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정도는 타당성이 있는 주장이라고 생각됩니다.
군산선과 전라선의 연계라는 관점에 있어서 현 익산역의 위치는
두 선로를 연계시켜 십자형 교통망을 만드는 것이 불가능한 실정입니다.
지도상으로는 아무 하자가 없어 보이기는 합니다만.
군산선과 전라선을 연계운용하는 데 있어서 익산역이 걸림돌이 되고 있는 것으로
현재 대구선과 관련해 경주역이 겪고 있는 유명한 역방향 및 평면교차 문제를
익산역 역시 내포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런 문제점을 현 익산역을 그대로 둔 채 해결하려 한다면
서울지하철의 환승역처럼 익산역 구내에서 호남선과 군산-전라선이 입체교차되도록
역사 구조 자체를 재설계해야 되는데다
군산-전라선을 익산역을 수평으로 가로지르게 하기 위해서는
익산역 동서로 형성된 시가지를 크게 훼손하면서 군산-전라선을 이쪽으로 이설해야 하는데
가능할까 의문입니다.
김제시 백구면 일대라고 하는 것은 현 전라선 동익산역에서 남쪽으로 조금 떨어진 부분인데
이곳에 십자형 또는 T자형으로 입체교차가 가능한 신역사를 설치하고
군산-전라선을 이쪽으로 이설한다면 문제의 해결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가 됩니다.
요는. 어떤 사안을 평가내릴 때는 그 정황을 충분히 파악하고 나서 내려야 한다는 것입니다. ^^
전라선의 수요처가 어딘가요. 크게 봐서 전주, 남원, 순천 아닙니까. 지금도 대전에서 익산으로 꺾어 다시 전주로 가느라 경쟁력이 밀리는데, 기껏해서 익산까지 신선 만들어놓고 전라선을 남하시켜서 효과를 반감시킬 이유가 있을까요? 아예 신선을 전주에 가까운 쪽으로 만드는 방안이라면 현실성이 있었을지도 모릅니다.
삼례역을 환승역으로 하는 전북역사가 새로 지어진다면 전주쪽에는 가까워질지 몰라도 익산 시내는 물론이고 군산과의 접근성은 꽝이 됩니다. 고철 전용 신선 역이기 때문에 어차피 전라선에 통근전철 놓지 않는 이상은 그렇지 않아도 줄어든 전라선 일반열차와 연계를 해야 하기 때문에 철도를 이용한 연계 역시 힘듭니다.
첫댓글 군산, 전라선이 서로 분기하는 지점으로 익산역을 옮기고, 그 부분을 하나의 입체교차 선로로 만들어야 할 듯 합니다. 현 상태에서라면 군산선이나 전라선 중 하나를 옮겨야 합니다.
전라선이나 군산선 둘중하나를 옴긴다면 다른 역사와 선로를 따로 만들어야되는데... 예산이 낭비 되지 않을까요???
옮기더라도 군산선이 오히려 옮기는게 유리하지않을까요 전라선쪽에는 워낙 많은 주택단지들이있기에 군산선쪽은 거의 논쪽이라서 군산선을 조금 조정해서 오산리역 전까지의 선로를 이동시키는것이..
전라선의 수요처가 어딘가요. 크게 봐서 전주, 남원, 순천 아닙니까. 지금도 대전에서 익산으로 꺾어 다시 전주로 가느라 경쟁력이 밀리는데, 기껏해서 익산까지 신선 만들어놓고 전라선을 남하시켜서 효과를 반감시킬 이유가 있을까요? 아예 신선을 전주에 가까운 쪽으로 만드는 방안이라면 현실성이 있었을지도 모릅니다.
삼례역을 환승역으로 하는 전북역사가 새로 지어진다면 전주쪽에는 가까워질지 몰라도 익산 시내는 물론이고 군산과의 접근성은 꽝이 됩니다. 고철 전용 신선 역이기 때문에 어차피 전라선에 통근전철 놓지 않는 이상은 그렇지 않아도 줄어든 전라선 일반열차와 연계를 해야 하기 때문에 철도를 이용한 연계 역시 힘듭니다.
만약 신역사를 세운다고해도 현 상황에서는 다시 익산 이남지역과의 연결선도 고려해야기에 참 난감한상황이죠 전구간 을한다고하면 자체를 이전해도되나 만약구간 공사화하면 현 호남선과 신선의 연결선도 고려를 안할수가,,,
그러니까 현 익산역이 가장 좋다고 생각합니다. 부지가 넉넉하기 때문에 (정 안되면 차량사무소를 옮길 수 있으니까요. 용산역과 비슷하게. 원래 역사 이축계획이 있죠?) 군산선 위치만 조정하면 얼마든지 해결된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