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 계 식 (受戒式) - 불자들은 법명은 받아야 한다
수계식은 부처의 가르침을 받드는 사람이 지켜야 할 계율을 받는 의식으로
지도 스님이나 큰 스님으로부터 법명을 받는 의식을 함께 한다.
법명(法名)은 불교에 귀의한 사람이 속명(세속에서 쓰는 이름)과 별개로
승려로부터 수계하며 받는 이름이다.
불명(佛名)이라고도 하고 수계하며 받는 이름이라 하여
계명(戒名)이라고도 한다.
현대 한국불교는 대개 법명이란 단어를 사용한다.
승려들이 받는 법명은 따로 승명(僧名)이라고 구분하기도 한다.
승려가 받는 법명은 그 사람을 제자로 받아들인 은사 스님이,
재가자가 받는 법명은 수계식을 주관한 스님이 지어주는 것이 관례이다.
승려가 사용하는 법명은 사미계/사미니계를 받은 뒤에 정하는데,
최소한 사미계/사미니계는 받아야 출가했다고 말할 수 있기 때문이다.
법명을 받은 승려는 '법명+스님'으로 불리고,
세속에서 사용하던 성은 속성(俗姓),
이름은 속명(俗名)이라 하여 군승이 아닌 이상은 더 이상 사용하지 않음이 원칙이다.
예를 들어 홍길동이란 사람이 출가하여 '금봉'라는 법명을 받았다고 하자.
그러면 홍길동이라는 승려는 일상에서 '금봉 스님'이라고만 불리고,
홍씨는 속성, 길동은 속명이 되어 쓰지 않는다.
승려뿐 아니라 일반 불자도 수계식을 치르면
승려로부터 법명을 받는다.
유명인 중에선 야구 선수 이대호가 '삼소(三笑)'라는 법명을 받은 것이 대표적인 예이며
한국 불교는 재가 불자에게 법명을 지어줄 경우
우바새(남자 불자)에겐 2글자, 우바이(여자 불자)에겐 3글자로 하는 관습이 있다.
타종교에서 이와 비슷한 예로는
기독교에서 세례를 하며 사제 서품을 받지 않은 신자들에게도
세례명을 주는 것이 있다.
가톨릭의 수도자들도 수도회에 입회할 때에
수도명이라 하여 세례명이나 속명과 별도로 이름을 받는다.
수계식을 통해 계를 받는다는 것에는 어떤 의미가 있는 것일까?
부파에 따라 의견에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계체(戒體)’의 획득이라는 관점에서 수계식은 매우 중시된다.
계체란 계의 본체라는 의미로 방비지악(防非止惡)의 힘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오계를 받은 자가 그 후의 생활에서 오계의 영향으로 인해
더 이상 살생이나 거짓말 등과 같은 악행을 하지 못하도록
차단해 주는‘보이지 않는 힘’,
이것이 바로 계체이다.
수계식에서 수계 희망자는
‘∼하는 행동으로부터 지키겠습니다’
라고 맹세하며,
이후 불교도로서 부끄럽지 않은 올바른 심신을 유지해 나갈 것을
자발적으로 약속하게 되는데,
이 약속은 수계식이 끝난 후에도
‘보이지 않는 힘’
이 되어 수계자에게 남게 된다.
* 수계식 예문
선남자 선여인들이여 계를 받았으니 계체를 구족하였습니다.
다시 오계를 설할 것이니 잘 지킬 것을 다짐하여야 합니다.
다음 물음에 따라 ‘지키겠습니다.’ 라고 대답하십시오.
첫째. 산목숨을 죽이지 말지니 자비심으로 중생을 사랑하라.
이것이 여러 우바새 우바이의 계이니
몸과 목숨이 다하도록 잘 지키겠습니까?
(잘 지키겠습니다.)
둘째. 주지 않는 남의 물건을 훔치지 말지니 보시를 행하여 복덕을 지어라
이것이 여러 우바새 우바이의 계이니
몸과 목숨이 다하도록 잘 지키겠습니까?
(잘 지키겠습니다.)
셋째. 삿된 음행을 하지 말지니 몸과 마음을 청정행을 닦으라.
이것이 여러 우바새 우바이의 계이니
몸과 목숨이 다하도록 잘 지키겠습니까?
(잘 지키겠습니다.)
넷째. 망어를 하지 말지니 진실은 말하고 신뢰를 지켜라.
이것이 여러 우바새 우바이의 계이니
몸과 목숨이 다하도록 잘 지키겠습니까?
(잘 지키겠습니다.)
다섯째. 술이나 마약을 취하지 말지니 언제나 밝고 맑은 지혜를 보호해 가지라.
이것이 여러 우바새 우바이의 계이니
몸과 목숨이 다하도록 잘 지키겠습니까?
(잘 지키겠습니다.)
선남자 선여인들이여 삼귀의 오계를 잘 받아 마쳤으니
믿고 행하고 원하는 것이 이루어지도록
원을 세워야 합니다.
그리고 이후 더 이상 악행을 일삼지 못하도록
방해하는 근본적인 힘이 되어 준다.
수계식이라는 공식적인 의식을 통해 불법승 삼보를 마주하고 한 자신과의 약속이라는 점이
아마도 수계 후까지 그 사람의 마음에 남아 영향을 주게 되는,
일종의 심리적 현상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계체는 수계식 이후 본인의 의지 여하에 따라
더 강해질 수도 또는 약해질 수도 있지만,
일단 계체 획득의 계기를 마련하여
불교도로서의 첫 걸음을 내딛게 해 준다는 점에서
수계식의 의미는 중대하다.
아무리 좋은 행동이라도 굳건한 결의가 선행되지 않는다면
시작하기도 힘들고 지속하기도 힘들기 때문이다.
한편, 만약 수계식을 받았는데도 악행에 대한 꺼림을 전혀 느끼지 못한다면,
그는 자신의 수계가 그 순간만이라도
진지한 결의에 근거하여 이루어졌는지 다시 한 번 되돌아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불자로서의 올바른 행동을 통해 불교의 궁극적인 목표에
한발 한발 다가가고자 하는 절실한 의지에 근거한 수계식이 아니라면,
진정한 계체의 획득은 기대하기 힘들다.
자칭 불교신자라고 하면서
‘어차피 지키지도 못할 거, 받고 난 후 마음만 불편하기 싫어서’
라는 이유로 수계식을 꺼리는 사람들을 만나게 된다.
그러나 수계식의 목적은 자신의 잘못된 행동을 자각하고
이에 대해 불편한 마음을 일으킬 줄 아는
계체를 심어 주는 것에 있다.
왜냐하면, 이 불편한 마음이야말로 악행을 멀리하고
선행을 즐기게 해 줄 하나의 훌륭한 씨앗이기 때문이다.
염라대왕(발설 지옥)은 중생이 죽은 지 35일째.
악법을 따르고 ,함부로 살생을 하고, 도둑질, 음행을 일삼고,
살인 , 도를 구하는 자를 죽인 자를 심판하고 벌을 주는 판관입니다.
불교에서 염라대왕은 명부의 시왕(十王) 중 다섯 번째 왕이다.
사람이 죽어서 가는 곳을 명부(冥府)라 하는데,
명부에서 핵심을 이루는 것이 지장보살과 명부시왕이다.
진광대왕에서 전륜대왕까지 10명의 대왕이 있으며,
보통 살아생전 죄를 거의 짓지 않고 살다 죽은 사람은
제7 태산대왕을 끝으로 심판은 마무리되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 평등대왕, 도시대왕, 전륜대왕의 심판도 받아야 한다.
염마왕을 만나러 가는 모습은 몇몇 경전에 묘사되어 있다.
‘시왕생칠경’에서는, 염마왕 앞에서 죄인이 머리채를 잡힌 채
머리를 들어 업경을 보고 비로소 전생의 일을 분명히 깨닫게 되며,
이 업경에는 죄인들의 생전에 지은
일체의 선행과 악행이 비춰진다고 한다.
이때 안심정사의 수계식에서 받으신 계첩이 중요 합니다.
그것은 염라대왕한테 갔을 때에 중요한 증표이며
마지막으로 염라대왕이 법명이 무엇이냐고 물어 볼 때
다음과 같이 답을 해야 됩니다.
“나는 안심정사라고 하는 청정도량을 다니면서
열심히 기도하고 공부했고 봉사도 하고 공양도 올리고 불사도 하고
안심정사에서 열리는 수계법회에 동참해서
법안스님으로 부터 법명을 받은 계첩을 가지고 왔다,”
염라대왕은
‘이 사람은 불교공부를 열심히 하였으며
계첩도 있고...극락행 표를 발급한다.’
라고 답을 합니다.
그래서 자손들에게
‘내가 살면서 불자로서 부처님 법을 배웠고
봉사도 열심히 했던 증거이니까 그 계첩을 관 속에 넣어다오.’
하고 유언을 하시면 됩니다.
참고로 안심정사에서는 1년에 상반기, 하반기 두 번
법우님들을 위한 수계식을 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아미타불 _()_
첫댓글 네. 감사합니다!
네 감사합니다
선생님 쉽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꼭 남편과 같이 법안스님께 법명을 받고자 올해 원입니다.
감사합니다.
-()-()-()-
이번에 수계식받게되는데 굉장히 기대가 많이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