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달이 드는 해에는 생전예수재(生前豫修齋)를 한다.
생전예 수시왕생칠재(生前豫修十王生七齋)를 줄여서 생전예수재라고 한다.
사부대중의 사바세계는 남섬부주에 해당되는 바, 남섬부주에 태어나는 사람은
염라국(閻羅國)에서 수생전(受生錢)을 각각 빌려 썼으니 생전에 예수재를 올려 지부(地部)의 창고에 다시 갚아야 내 몸에 18가지 재액을 면하고 삼생에 부귀하고 행복을 받는다.
생전예수재라는 것은 내생의 복을 현생에서 미리 닦는 것이다. 보통 윤달에 지내는데 원래 윤년 든 해에 하면 된다고는 하지만, 요즘은 윤달에 많이 지낸다.
예수재는 당나라 현장법사가 인도에 가서 경전을 가져올 때 그 경전 가운데 <수생경(受生經)>을 보았는데 그중 12생의 띠가 있어 이를 번역하여 세상에 전하여 박복중생을 이익되게 하고 18가지 고통을 면하게 하였다.
<승만경>에 이르기를 세존께서 명부(冥府)에 다니시는데 아난이 종이 산을 보고 여쭈었다.
“어찌하여 종이 산이 생겼습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시기를 “남섬부주 사람들이 종이로 돈을 만들어 명부시왕에게 바쳤는데 지전(紙錢)이 법답게 만들어지지 않아 받지 않고 여기에 버렸기 때문에 종이 산이 된 것이다.”라고 하셨습니다.
이 세상에서 쓰는 엽전 팔백 푼이 지부에서 쓰는 돈 ‘개팔천’ 한 푼에 해당된다. ‘개팔천’ 한 푼이 세상 돈 8관인즉 열 푼이 80관이요 일백 푼은 8백관이다.
석판으로 지전(紙錢) 모양을 인쇄하되 앞면에는 ‘개팔천’이라 쓰고 가장자리에는 별모양 무늬를 그리고 뒷면에는‘상평통보’라 써서 금, 은색으로 인쇄하여 돈을 만들어야 정식이라 하였다.
종이로 만든 돈을 점안해서 명부전을 만든다. (변전진언 등)
생전의 빚은 수생전(受生錢)으로 갚는다.
인간이 육신을 받아 살아갈 수 있는 것은 태어나기 전에 명부(冥府)로부터 빚을 내었기에 가능한 일이며, 채권자는 명부의 십대왕 가운데 망자가 다음에 어떤 세상에 언제 태어날지를 책임진 대왕이고 관리책임자는 명부의 곳간을 담당한 고사관(庫司官)이다. 채무자인 인간은 이승에서 그 채무를 이행하지 않으면 사망한 이후 그에 상응한 대가를 치러야 한다.
남섬부주 사람들이 세상에 태어날 때 명사에서 각각 수생전을 빌렸으니, 생전에 미리 닦아서 명사 창고에 환납하면 신변의 열여덟 가지 횡재를 면하고 삼세의 부귀와 길상을 뜻한 바대로 얻을 것이다.
나이에 맞추어 수생전과 금강경을 준비하고 함합소에 주소, 성명, 수생전 금액, 금강경 권수, 명부의 시왕, 고사관등을 기록하여 예수재를 지내고 스님이 함합소를 읽은 후에 반을 잘라준다.
함합소(緘合疎)는 예수재를 지낸 후에 받는 영수증이고 보증인은 재를 지내는 절의 주지다.
육십갑자(六十甲子)에 따른 각각의 수생전 및 간경(看經)해야 할 경전(금강경) 권수를 기록하고 있어, 이를 도표화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자(子)生[쥐띠]
갑자생(甲子生) 5만3천관 17권 제 3창고 원씨 (元) 조관
병자생(丙子生) 7만3천관 24권 제 9창고 왕씨 (王) 조관
무자생(戊子生) 6만3천관 21권 제 6창고 윤씨 (尹) 조관
경자생(庚子生) 10만1천관 35권 제 9창고 이씨 (李) 조관
임자생(壬子生) 7만관 22권 제 3창고 맹씨 (孟) 조관
축(丑)生[소띠]
을축생(乙丑生) 28만관 94권 제15창고 전씨(田) 조관
정축생(丁丑生) 4만3천관 94권 제15창고 전씨(田) 조관
기축생(己丑生) 8만관 25권 제 3창고 최씨(崔) 조관
신축생(辛丑生) 10만1천관 36권 제18창고 길씨(吉) 조관
계축생(癸丑生) 2만7천관 10권 제 8창고 습씨(習) 조관
인(寅)生[범띠]
병인생(丙寅生) 8만관 26권 제10창고 마씨(馬) 조관
무인생(戌寅生) 6만관 20권 제11창고 곽씨(郭) 조관
경인생(庚寅生) 5만1천관 28권 제15창고 모씨(毛) 조관
임인생(壬寅生) 9만6천관 22권 제13창고 최씨(崔) 조관
갑인생(甲寅生) 3만3천관 11권 제13창고 두씨(杜) 조관
묘(卯)生[토끼띠]
정묘생(丁卯生) 2만3천관 9권 제11창고 허씨(許) 조관
기묘생(己卯生) 8만관 25권 제26창고 송씨(宋) 조관
신묘생(辛卯生) 8만관 26권 제 4창고 장씨(張) 조관
계묘생(癸卯生) 1만2천관 8권 제20창고 왕씨(王) 조관
을묘생(乙卯生) 8만관 26권 제18창고 유씨(柳) 조관
진(辰)生[용띠]
무진생(戊辰生) 5만2천관 18권 제14창고 풍씨(馮) 조관
경진생(庚辰生) 5만7천관 19권 제24창고 유씨(劉) 조관
임진생(壬辰生) 4만5천관 15권 제 1창고 조씨(趙) 조관
갑진생(甲辰生) 2만9천관 10권 제19창고 동씨(董) 조관
병진생(丙辰生) 3만2천관 11권 제35창고 가씨(賈) 조관
사(巳)生[뱀띠]
을사생(乙巳生) 9만관 30권 제21창고 양씨(楊) 조관
정사생(丁巳生) 7만관 23권 제16창고 정씨(程) 조관
기사생(己巳生) 7만2천관 24권 제31창고 조씨(曺) 조관
신사생(辛巳生) 5만7천관 19권 제37창고 고씨(高) 조관
계사생(癸巳生) 3만9천관 13권 제50창고 배씨(裵) 조관
오(午)生[말띠]
갑오생(甲午生) 4만관 13권 제21창고 오씨(午) 조관
병오생(丙午生) 3만3천관 12권 제60창고 소씨(蕭) 조관
무오생(戊午生) 9만관 30권 제39창고 사씨(史) 조관
임오생(壬午生) 7만관 33권 제44창고 공씨(孔) 조관
경오생(庚午生) 6만2천관 20권 제43창고 진씨(陳) 조관
미(未)生[양띠]
기미생(己未生) 4만3천관 15권 제 5창고 변씨(卞) 조관
정미생(丁未生) 9만1천관 29권 제52창고 주씨(朱) 조관
신미생(辛未生) 1만3천관 32권 제59창고 상씨(常) 조관
을미생(乙未生) 4만관 13권 제51창고 황씨(皇) 조관
계미생(癸未生) 5만2천관 17권 제49창고 주씨(朱) 조관
신(申)生[원숭이띠]
갑신생(甲申生) 7만관 23권 제56창고 여씨(呂) 조관
병신생(丙申生) 3만3천관 11권 제57창고 하씨(何) 조관
무신생(戊申生) 8만관 36권 제58창고 시씨(柴) 조관
경신생(庚申生) 6만1천관 21권 제42창고 호씨(胡) 조관
임신생(壬申生) 4만2천관 14권 제49창고 묘씨(苗) 조관
유(酉)生[닭띠]
을유생(乙酉生) 4만관 24권 제11창고 안씨(安) 조관
기유생(己酉生) 9만관 29권 제32창고 손씨(孫) 조관
신유생(辛酉生) 3만7천관 13권 제15창고 정씨(丁) 조관
계유생(癸酉生) 5만관 16권 제12창고 신씨(申) 조관
정유생(丁酉生) 17만관 48권 제29창고 민씨(閔) 조관
술(戌)生[개띠]
갑술생(甲戌生) 2만5천관 9권 제27창고 병씨(幷) 조관
무술생(戊戌生) 4만2천관 14권 제36창고 보씨(甫) 조관
경술생(庚戌生) 10만1천관 35권 제12창고 신씨(辛) 조관
임술생(壬戌生) 7만3천관 25권 제 4창고 팽씨(彭) 조관
병술생(丙戌生) 8만관 25권 제 3창고 좌씨(左) 조관
해(亥)生[돼지띠]
을해생(乙亥生) 4만8천관 16권 제42창고 성씨(成) 조관
기해생(己亥生) 7만2천관 25권 제50창고 정씨(丁) 조관
신해생(辛亥生) 10만1천관 45권 제40창고 석씨(石) 조관
계해생(癸亥生) 7만5천관 24권 제15창고 구씨(仇) 조관
정해생(丁亥生) 3만9천관 13권 제40창고 길씨(吉) 조관
이 도표에 따라 각각에 해당하는 수생전을 바쳐야 하며, 또한 경전을 읽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첫댓글 감사합니다 ~🙏🙏🙏
도표에 따라 수생전을 바쳐야하고, 경전을 읽어야한다 라는 뜻은 그만큼 업이 많다, 라는 뜻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