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온라인학교 ‘빛고을온학교’ 개교
최첨단 기자재 통한 온라인 수업 제공
소수 수강과목 개설해 학생의 다양한 실력 양성 기반 마련
광주 온라인학교인 빛고을온학교가 27일 개교식을 실시했다.
구)광주과학고등학교를 리모델링해 지난 9월1일 문을 연 빛고을온학교는 온라인 기반 실시간 쌍방향 화상 수업으로 일반 학교에서 개설이 어려운 소수 수강과목을 운영해 학생 맞춤형 교육과정을 지원하는 공립 각종학교이다.
개교식에는 이정선 교육감, 이귀순 시의원, 김동진 광주대 총장을 비롯해 시교육청 관계자, 관내 고등학교장, 지역사회 관계자, 교육계 원로 등이 참석했다.
이날 공개된 빛고을온학교의 디지털 기반 원격교육 시설은 참석자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특히 최첨단 기자재를 활용한 온라인 수업 시연 과정은 새로운 교육 혁신의 가능성을 보였다.
조미경 교장은 “미래를 향한 도전과 탐구라는 비전 아래 학생들의 진로와 적성에 맞는 교과를 개설해 미래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것이다. 또한 대면 수업 이상의 효과를 위해 온라인 수업 모형 개발에 적극 나서겠다. 빛고을온학교는 새로운 미래학교 모델로 자리잡을 것이다.”고 밝혔다.
이정선 교육감은 “빛고을온학교는 학생들의 다양한 진로에 맞는 온라인 수업을 제공함으로써 교육의 다양성과 질 제고에 기여할 것이다. 다양한 실력을 갖춘 인재 양성을 위한 기틀이 돼 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광주교육청 금쪽같은 내 새끼를 위한 ‘어서와 아빠 성교육 교실은 처음이지?’ 운영
광주교육청은 오는 31일 관내 초∙중∙고등학교 자녀를 둔 아빠들을 대상으로 ‘어서와 아빠 성교육 교실은 처음이지?’을 운영한다.
이번 성교육 교실은 현재 운영 중인 ‘학교로 찾아가는 학생 보호자 교육’이 주로 일과 중에 이뤄져 참여하지 못했던 아빠들을 위해 마련됐다. 일과 이후 교육이 이뤄져 자녀 교육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아빠 성교육 교실에서는 ‘자녀 성교육 및 소통방법‘이라는 주제로 이레네메모리얼 가족상담센터 이동천 센터장의 강의와 질의응답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신청은 지난 18~26일 각 학교 홈페이지 및 가정통신문을 통해 이뤄졌다. 예상 인원 100여 명을 초과한 300여 명의 아빠(학생보호자)들이 신청해 이번 교육에 대한 높은 관심을 나타냈다.
이정선 교육감은 “이번 교육이 아빠들에게 어렵고 힘든 자녀 성교육에 대한 지침이 됐으면 한다. 앞으로도 학생 보호자 교육, 특히 아빠들에게 많은 교육 기회를 마련해 자녀 교육이 도움을 드리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광주교육청 굿네이버스 광주전남지역본부와 함께 여중생 생리용품 전달
광주교육청이 지난 26일 굿네이버스 광주전남지역본부와 함께 ‘중학교 여학생 생리용품 지원 전달식’을 실시했다.
이번 전달식은 굿네이버스 광주전남지역본부의 ‘광주광역시 아동 건강권 증진 캠페인’ 사업의 일환이다. 이번 캠페인으로 관내 여학생 재학 중학교 88개교에 5천만원 상당의 생리용품이 전달됐으며 마음건강 증진 리플릿 배포도 같이 이뤄졌다.
전달된 생리용품은 여중생 2만명이 필요할 때 언제든지 자유롭게 요청해 이용할 수 있도록 학교 보건실 등에서 보관하게 된다.
이정선 교육감은 “여학생의 건강한 성장과 복지 향상 그리고 건강권 증진을 위해 생리용품을 지원해 주신 굿네이버스 광주전남지역본부에 감사드린다. 아동이 건강하게 자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지원하는 건 우리 사회의 의무이다. 앞으로도 아동이 건강한 사회를 만드는데 우리 교육청도 굿네이버스 광주전남지역본부와 함께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광주교육청 장애인식개선을 위한 교육신문 발행
27일까지 관내 신청학교 및 기관 배부
광주교육청이 2023년 하반기 장애인식개선 교육신문을 발행해 27일까지 교육지원청, 교육청 산하기관은 물론 신청학교에 배부했다.
이번 신문 발행은 장애인권에 대한 감수성을 높이고 다양성을 존중하는 학교문화를 만들기 위해 마련됐다. 시교육청은 이를 위해 지난 2020년부터 매년 상·하반기 장애인식개선 교육신문을 발행하고 있다.
하반기 교육신문은 ▲딩동댕 유치원 자폐 스펙트럼 장애인 캐릭터 ‘별이’ ▲특수학급, 특수학교 및 독일 경계없는 학교 ▲광주점자도서관 개관 ▲선예학교 개교(예정) ▲발달장애 골퍼 허도경 선수 ▲청각장애 아이돌 S-BOYZ ▲장애공감 낱말퍼즐 등의 내용으로 장애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높일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했다.
한편 이번 교육신문은 각 학교 장애이해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수업용 프레젠테이션 자료도 함께 보급할 예정이다.
이정선 교육감은 “장애 공감은 모두의 관심과 실천으로 함께 하는 게 중요하다. 이번 장애인식 교육 신문이 이를 위한 마중물이 됐으면 한다. 우리 교육은 앞으로도 장애인식 개선을 위해 꾸준히 지원과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기사더보기:
http://www.miraenews.co.kr/news_gisa/gisa_view.htm?gisa_category=01060000&gisa_idx=76031
#광주교육청 #이정선교육감 #빛고을온학교 #온라인학교 #성교육 #아빠성교육 #굿네이버스 #여성용품 #장애인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