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댓글사심관을 잘못 알고 있는 것 같네요... 사심관이란 토착민들 중 대표를 뽑아 그 지역을 잘 아는 것으로 질서를 잘 잡아 가라는 뜻이구요... 안찰사는 왕권이 지방까지 미칠 수 있도록 한 방법이구요... 둘이 조화를 이룬다면... 퍼팩트하겠죠.태조때 최초의 사심관은... 신라의 마지막 왕인 경순왕이죠... 신라왕족을 고려에 편입하고자 신라의 수도였던 경주를 경순왕이 감독하게한 겁니다.
엄연히 다른 관직입니다.사심관은 출신지방의 중앙관리로서 그 출신 지방에 부호장이상을 임명하는 권한을 가지고 있습니다. 사심관은 최소 두명이상을 두어 권력의 집중을 막았습니다. 안찰사는 조선시대 관찰사와 비슷하다고 연상하시면 되고요. 다만, 안찰사는 관직이 조선시대 관찰사에 비해 한품이고, 임시직이며, 독자적 사무기구를 가지지 못한 직으로 비교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첫댓글 사심관을 잘못 알고 있는 것 같네요... 사심관이란 토착민들 중 대표를 뽑아 그 지역을 잘 아는 것으로 질서를 잘 잡아 가라는 뜻이구요... 안찰사는 왕권이 지방까지 미칠 수 있도록 한 방법이구요... 둘이 조화를 이룬다면... 퍼팩트하겠죠.태조때 최초의 사심관은... 신라의 마지막 왕인 경순왕이죠... 신라왕족을 고려에 편입하고자 신라의 수도였던 경주를 경순왕이 감독하게한 겁니다.
안찰사 자체가 임기가 6개월 밖에 안되고 지방을 순회하면서 통치를 했기 때문에 지방을 견제하기에는 부족한 면이 많이 있죠.
안찰사는 중앙에서 지방에 파견한 관리이고 사심관은 ......
답변 감사합니다 ^^
엄연히 다른 관직입니다.사심관은 출신지방의 중앙관리로서 그 출신 지방에 부호장이상을 임명하는 권한을 가지고 있습니다. 사심관은 최소 두명이상을 두어 권력의 집중을 막았습니다. 안찰사는 조선시대 관찰사와 비슷하다고 연상하시면 되고요. 다만, 안찰사는 관직이 조선시대 관찰사에 비해 한품이고, 임시직이며, 독자적 사무기구를 가지지 못한 직으로 비교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