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용어 바로 알기
www.youtube.com
반야심경[반야바라밀다주(呪)]
반야심경[반야바라밀다 시대신주 시대명주 시무등등주 능제일체고 진실불허]
반야심경[삼세제불 의반야바라밀다고득아뇩다라삼먁삼보리]
반야심경[무가애고 무유공포 원리전도몽상 구경열반]
반야심경[이무소득고~심무가애]
반야심경[무지역무득(無智亦無得)]
반야심경[無고집멸도=無사성제]
반야심경[12연기(十二緣起)]
반야심경[무안계 내지 무의식계 무무명 역무무명진]
반야심경[공중무색 무수상행식 무안이비설신의 무색성향미촉법]
반야심경[제법공상 불생불멸 불구부정 부증불감]
반야심경[수상행식 역부여시]
반야심경[색즉시공 공즉시색]
반야심경[사리자(舍利子)=사리불(舍利弗)]
반야심경[개공 도일체고액]
반야심경[조견(照見) 오온(五蘊)]
반야심경[ 관자재보살 행심반야바라밀다시]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摩訶般若波羅蜜多心經)
고성제(苦聖蹄, 부처님이 설하신 첫 번째 진리)
안거(安居)
게송과 사구게
정정(正定, 바른 집중)
정념(正念, 바른 마음챙김)
정정진(正精進, 바른 노력)
정명(正命)
정업(正業)
정어(正語, 바른 말)
정사유(正思惟, 바른사유)
정견(正見, 바른 견해)
팔정도(八正道)=중도(中道)
열반(涅槃)
윤회(輪廻)와 육도윤회(六道輪廻)
아사리판(阿闍梨判)
불전사물(佛殿四物)
백중(百衆) 우란분절(盂蘭盆節)
삼매(三昧)와 보왕삼매론(寶王三昧論)
아라한(阿羅漢)
사바세계(娑婆世界)와 중생(衆生)
업(業)과 업보(業報)
아뇩다라삼먁삼보리
발우공양(鉢盂供養)
찰나(刹那)
겁(劫)
지혜(智慧)바라밀
선정(禪定)바라밀
정진(精進)바라밀
인욕(忍辱)바라밀
지계(持戒) 바라밀
바라밀_보시(布施)
무재칠시(無財七施)
힘들 때일수록 필요한 사무량심(四無量心) 자비희사
스님과 중(衆)은 승가(僧家)에서 나왔다
불교용어 바로알기_삼배와 삼귀의
'옴마니반메훔'은 단순한 주문이 아니다
나무 아미타불 관세음보살은 무슨 뜻?
불교의례 마지막에 사홍서원을 하는 이유
왜, 불교에서는 여성 신도를 '보살'이라고 부를까?
보리와 보리심
불교에서는 왜, 중생의 번뇌를 108가지라고 했을까?
석가모니, 부처, 붓다
수리수리 마하수리 수수리 사바하
[불바보TV]불교바로보기회
불교바로보기회 불바보TV [프로그램 소개] ==현재 진행 프로그램== 1. [화] 한통속[인도/중국 조사스님들의 깨달음의 기연 및 전법게송] ⇒ (법사) 목종스님, (교재) 직지 2. [목] 사찰의 주련(10월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