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도행전 17:16-34 바울이 아덴에서 그들을 기다리다가 그 성에 우상이 가득한 것을 보고 마음에 격분하여 17 회당에서는 유대인과 경건한 사람들과 또 장터에서는 날마다 만나는 사람들과 변론하니 18 어떤 에피쿠로스와 스토아 찰학자들도 바울과 쟁론할새 어떤 사람은 이르되 이 말쟁이가 무슨 말을 하고자 하느냐 하고 어떤 사람은 이르되 이방 신들을 전하는 사람인가보다 하니 이는 바울이 예수와 부활을 전하기 때문이러라 19 그를 붙들어 아레오바고로 가며 말하기를 네가 말하는 이 새로운 가르침이 무엇인지 우리가 알 수 있겠느냐 20 네가 어떤 이상한 것을 우리 귀에 들려 주니 그 무슨 뜻인지 알고자 하노라 하니 21 모든 아덴 사람과 거기서 나그네된 외국인들이 가장 새로운 것을 말하고 듣는 것 이외에는 달리 시간을 쓰지 않음이더라 22 바울이 아레오바고 가운데 서서 말하되 아덴 사람들아 너희를 보니 범사에 종교심이 많도다 23 내가 두루 다니며 너희가 위하는 것들을 보다가 알지 못하는 신에게라고 새긴 단도 보았으니 그런즉 너희가 알지 못하고 위하는 그것을 내가 너희에게 알게 하리라 우주와 그 가운데 있는 만물을 지으신 하나님께서는 천지의 주재시니 손으로 지은 전에 계시지 아니하시고 25 또 무엇이 부족한 것처럼 사람의 손으로 섬김을 받으시는 것이 아니니 이는 만민에게 생명과 호흡과 만물을 친히 주시는 이심이라 26 인류의 모든 족속을 한 혈통으로 만드사 온 땅에 살게 하시고 그들의 경계를 한정하셨으니 27 이는 사람으로 혹 하나님을 더듬어 찾아 발견하게 하려 하심이로되 그는 우리 각 사람에게서 멀리 계시지 아니하도다 28 우리가 그를 힘입어 살며 거동하며 존재하느니라 너희 시인 중 어떤 사람들의 말과 같이 우리가 그의 소생이라 하니 29 이와 같이 하나님의 소생이 되었은즉 하나님을 금이나 은이나 돌에다 사람의 기술과 고안으로 새긴 것들과 같이 여길 것이 아니니라 30 알지 못하던 시대에는 하나님이 간과하셨거니와 이제는 어디든지 사람에게 다 명하사 회개하라 하셨으니 31 이는 정하신 사람으로 하여금 천하를 공의로 심판할 날을 작정하시고 이에 그를 죽은 자 가운데서 다시 살리신 것으로 모든 사람에게 믿을 만한 증거를 주셨음이니라 하니라 32 그들이 죽은 자의 부활을 듣고 어떤 사람은 조롱도 하고 어떤 사람은 이 일에 대하여 네 말을 다시 듣겠다 하니 33 이에 바울이 그들 가운데서 떠나매 34 몇 사람이 그를 가까이하여 믿으니 그 중에는 아레오바고 관리 디오누시오와 다마라라 하는 여자와 또 다른 사람들도 있었더라.
샬롬, 6월 7일 사도행전 17:16-34 요약입니다.
1. 베뢰아에서 아덴에 도착한 바울은 디모데와 실라를 기다리면서 그 도시를 혼자 탐방합니다. 사람들은 웅장한 건축과 아름다운 예술 작품이 즐비한 아덴의 우아함과 세련됨에 감탄할지 모르겠지만, 바울은 그 도시에 가득한 우상을 보고 안타까움으로 격분합니다. 그런 마음으로 바울은 회당에서는 유대인과 경건한 사람들에게, 장터에서는 날마다 만나는 사람들과 예수의 부활을 전하며 변론합니다. 이에 어떤 에피쿠로스와 스토아 철학자들은 바울을 향하여 말쟁이라고 하며, 이방 신들을 전하는 사람이라고도 생각합니다(16-18).
2. 그중에 어떤 사람이 바울을 가장 새로운 것을 듣고 말하는 아레오바고로 이끌며 바울의 새로운 가르침을 듣기를 원합니다. 이에 바울은 아레오바고에 서서 알지 못하는 신들까지 섬기는 그들의 남다른 종교심을 언급하면서 창조주 하나님과 천지의 주재이신 하나님을 전합니다. 바울의 연설(설교)는 인류의 모든 족속을 한 혈통으로 만드사 온 땅에 살게 하시고, 그들의 연대와 거주의 경계를 정하신 하나님은 사람이 손으로 지은 전에 계시지 않으시고, 우리 각 사람에게서 멀리 계시지 않다는 말로 이어집니다(19-27).
3. 계속 바울은 너희 시인 중 어떤 사람의 말처럼, 우리가 다 하나님의 소생이며 모두 그를 힘입어 살며 기동하며 존재하니, 하나님을 금이나 은이나 돌에다 새긴 우상처럼 여겨서는 안 된다고 말합니다. 알지 못하던 시대에는 간과하셨지만, 이제는 예수를 죽은 자 가운데서 다시 살리어 모든 사람의 심판 주로 세우신 하나님께서 모두가 들을 수 있는 회개의 복음을 주셨으니, 예수 믿고 회개하여 구원을 받아야 한다고 권합니다(28-31).
4. 바울의 설교가 끝나자 부활을 믿지 않는 헬라인들은 조롱했고, 어떤 사람은 내일 또 듣겠다고 긍정적인 반응을 보입니다. 이에 바울은 그들을 떠났고, 아레오바고와 관리 디오누시오와 다마리라 하는 여자와 또 다른 몇 사람이 바울을 가까이하여 믿는 역사가 일어납니다(32-34). 이처럼 복음에는 늘 반대와 지지라는 상반된 반응이 뒤따라옵니다. 특별히 숫자로 낙심하거나 좌절할 필요도 없고 교만해서도 안 됩니다. 비록 아덴의 회심자들이 숫자는 적었을지 모르지만, 이들도 성령이 주신 열매이며, 다른 지역과 비교할 수 없는, 비교해서도 안 되는 소중한 생명이기 때문입니다. 복된 하루 되십시오.
박홍섭목사 / 한우리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