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1.daumcdn.net/cfile/cafe/99BFAF4A5D62958C26)
무역 분쟁으로 어려운 중소기업을 위해 서울시가 함께!
- 수출길 막힌 업체 돕기 행사! “YES, 중소기업 대박!람회 ”-
- YES 갑니다, 삽니다, 중소기업제품 -
![](https://t1.daumcdn.net/cfile/cafe/993E9C4E5D6295E224)
▲ 서울 시장과 유관기관들, 각 지자체장들이 함께 개막식에 참여하고 있다.
서울시가 일본 수출 규제로 인한 중소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지난 8월 23~24 양일간, 중앙정부, 유관기관, 시민 등 사회적 연대를 통하여 중소기업 대박!람회를 개최했다. 일본 수출 의존도가 높은 지역특산물과 업체의 피해를 줄이고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위한 이 박람회는 생활용품, 농수산‧가공식품, 패션‧주얼리, 관광 상품 등 총 230여 개 기업이 참여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99BABE455D62961716)
▲ 상품 판매자가 목에 거는 선풍기를 설명하고 시민이 체험하고 있다.
‘갑니다! 중소기업 박람회, 삽니다! 중소기업 제품’이라는 캠페인 슬로건으로 진행하는 ‘YES 중소기업 대박!람회’는 ①생활용품, 농수산‧가공식품 등 상품판매전(서울광장, 무교로, 청계광장, 프레스센터 앞, 덕수궁길) ②중소기업 지원정책 상담‧안내 및 수출규제 피해접수(서울광장) ③수출시장 다변화를 위한 바이어 상담회(신청사 1층) 등 3가지로 구분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9972EB435D6296F321)
▲ 덕수궁길에 체험 부스들이 진열되어 있다.
상품판매전은 우수 생활용품 판매전/지역 상생 농수산‧가공식품 판매전/서울관광박람회/패션‧주얼리 판매전으로 세분화하고, 우수 생활용품은 서울시청(잔디마당)과 총 106개사 참여, 리빙, 가전, 이·미용 제품 등이 전시되었다. 룰렛(roulette) 경품 이벤트, 상품체험관의 부대행사와 함께 7,000원 이상 구매고객에게는 제로페이 할인쿠폰(5,000원)을 증정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996F7A445D62967610)
▲ 판매자들이 시음회를 마련하고 상품 소개에 열심이다.
서울 관광박람회는 청계광장 일대에서 강원도, 광주광역시 등 지자체 홍보부스가 운영되고, 13개 관광기업에서 국내 여행 상품과 관광 체험도 진행했다. 지역 상생 농수산‧가공 상품은 경남, 전남 등 수출 피해 우려 농가를 포함한 총 40개사가 참여해 현장에서 장바구니 만들기 체험, 우리 먹거리 시식회 등을 하고 전복, 미역, 김, 꿀 등을 무교로 일대에서 판매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99BB2E465D62969B1E)
▲ 무교로에는 각 농수산물이 진열되어 시민들의 눈길을 끌고 있다.
덕수궁길에서는 자치구 추천 중소기업 제품(쥬얼리, 수제화, 패션잡화) 등 44개사의 참여가 있었고, 365 패션쇼와 쇼룸이 운영되었다. 서대문구와 15개 자치구도 동참해 산소발생마스크 등 중소기업 제품 판매 지원에 나섰다.
서울광장에는 ‘찾아가는 기업상담센터’를 운영하여 일본 수출피해 기업을 위한 현장 상담을 진행했다. 소재부품수급대응지원센터와 전략물자관리원, 중소기업중앙회, 코트라, 무역보험공사 등 관계기관이 협력하여 현장에서 기업의 애로사항을 듣고, 정부와 서울시 차원의 지원 정책을 설명했다.
▲ 관계 기관에서 창업과 판매, 마케팅 관련 상담을 하고 있다.
신청사 1층 로비에는 베트남, 스페인, 미국 등 외국인 무역인 10개사(총 9개국)와 올리브영, 인터파크 등 국내 바이어를 포함한 총 21개사 바이어가 참여하여‘바이어 초청 수출 상담회’를 하고, 4차 산업혁명시대, 중소기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강연이 진행되었다.
서울시 경제정책실장은 “중소기업 대박람회는 우리 중소기업에 실질적인 보탬이 될 수 있도록 준비한 자리이다. 어려움을 함께 극복할 수 있도록 많이 오셔서 좋은 제품을 구매해주시고 즐겨주시기 바란다”고 말했다.
‘YES 중소기업 대박!람회’는 중소기업중앙회, 서울산업진흥원, 서울신용보증재단, 서울관광재단,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무역보험공사, 코트라, 무역협회, 소재부품수급대응지원센터, 전략물자관리원 등 중소기업 지원기관이 함께했다.
이복원 기자
첫댓글 모두가 한마음~~~
좋은정보 고마워요!
중소기업이 성장해야 나라가 살길인데~
모두 한마음으로 동참해요~
좋은정보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