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포단속(散抱團束) 가기파무(加氣波撫)
당귀당귀(當歸當歸) 궤도당귀(軌道當歸)
5방7허로 흩어져 감싸면서 당신을 단단히 묶어
치유의 기운을 더해 파동으로 애무하니
마땅히 돌아가네 마땅히 돌아가네
목적운명의 궤도로 마땅히 돌아가네
환오칠(成環五七)의 5방7허/9방11허 수련운동
전후좌우 5방 수행
(팔바꿔) 전후좌우
전후좌우위(무릎 굽히고)아래 7허 수행
(팔바꿔)전후 좌우 (팔바꿔)위(무릎 굽히고) 아래
■ 오방칠허(五方七虛)/9방11허의 고리 순환
우주는 5방7 허를 중심으로 둥글게 순환한다
● 평면원방각의 오방
전후좌우(4방) + 선 자리 1방(方)
사방 四方
땅의 네 방향. 다시 말해 동, 서, 남, 북을 함께 이르는 말.
● 입체원방각의 칠허
하늘땅의 전후좌우상하(6허) + 선자리 1허(虛)
육허 六虛 : 천지와 사방을 통틀어 이르는 말. 곧, 하늘과 땅, 동ㆍ서ㆍ남ㆍ북이다.
六: 여섯 륙(육)
虛: 빌 허
비슷한 의미의 단어: 육합(六合) 육막(六幕)
북남동서중(北南東西中)의 오방(五方)
북남동서상하중(北南東西上下中)의 칠허(七虛)
오방오제(五方五帝)
북방(北方)의 흑제(黑帝)
남방(南方)의 적제(赤帝)
동방(東方)의 청제(靑帝)
서방(西方)의 백제(白帝)
중방(中方)의 황제(黃帝)
칠방칠허(七方七虛)
북방(北方)의 북허(北虛)
남방(南方)의 남허(南虛)
동방(東方)의 동허(東虛)
서방(西方)의 서허(西虛)
상방(上方)의 상허(上虛)
하방(下方)의 하허(下虛)
중방(中方)의 중허(中帝)
■ 虛 : 빌 허, 하늘 허
= 空(빌 공, 하늘 공)
빌 허(虛)는 '비다', '없다', '헛되다' , '하늘' 등의 뜻을 나타내는 한자이다.
본래는 '큰 언덕'을 의미했으나 이후 뜻이 확장되어 건강이 비어 '약하다', '앓다', 진실이 없는 '거짓', 아무도 살지 않는 '폐허', '비어 있다', '차지 않다',
空(빌 공)처럼 '하늘', 배가 비어 있는 '배고픔'의 의미로도 쓰인다.
■ 음양오행(일월 수화목금토)의 칠정(七政)
■ 자부선인의 칠회제신력(七回祭神曆)
칠회제신력(七回祭神曆)은
첫날에는 천신(天神)인 일신(日神)에게
둘째날은 지신(地神)인 월신(月神)에게
셋째날은 수신(水神)에게
넷째날은 화신(火神)에게
다섯째날은 목신(木神)에게
여섯째날은 금신(金神)에게
일곱째날은 토신(土神)에게
각 제를 지내는 역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