) 참판(參判) 참의(參議)--정랑(正郞), 좌랑(佐郞)
原文----------------
吏曹爲差定事 光緖十
年八月二十日 同副承旨
臣李萬敎次知口
傳繕工監假監役官朴奎和 改差本
貞錫 弋只進叱使內良如爲口
傳施行爲有置有等以合下 仰
照驗施行須至帖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