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시: 2021, 12, 22, 수요일, 맑음, 장암,
"명품고택" <名品古宅> "서계종택" <西溪綜宅> 입니다 !!
조선 후기 실학자 "서계 박세당" <西溪 朴世堂>선생이 저술활동을 하던 건물로 ~
선생은 1660 년 과거에 급제하여.. 여러 벼슬자리에 올랐으나 ~
40 세에 관직을 그만두고.. 이곳에서 학문연구와 후진 양성에 힘썻다고 합니다 ~
직접 농사를 지은 경험을 토대로.. 그의 대표적인 "농학서" 인 "색경" <穡經>을 저술했으며 ~
처음에는 안채와 안사랑.. 행랑채를 갖춘 조선후기 사대부가 <士大夫家>의 규모였으나 ~
6,25 동란때 대부분 소실되고.. 현재는 바깥 사랑채만 남아 있다고 합니다 ~
"누산" <樓山>은.. 도봉산 다락원 일대에 있는.. 큰 인물임을 뜻한다 전해지며..?
사랑채와 곁들여진.. 누 마루 "관어정" <觀魚亭>은.. 독특한 구조의 정자라 하구요..?
왼쪽은.. "하석 박정" 그리고 "서계 박세당" 선생의 초상화를 나린히 모셨읍니다 ~
"노거수" <老巨樹>인 "은행나무" 보호수는 420 년.. 됐다 하구요 ~
사랑채 뒤로 수락산 자락에 위치한 "서계 박세당 묘역" 인데 ~
봉분 <封墳>은.. 단 분<墳>으로.. 두 부인과 "삼위합장 묘" <三位蛤葬 墓>라는군요 ~
박세당 사랑채 옆 계곡에 암각 <巖刻>이 새겨져 있다고해 수색에 들어갑니다..?
서계 선생이 썼다는.. "석천동" <石泉洞> 암각문 <巖刻文>과..?
"서계유거" <西溪由居>는.. 서계선생이 머물렀다는 뜻일테구요..?
"취승대" <聚勝臺>의 뜻은? 모일 "聚" 이길 "勝" 인데.. 뭉치면 이긴다는 뜻인가..?
이곳 "청풍정 유지" <淸風亭 遺址>는 "서계 박세당 선생" 이.. "매월당 김시습 선생" <梅月堂 金時習 先生>을 ~
"추모 배향" <追慕 配享>하기 위해 충렬사 <忠烈祠>를 짓고 ~
그 앞에 정자를 지어 유생 <儒生>들과 학문을 강론<講論>하던 곳이랍니다 ~
청풍정 주춧돌앞 계곡에는.. 서계선생의 처남 "남구만" 이 썻다는 "수락동천" <水落洞天>이 암각돼 있는데 ~
"일필휘지" <一筆揮之>의 "초서쳬" <草書體>는.. 매월당 선생의 글이라고도 한다네요..?
"노강서원" <鷺江書院>은.. 조선 숙종 15년 "인현왕후" 폐출 <廢黜>의 부당함을 ~
죽음으로써 간언하였던 "정재 박태보" <定齋 朴泰輔>선생의 뜻을 기리고 ~
지방교육의 장<場>으로 삼기위하여.. 서울 노량진에 건립한 서원이며 ~
숙종 23 년에 "조운벽" 등의 간청으로 "노강" <鷺江>이라고 사액 <賜額>받았답니다 ~
1754 년에 다시 지었으며.. 대원군의 서원 철폐당시 남은 47 개의 서원중 하나라네요 ~
"박태보" 는.. "서계 박세당" 의 둘째 아들로 숙종 3 년 <1677>문과에 장원 급제한후 ~
관직에 나아가.. 숙종 1677 년 인현왕후 폐위를 반대하다가 진도로 유배가던중 ~
36 세의 나이로 노량진에서 숨을 거뒀답니다.. 숙종 20 년 모든죄를 사면받고 ~
그의 충절과 학문이 높이 평가되어 "영의정" 의 벼슬과 "문열" <文烈>의 시호가 내려졌으며 ~
그를 추모 <追慕>하는 뜻에서 이 서원이 건립 되었고.. 노량진 노강서원은 ~
6,25 전란으로 소실 <燒失>되어.. 1969 년 이곳으로 옮기면서 ~
매월당 김시습 영정을 봉안했던 충렬사 터에 다시 지었다고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