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중국의 영구자석 산업 개괄 | ||
자료분류 | 산업동향 | 국가명 | 중국 |
산업분류명 | 제조업>조립금속,기계,장비>조립금속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기타 조립금속제품 제조 및 금속처리업 | ||
언어 | 중국어 | 원문자료량 | 3 쪽 |
원문바로가기 | http://www.mirdc.org.tw/information/IndustryNews01_detail.aspx?cond=3956&sty=07 | ||
원문자료![]() |
2012.02 | 자료등록일 | 2012.06.16 |
작성자 | 해외산업23 | 읽음 | 3 |
자료출처 | 대만 금속산업연구발전센터(MIRDC) | ||
◈ 주요 내용 1. 머리말 : 중국은 네오디뮴 자석(Neodymium Magnet)의 주요 원료인 희토류 자원이 풍부하여 자성소재 산업의 발전에 유리. 중국은 네오디뮴 자석의 생산대국으로, 전세계 생산량의 70%가 중국에서 생산되고 있음.
2. 중국의 영구자석 산업 동향 : 1983년 전까지 중국의 희토류 영구자석 생산업체가 10개에 못 미쳤으나, 네오디뮴(NdFeB) 자석의 출현으로 1985년 이후 수많은 공장이 건설되기 시작. 현재 중국의 희토류 영구자석 생산 업체는 100여 개에 달하며, 이중 연간 생산력이 3,000톤을 상회하는 업체 수는 약 4개이며, 연간 생산력이 1,000~3,000톤과 500~1,000에 달하는 업체 수는 각각 약 6개와 약 8개임.
3. 중국의 영구자석 생산 업체 - 중국의 희토류 영구자석 생산 업체는 약 130여 개에 이름. 이중 소결 네오디뮴 자석 생산 업체에는 베이징 중커싼환 하이테크(中科三環, Zhongke Sanhuan), 닝보 윈성(韵升, Yunsheng), 안타이(安泰科技, AT&M ; Advanced Technology & Materials), 옌타이 정하이(正海磁材, Zhmag ; Yantai Zhenghai Magnetic Material) 등이 있으며, 본디드(Bonded) 네오디뮴 자석 생산 업체에는 청두 인허(銀河磁體, Chengdu Galaxy Magnets), 중커싼환 하이테크(中科三環), 닝보 윈성(韵升) 등이 있음.
- 소결 네오디뮴 자석 생산 업체 : 전세계 소결 네오디뮴 자석 생산 업체는 유럽, 일본, 중국에 분포. 이중 유럽에는 독일의 Vacuum Schmelze(VAC)와 핀란드의 Neorem Magnets, 2개 업체가 있으며, 일본에는 네오맥스(NEOMAX), TDK, Neorem 3개 업체가 있음. 이중 네오맥스는 히타치 금속(日立金屬)의 계열사로 전세계 최대의 네오디뮴 생산 업체이며, TDK, Neorem과 마찬가지로 중국에 후가공 기지를 보유. 독일의 VAC사는 2005년 중커싼환 사와 베이징에 소결 네오디뮴 공동출자회사를 설립.
- 본디드 네오디뮴 자석 생산 업체 : 전세계 생산력의 대부분이 일본 업체들에 집중되어 있는데, 세이코 엡손(精工 Epson, Seiko Epson)과 다이도(大同特殊鋼, Daido Steel) 양대 업체가 전세계 HDD 스핀들 모터용 네오디뮴 자석 수요의 90% 이상을 공급.
- 중국의 사마륨 코발체(SmCo) 자석 산업은 1980년대부터 시작되었으나, 코발트 원료의 전량 수입 의존과 높은 가격이 보급을 저해하여, 1990년에는 생산량이 겨우 55톤에 불과했으며, 2000년에야 135톤 수준으로 증가.
- 중국의 영구자석 소재 총 생산량은, 국내외 업체의 중국 내 공장 건설이 증가하면서, 1988년의 85톤에서 2002년에는 10,200톤으로 증가하였으며, 2010년에는 88,000톤까지 증대됨. 이중 소결 네오디뮴 자석의 생산량은 약 82,280톤(전체의 93.5%), 본디드 네오디뮴 자석의 생산량은 4,752톤(전체의 5.4%), 사마륨-코발트 자석의 생산량은 968톤(전체의 1.1%)에 달했음.
4. 향후 전망 : 에너지 절감 가전 분야는 향후 네오디뮴 자석의 주요 대체 수요 분야임. 절전 효과가 뛰어난 인버터 에어컨은 현재 구미 지역과 일본 에어컨 시장의 약 98%를 차지하고 있으나, 중국은 아직 보급률이 낮아, 시장 전망이 밝음.
◈ 표ㆍ그래프 목차 그래프. 1988-2010년 중국의 희토류 영구자석 생산량 및 수출량 변화 추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