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신천 주변의 발전상 (상동교~수성교)
내가 1989년 12월 15일에 신세계타운으로 입주하였다. 다행히 신천 쪽에 배정이 되어 신천이 앞뒤로 잘 내다보인다. 지난 30여년 동안 살면서 신천의 발전을 창 너머로 또는 산책을 하면서 보고 왔다. 처음 입주했을 때 우리 집에서 내다보면 대봉동의 청운멘션이 눈에 띄었고 이천동 쪽은 대구중하교가 보이고 그 밖은 낮은 주택들이 꽉 차 있었다. 신천이 개발되면서부터 신천을 끼고 우후죽순처럼 아파트가 들어서기 시작하여 이젠 양편에 아파트 숲을 이루고 있다. 그간의 변화를 모아둔 사진 자료를 중심으로 엮어 본다.
1.신천(新川)의 명칭 유래 및 해설
'신천'이란 '새로운 하천'이란 뜻이다. 대구 중심부(대구읍성)의 물난리가 심하였는데, 조선 정조 2년(1778년 대구판관 이서(李逝)의 사재로 제방을 새로 쌓아 물줄기를 돌렸다. 이러한 연유로 신천이 되었다. 이전의 물줄기는 용두산 아래 - 봉덕동 효성타운 - 수도산 동쪽(건들바위) - 반월당 - 동산동 구.구암서원 - 서문치안센타 - 달성공원 앞으로 해서 달서천으로 합류하였다.
신천(新川)은 대구광역시의 동부에 흐르는 하천이다. 달성군 가창면 비슬산 최정상에서 발원하여, 가창면 용계리에서 대천에 합류하여, 대구광역시를 남에서 북으로 가로질러 북구 침산동에서 금호강으로 흘러든다. 하천 양편 둔치에는 산책로 및 자전거 전용로가 조성되어 있고, 체육시설도 곳곳에 갖추어져 있다. 신천의 서쪽 둑에는 신천대로가, 동쪽 둑에는 신천동로가 있어, 대구광역시의 중요한 교통 시설이 되고 있다.
2.대봉교(大鳳橋) 주변의 변화
1)대봉교 건설
1차 1969년 5월 20일부터 1969년 8월 16일에 건설되었다가 2차로 1987년 3월 31일부터 1987년 12월 25일까지 폭을 넓히는 공사를 하여 오늘의 대봉교로 탄생 되었다.

1987년에 완공된 대봉교의 모습
2)청운아파트 준공
대봉교 건너 대봉동의 경북고등하교 자리에 청운아파트가 1986년 12월에 준공되어 669세대가 7개동 6~13층의 아파트에 살고 있다.

그 당시 대봉동에는 낮은 주택들이 차지하고 있어 청운아파트가 우뚝이 바라보였다.

오늘날의 대봉동의 모습
3)대백프라자 들어서다.
1993년 9월 15일에 개관한 대백프라자점은 개점과 함께 단일 전시공간으로는 대구 최대규모를 자랑하며 2004년 1월 새롭게 단장하여 재개관을 한 '대백프라자갤러리'는 지역 내 수준급 전문갤러리서, 기업이윤을 사회환원 취지로 백화점 고객 및 지역 주민들의 문화생활의 질을 높이고 예술과 근접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고품격 문화공간이다.


4)도시철도3호선의 ‘대봉교역(大鳳橋驛)’이 건설되다.
2015년 4월 23일 역사적인 3호선이 개통되었다. 대봉교역은 대백프라자와 연결되어있고 또한 신천의 접근성이 좋아 철 따라 개설되는 수영장, 스케이트장에 많은 시민들이 참여하는 역으로 활용되고 있다.


5)신천횡단사장교(新川橫斷斜張橋) 건설되다.
2015년 4월 23일 역사적인 대구도시철도3호선이 개통하였다. 신천횡단사장교 는 대봉교의 이중구조(二重構造) 복층(複層) 교각으로 되어 세계적으로 흔하지 않는 건축 사례인 것이다.
신천횡단사장교의 규모는 총연장 204m, 주탑 높이 70.58m의 미니급 사장교이다. 특허기술이 적용된 국내 최초 모노레일 사장교인데다 빼어난 디자인과 야간조명 등으로 입소문을 타면서 대구도시철도 3호선의 랜드마크 사장교로 떠올랐다. 교각건설은 대형 와이어를 교각과 다리에 연결하는 방식으로 현대 다리 건축의 상징적 기법으로 심미성이 느껴집니다.

신천횡단사장교 건설 전의 대봉교의 모습


사장교의 건설하는 모습


대구의 명물 ‘하늘 열차’는 오늘도 사장교 위를 힘차게 달리고 있다.
3.신천대로(新川大路) 건설
대구의 제11호선 고속도로로, 기점은 대구광역시 달서구 월성동에 있는 남대구 나들목이며 종점은 달성군 가창면의 용계교 북단이다. 총 노선 길이 19㎞로 1986년 12월 16일 도로명이 제정되었다. 대구 시내의 남과 북을 잇는 신천 서쪽 및 금호강 남쪽 강변을 따라 형성된 도로이다. 팔달교·서변대교·신천교·수성교 등 금호강과 신천 위에 건설된 많은 교량을 통해 북부지역 및 동부지역과 연결되며 2014년 남구 봉덕동에서부터 4.5km 구간에 해당하는 신천좌안도로가 개통하여 지금에 이르렀다.

1992년 4월의 신천대로 건설현장의 모습

1992년 9월에 신천대로의 공사가 완성단계에 올랐다.


오늘날의 신천대로는 욱어진 가로수와 신천변의 봄 개나리 ‘라인’은 유명하다
4.신천동로(新川東路) 건설
신천대로와 함께 신천 강변을 따라 나란히 건설되었으며, 종점에 다다라서는 금호강까지 이어지는 도로이다. 신천대로와는 신천을 사이에 두고 마주 보고 있으며 신천을 기준으로 신천대로는 서쪽, 신천동로는 이름이 보여 주듯 동쪽에 있다. 규모 면에서는 크고 아름다운 신천대로에 비해 작은 편이다. 1998년에 완공되었으며, 신천대로의 보조 역할을 한다.

1998년에 신천동로 공사가 진행 중이다.


월요일 아침이면 동로(東路)의 교통혼잡을 자주 볼 수 있다.
5.신천변의 봉덕동과 이천동의 발전
1)봉덕동 래미안웰리스트아파트
남구효성중앙길81에 위치하고 있으며 2010년 6월에 준공하였고 17~28층 471세대가 입주하고 있다.


2)이천동의 발전
1992년에 신천대로 공사가 한창인 이천동과 봉덕동의 사진으로 오른쪽의 이천동에는 대구중학교가 보이고 그밖의 건물은 낮게 보인다. 그러나 신천대로 개통과 신천의 개발로 환경이 좋아지니 이천동과 봉덕동의 신변 가까운 곳에는 아파트가 들어서기 시작하여 이젠 빈틈이 없다.

1992년대의 이천동과 봉덕동의 모습

아파트 숲을 이루고 있는 이천동과 봉덕동의 모습


이천동과 봉덕동의 야경과 신천의 밝은 조명
6.상동(上洞)의 발전
1)이서(李溆)공원
1776년(정조원년) 대구판관으로 부임해 대규모 치수사업을 펼친 이서(李溆, 1732~ 1794)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만든 공원이다. 2000년 12월, 약 8억 6000만 원의 사업비를 들여 조성되었다. 부지면적은 387㎡로, 공원이 조성되 기 전에는 판자촌이 있었다고 한다.
신천은 원래 지금과는 물길이 다른 하천이었고, 홍수 때마다 범람하여 큰 피해가 발생했는데 이서(李溆)는 1778년(정조 2년) 주민의 부담을 염려하여 사재(私財)를 털어 제방을 축조하였고, 그때부터 물길을 돌려 새로 만든 하천을 새내 또는 신천이라 불렀다. 그 때 주민들이 제방의 이름을 이공제라 칭하고 그 해 8월 이공제비(李公堤碑)를 세웠다.


2)대구한의대부속한방병원
1959년 제한한방병원으로 출발하여 이젠 60여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한방병원이 되었다. 대구 한방병원은 사랑과 정성, 따뜻한 마음과 정이 함께 한다. 이 병원은 병원 내에 한의학관, 경북테크노파크의 특화센터를 비롯한 연구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대구 경북 한방진료의 중심이며 오랜 경험을 바탕으로 더욱 효율적인 교육방법을 연구하여 훌륭한 인재를 양성하고 나아가 불치병, 난 치료의 새로운 희망인 한의학의 중심이 되도록 노력하고 있다.

3)상동(上洞)의 정화우방팔래스아파트
옛 정화여고 자리에 건설된 아파트로 대구시 수성구 수성로 135에 위치하고 있으며
488세대가 17~21층 건물에 입주하고있다. 2003년 1월에 준공되었다.

7.신천의 희망교 근처 변화
1)수성효성해링턴풀레이스아파트
중동(中洞)의 일반주택 단지를 재개발하여 2020년 2월에 준공하였고 745세대가 입주하였고 27~29층의 고층아파트이다.

1990년대의 중동(中洞) 쪽의 모습으로 사찰만이 외로이 서 있다.

사찰 옆으로 2020년에 수성효성해링턴풀레이스아파트가 들어섰다.
2)삼환아파트
1979년에 준공된 건물로 150세대가 입주하고 있으며 10~12층 아파트로 신천변에 자리 잡고
있는 아파트로 근처에 현대시장이 있다.

8.신천변의 수성동(壽城洞) 발전
1)신세계타운
옛 대륜고등학교 자리에 자리 잡은 신세계타운은 1989년 12월에 준공하였으며 930세대기 입주하였고 높이는 11~15층이다. 그 당시 대구의 명물 아파트로 각 기관장의 사택들이 많았다.

멀리 보이는 건물이 신세계타운이고 왼쪽의 건물은 옛 남산여고이다.




2)한가람타운
옛 대륜고등학교 자리에 건설된 한가람타운은 1995년 12월에 준공하였고 18층 272세대가 입주하고 있으며 주상복합 건물이다. 1층에는 상가가 입주하였고 2층에는 많은 병원들이 영업 중이다.

3)수성롯데케슬
수성1가동의 일반주택 자리를 재개발한 수성롯데케슬이 2015년 8월에 준공하였고 15개동 979세대가 7층에서 25층 건물에 입주하고 있다.


4)남산고등학교(南山高等學校)
신천변에 자리한 사립고등학교이다. 1944년 재단법인 대구남산여학교를 시작으로 하여 1970년 대구남산여자고등학교, 2003년 대구남산고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기독교 정신을 바탕으로 참되고 품위 있는 인재를 육성한다’라는 목표 아래 건립된 기독교 학교이다. 2019년 기준 전체 3학년 37학급으로 이루어진 남녀공학이다.



5)우방오성타운
옛 오성고등학교 자리에 건설한 우방오성타운은 1993년 11월에 준공하였고, 20~25층으로 496세대가 입주하고 있다.


6)태왕아너스클럽아파트
수성교 입구에 자리 잡은 아파트로 2005년에 준공되었고 98세대 24~26층으로 지어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