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월평마을과 매동마을
민박 할머니의 아침상
실상사
인월장
지리산둘레길 인월-금계 구간(3코스) 중군마을
산촌의 새벽은 민박 할머니가 달그락대며 밥 짓는 소리로 시작된다. 장작 쌓인 마당에 서면 능선 위로 여명이 깃들고, 군불 때는 연기와 안개가 뒤섞인 아득한 시간이 찾아든다.
남원 월평마을과 매동마을을 잇는 지리산둘레길은 가을 산골 풍경과 촌부의 삶을 만나는 곳이다. 숲길을 걷다가 감이 주렁주렁 달린 마을 담장을 지나고, 따끈한 민박에 머무는 일이 일상처럼 전개된다.
민박에 머무는 데 4만~6만 원 선(2인 기준), 산나물이 푸짐한 식사가 7000~8000원이다. ‘백만 불짜리’ 풍경과 할머니가 내주는 막걸리, 대추와 사탕 한 줌, 함박웃음이 곁들여진다. 소박한 산골 여행에 마음은 부자가 된다.
월평마을과 남천
월평마을과 매동마을을 잇는 길은 대부분 지리산둘레길 인월-금계 구간(3코스)에 속한다. 길은 남천(람천)
따라 흐르다 논둑과 마을을 만나고, 숲과 고개 넘어 다시 마을과 이어진다. 남원 인월에서 함양 금계까지
전라도와 경상도를 연결하는 이 구간은 지리산둘레길이 시범 개통한 사연 깊은 길이다.
인월면 소재지에서는 제법 큰 오일장이 섰고, 마을 주민은 신작로가 생기기 전만 해도 옛길(현 지리산둘레길)을 걸어 인월장에 오갔다.
골목마다 벽화가 볼 만한 월평마을
월평마을-매동마을 코스는 월평마을에서 출발한다. 서울에서 인월지리산공용터미널까지 시외버스가 다니고, 구인월교를 건너면 바로 월평마을이다. 월평마을 가는 길에 지리산둘레길 남원인월센터가 있고, 독립서점이자 북카페 ‘도보책방’이 문을 열었다.
남원 주천·운봉에서 둘레길 여행을 시작하거나 매동마을에서 반대 방향으로 걸음을 뗐다면 월평마을에 묵을 수 있다. 골목마다 벽화가 볼 만한 월평마을은 ‘달이 뜨면 보이는 언덕’이라는 뜻이고, ‘달오름마을’로도 불린다.
산골 마을에서 고추를 말리는 풍경
월평마을에서 매동마을까지 느리게 걸어 4시간 남짓 걸린다. 지리산을 병풍 삼은 산골 마을과 숲길, 냇물, 고개가 둘레길에 담긴다. 월평마을 앞 남천과 논둑 따라 시작된 길은 중군마을로 이어진다. 중군마을은 임진왜란 때 전군과 중군, 후군 가운데 중군 부대가 주둔한 곳이다. 담장 너머로 감이 익고, 마늘과 고추를 말리고, 깨를 터는 일상이 펼쳐진다.
지리산둘레길 선화사 숲길
중군마을을 지나 본격적으로 숲길이 시작된다. 갈림길에서 경사가 가파른 언덕을 택하면 좁고 고즈넉한 숲길이 그늘을 만든다. 길은 외딴 암자 선화사(옛 황매암)를 거쳐 수성대로 연결된다.
수성대 맑은 물은 중군마을과 장항마을 주민의 식수원으로 쓰인다. 수성대 초입에서 만나는 쉼터는 둘레길의 명물이다. 주인 할머니가 길손에게 부침개와 오미자차, 막걸리 등을 내놓는다.
지리산둘레길 인월-금계 구간 곳곳에 쉼터가 있었는데, 최근에는 3~4곳이 명맥을 유지한다. 찾는 사람이 많은 주말이나 공휴일 위주로 문을 열며, 길손에게 부침개와 오미자차, 막걸리 등을 내놓는다.
배너미재를 넘으면 지리산 자락의 탁 트인 정경과 함께 숨찬 숲길이 마무리된다. 숲길 끝자락에 장항마을
당산 소나무가 듬직하게 서 있다. 마을에서는 지리산을 배경으로 당산제를 지낸다. 수령이 수백 년에 이르는
당산나무 아래 장항마을은 옛 흙담 길이 고즈넉하다. 마을 너머로 바래봉 능선 자락이 내려앉는다.
인월-금계 구간 중간 지점에 있는 매동마을 전경
둘레길과 거리를 유지하며 나란히 흐르던 남천은 만수천을 만나 낙동강까지 흘러든다. 장항마을 장항교를 건너면 나오는 매동마을은 인월-금계 구간 중간 지점의 의미가 짙다.
함양 금계마을까지 오가는 여행자가 매동마을에서 하룻밤을 보낸다. 마을에는 할머니가 운영하는 민박이 10여 곳 있다. 둘레길 손님이 찾아들기 전, 매동마을 주요 수입원은 고사리를 재배하고 꿀을 따는 것이었다.
매동마을 민박 할머니가 차려준 아침상
민박 할머니가 차려준 아침상에는 뽕나무 새순, 머위, 장녹나물 등 산나물이 푸짐하다. 인근 산자락에서 봄에 딴 나물을 말렸다가 그때그때 들기름에 무쳐 낸다. 직접 재배해 만든 꽈리고추찜, 고들빼기김치도 향긋하다.
막걸리 한 병을 선뜻 건네는 민박도 있다. 함양 마천에서 50년 전에 시집온 이야기, 시어머니 대신 장터에
가서 들뜬 이야기…. 빛바랜 사진 속에 할머니의 세월이 묻어나고, 얽힌 사연과 미소가 마당을 따사롭게 맴돈다. 하룻밤 묵고 민박을 나설 때, 할머니가 대문 밖까지 배웅하며 사탕 한 줌 쥐여주신다. 알뜰한 걷기 여행을 하는데, 마음은 지리산처럼 든든하고 넉넉해진다.
조선 후기 선비 박치기가 세운 퇴수정
둘레길 이정표에서 슬쩍 벗어난 곳에 볼거리가 옹기종기 모여 있다. 매동마을 인근에 퇴수정(전북문화재자료)이 있다. 조선 후기 선비 박치기가 벼슬에서 물러난 뒤 세운 정자로, 누각 가운데 방 한 칸을 들인 구조가 독특하다. 정자 앞으로 바위와 냇물이 아늑하게 어우러진다.
천년 고찰 남원 실상사 경내
산내면 소재지를 지나 남천 따라 걸으면 남원 실상사(사적)가 평지에 모습을 드러낸다. 통일신라 때 창건한
천년 고찰로 초입의 석장승이 인상적이며, 증각대사탑(보물)과 수철화상탑(보물) 등이 있다. 실상사 경내와
주변 숲에 흩어진 승탑을 둘러보는 승탑순례길도 조성됐다.
상황마을 다랑논
등구재까지 계속되는 지리산둘레길 인월-금계 구간에서는 다시 풍광과 조우한다. 산내면 중황마을과 상황마을 해발 500m에 다랑논이 펼쳐진다. 수확을 마친 다랑논 너머 지리산 능선과 스쳐온 마을이 한눈에 잡힌다.
마지막 쉼터 지나 가파른 고갯길을 오르면 등구재(650m)다. 등구재는 전라도(남원)와 경상도(함양)의 분기점이 되는 고개다. 예전에 주민은 지리산을 곁에 두고 등구재를 넘나들며 경계와 허물없이 지냈다.
끝자리 3·8일에 서는 인월장
끝자리 3·8일이면 인월장에 간다. 산골 마을에서, 버스에서 만난 할머니와 장터에서 재회한다. 인월장은 남원 운봉뿐만 아니라 함양 마천·금계 주민도 찾는 곳이다. 인월은 예부터 역참과 역마가 있던 교통의 요지다.
장터에는 지리산에서 나온 산나물, 약초 등이 거래된다. 민박에서 귀하게 내는 생선 반찬도 인월장에서 구한
것이다. 장터에서 먹는 순대국밥과 꺼먹돼지구이가 별미다.
〈당일 여행 코스〉
월평마을→중군마을→매동마을
〈1박 2일 여행 코스〉
첫째 날 / 월평마을→중군마을→매동마을
둘째 날 / 퇴수정→실상사→상황마을→인월장
여행 정보
○ 관련 웹 사이트 주소
- 지리산둘레길 지리산둘레길
- 남원시 문화관광 남원시 문화관광
○ 문의 전화
- 지리산둘레길 남원인월센터 063)635-0850
- 남원종합관광안내센터 063)632-1330
○ 대중교통 정보
[버스] 서울-인월, 동서울종합터미널에서 하루 9회(07:00~23:59) 운행, 약 3시간 20분 소요.
인월지리산공용터미널에서 월평마을까지 도보 약 500m.
* 문의 : 동서울종합터미널 1688-5979 시외버스통합예매시스템 시외버스통합예매시스템 함양지리산고속 055)963-3745
○ 자가운전 정보
광주대구고속도로 지리산 IC→인월 방향→월평마을
○ 숙박 정보
- 지리산한옥마을 : 산내면 대정방청길, 063)636-1003
- 태양초민박 : 산내면 매동길, 010-3575-3097
- 감나무집공할머니민박 : 산내면 매동길, 010-8960-8685
- 엄나무집민박 : 산내면 매동길, 010-7340-3013
- 정종순민박 : 인월면 달오름길, 010-4164-9842
- 늘푸른집 : 인월면 달오름길, 010-3675-2231
- 감꽃홍시 : 산내면 대정방청길, 010-8250-6230
○ 식당 정보
- 시장식당 : 순대국밥, 인월면 인월로, 063)636-2353
- 두꺼비집 : 어탕, 인월면 인월장터로, 063)636-2979
- 산골농장식당 : 흑돼지구이, 인월면 인월로, 063)636-2701
- 등구재황토방쉼터 : 산채정식, 산내면 황치길, 063)636-3145
- 도보책방 : 수제치즈케이크, 인월면 인월장터로, 0507-1352-1426
○ 주변 볼거리
※ 위 정보는 2022년 10월에 작성된 정보로, 이후 변경될 수 있으니 여행 하시기 전에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글 : 서영진 (여행작가)
사진 : 서영진 (사진작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