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 춤은 부드러운 면도 많다. 그럼에도 이리 말하는 이유는 한번 반대로도 생각해 보자는거다. 우리가 춤을 부드러워야한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여러군데 있다. 먼저 한국무용의 춤사위가 그렇고 왈츠가 그렇고 지루박까지도 부드러워야 되는 줄 안다. 춤하면 부드러운 것 이리 생각하기 마련이다. 하지만 과연 그런가. 부드럽지 않은 춤은 없는가. 아니다. 무지무지 많다.
그럼에도 우리들은 그저 춤은 부드러워야 한다고 그래야 아름답다고 부르짖는다. 그건 어찌보면 춤에 대한 편견이다. 춤은 쿵짝 다시말해 북을 쿵쿵 두드리는걸로 시작된다. 어떤 춤이든 마찬가지다. 부드러운 것과는 좀 거리가 멀다. 그런데 왜 춤은 부드러워야만하는가. 이건 우리들이 부드럽다는 말을 잘못 이해하기 때문이다. 부드럽다는건 구렁이 담넘어가듯이 유연해야만 한다는 얘기가 아니다. 부드럽다는건 동작에 끊김이 없어야 한다는 말이다. 부드럽던 쿵쾅대건 무슨 동작을 하더라도 버벅댐이 없이 흘러가야 한다는거다. 그건 동작의 유연함과는 다르다.
이리 당연한 애기를 쓰는 이유는 춤을 좀 춤답게 춰보고자 함에 있다. 몇년을 고생하는데 춤이 되지를 않는 이유가 뭔가. 그건 그저 부드러움 또는 아름다움이나 멋만을 찾다보니 마치 미술관의 그림을 보는 것처럼 눈에 아름답게 비춰지면 잘추는 줄 안다. 하지만 잘추고 못추고를 떠나 그리해서는 춤이 되지를 않는다.
춤은 박자다. 당연히 끊어짐이 있는거다. 끊어짐이 없으면 그건 음악도 아니요 더더군다나 춤도 아니다. 만약 음악에 끊어짐이 없다면 그건 귀신 울음소리 비슷하게 될 것이다. 잘 끊고 또 잘 이어붙이는게 춤을 제대로 추는게 아닌가 싶다. 이리 하려면 박자를 탈 줄 알아야 하는 것은 기본이요 이건 누구나 다 할 줄 안다. 박자를 탈 줄 안다고해서 박자를 놓치지 않느다는 말은 아니다. 추다보면 박자를 놓치는 경우도 부지기수로 생긴다. 당연한거다. 초보건 고수건 춤은 박자에 맞춘다는 걸 안다. 그러면 기본은 된거지 거기에 무슨 큰차이는 없다. 그러면 하수와 고수의 차이점은 어디에서 오는가.
그건 주고 받음에 있다. 커플댄스에서 서로간에 주고 받는게 없다면 춤은 살지 않는다. 주고 받는다는걸 달리 말하면 텐션이다. 그러한 텐션은 춤이라면 어떤 춤이든 기본적으로 깔고 있다. 한국무용도 마찬가지다. 텐션없는 한국 무용은 존재하지 않는다. 춤은 아크로바트 즉 곡예가 아니다. 주고 받는거다. Give & Take다.
만약 우리가 콜라텍에서 여자에게 뭘 줄 수 있다면 춤방에서 다접받을 것이다. 그건 바로 텐션을 줄 줄 알아야 한다. 달리 말하면 긴장을 주고 풀어주고 할 수도 있고 또 눈빛만으로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잇다. 거기에 따라서 여자가 돌아나간다면 그것 또한 텐션이다. 이글은 다분히 주관적인 글이라 자칫하면 뭔소리여? 할 수도 있지만 쉽게 말하면 주고 받자는거다. 그저 아름다움만 표현하려 공염불하지 말자는 얘기다.
왈츠도 마찬가지다. 멋진 픽쳐라인 만든다고 백날 폼잡아봐야 거기에 밀고 당김, 주고 받음, 텐션이 없으면 말짱 도루묵이다. 자기딴에는 잘하는 것 같아도 그건 춤이 아니다. 그런데 우리 대부분이 그런 실수를 하고 있다. 왜?? 그 놈의 피겨 루틴 배우느라 볼 일 다보기 때문이다. 주고 받는게 없는 피겨나 루틴은 춤과는 아무 상관이 없다. 왈츠같은 모던댄스에서 CBM(몸을 비트는 동작, 실탄장전)을 중시하는 것도 주고 받기 위함이다. 텐션을 줘서 동작을 이어나가기 위함이지 CBM만으로 춤이 멋지게 보이는 건 아니다.
좌우지당간 주고 받자. 밀고 땡기자. 그걸 서로 주고받는게 춤이다. 춤은 그 맛에 추는거다. 이 얘기는 내가 한 왕고참 여선생에게 들은 얘기이기도 하다. 밀고 땡길 줄 알면 그제서야 견습 제비라도 할 수 있는 법이다. 몸도 밀고 당기고 마음도 밀고 땡기고 거기서 사랑도 싹튼다. 갑자기 웬 사랑이여? 하겠지만 밀고 땡길 수만 있다면 춤판에서 귀공자 대접받는건 따 논 당상이다.
첫댓글 세월이 흐르면 부드러워 집니다 즐감하고 갑니다 감사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