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유신 장군의 리더십
김성문
전쟁의 역사는 인간의 역사와 같다는 생각이 든다. 전쟁의 요인은 영토 확장, 자원 획득, 이념 차이 등이 있을 수 있다. 어떠한 요인이 평화적으로 합의에 도달하지 못할 때 전쟁이 일어난다. 인간의 욕심은 무한정인 것 같다. 신라와 백제는 영토 확장 싸움이 계속되었다. 서기 648년 이후 김유신 장군의 리더십을 보자.
김유신 장군이 55세(649년)가 되었다. 음력 8월에 백제 은상(殷相) 장군이 신라의 석토성(石吐城) 등 7개 성을 공격했다. 김유신 장군은 죽지(竹旨), 진춘(陳春), 천존(天存) 장군 등과 함께 방어했지만 물리치지 못했다. 충청남도 천안 지역에 있는 도살성(道薩城) 아래 김유신 장군 군사들은 진을 쳤다. 김유신 장군은,
“오늘 틀림없이 백제 사람이 와서 정탐할 것이니, 너희들은 짐짓 모르는체하고 함부로 누구냐고 묻지 말라!”
하고는 사람을 시켜 진영 사이를 돌며 말하게 하기를,
“견고히 지키면서 움직이지 마라! 내일 원군이 오기를 기다려서 결전하리라!”
라고 했다. 백제 첩자는 이를 듣고 은상 장군에게 보고하니, 은상 장군은 원군이 있는 줄 알고 두려워했다. 이때 김유신 장군 등은 진격해 적들을 모두 무찔렀다. 김유신 장군이 서라벌로 돌아오는 길에 백제의 좌평 정복(正福)과 병졸 1천 명이 항복해 오니 모두 풀어 주고 각자 마음대로 가도록 했다. 이후 5년 동안은 백제나 고구려와의 전쟁은 없었다.
김유신 장군이 60세(654년)이다. 신라 군대의 통수부라는 중심적 위치에 있었다. 음력 3월 신라 진덕여왕이 붕어했다. 후사가 없으니, 김유신은 화백회의 의장인 알천(閼川)과 의논하여 태종무열왕의 즉위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김유신 장군이 61세(655년)가 되었는데 음력 정월에 고구려, 백제, 말갈이 군사를 연합해 신라의 북쪽 33개 성을 빼앗았다. 태종무열왕은 당에 사신을 보내 도움을 요청하니, 음력 3월에 소정방을 보내 고구려 군사들을 물리쳤다.
음력 9월에 김유신 장군은 영동에 있는 백제 도비천성(刀比川城)을 공격해 승리했다. 김유신 장군은 대각간(大角干)이 되었다. 신라의 16관등 중 각간은 최고 관등인데 김유신 장군에게 관등을 더 높여줄 단계가 없어서 각간 글자 앞에 ‘대’를 붙였다.
백제는 임금과 신하들이 사치와 안일에 빠져 나라의 일을 보살피지 않았다. 백성들은 노하고 재앙과 괴변이 여러 차례 나타났다. 이틈을 탄 김유신 장군은 백제 정벌 계획을 서두르게 되었다. 음력 10월에 김유신 장군은 태종무열왕의 셋째 딸 지소(智炤)와 혼인했다. 또 5년이 흘렀다.
김유신 장군은 66세(660년) 음력 1월에 신라의 최고 벼슬인 상대등(上大等)이 되어 삼국통일 전쟁 과정에서 신라를 이끄는 중추적 구실을 하게 된다. 음력 3월에 중국 당나라 고종은 소정방을 신구도행군대총관(神丘道行軍大摠管)으로 삼고, 당나라에서 숙위하고 있는 태종무열왕의 둘째 아들 김인문을 부 대총관으로 삼아서 수군과 육군 13만 군사를 거느리고 백제를 치게 했다. 태종무열왕은 우이도행군총관(嵎夷道行軍總管)으로 삼아서 장수와 군사를 거느리고 응원하게 했다. 신구도와 우이도의 위치가 어디인지 정확하지 않아 고증이 더 필요하다.
소정방 군사는 지금의 중국 산둥성 항구도시인 내주(萊州)에서 출발해 왔다. 소정방이 이끄는 병선의 길이가 천리라니 짐작이 잘 안 간다. 음력 5월 26일에 태종무열왕은 유신, 진주, 천존 장군 등을 거느리고 음력 6월 18일 경기도 광주인 남천정에 도착했다. 음력 6월 21일에 태자 김법민(후에 문무왕)을 덕물도에 보내 소정방을 맞이하게 했다.
소정방은 김법민에게 음력 7월 10일 백제 사비성 남쪽에 도착해 백제의 성을 무찌르자고 약속했다. 김법민은 태종무열왕에게 보고하니, 무열왕은 김유신을 대장군, 김품일, 김흠순을 장군으로 임명하여 병력 5만으로 출발하게 했다. 무열왕은 경북 상주시 모동에 있는 금돌성(今突城)에 머물렀다.
음력 7월 9일 김유신 장군 등이 현재 논산 지역에 있는 황산벌로 진군해 갔다. 백제 계백 장군의 5천 결사대가 먼저 도착해 세 곳에 진을 치고 기다리고 있었다. 김유신 장군도 군사를 세 갈래로 나누어 네 번을 싸웠으나 불리하고 군사들은 힘이 다했다. 김흠순 장군은 아들 반굴을 불러서,
“신하 된 이에게는 충성보다 귀중한 것이 없고, 자식의 도리로는 효도만 한 것이 없다. 이 위기를 당해 목숨을 바친다면 충성과 효도가 함께 온전히 갖추어지리라.”
“삼가 분부 말씀 받들겠습니다.”
하고는 곧장 적진으로 들어가 싸우다가 장렬하게 사망했다. 김품일 장군도 16세인 아들 관창을 불러 놓고 여러 장수에게,
“뜻과 기백이 제법 용맹하니 오늘 싸움에서 3군의 모범이 될 수 있으리라.”
고 말했다. 이 말을 듣고 관창도 즉시 적진으로 들어가 싸웠으나 사로잡혀 계백 장군에게 끌려갔다. 계백 장군은 어려서 살려 보냈다. 관창은 다시 적진을 행해 돌진해 갔으나 계백이 관창을 붙잡아 참하여 말 안장에 매달아 보냈다. 3군에서는 이 모습을 보고 격정이 솟구쳐 죽음을 각오하고 진격했다. 계백은 이 전투에서 사망했고 백제 군사가 패했다.
김유신 장군 군사는 황산벌 전투가 너무나 치열한 나머지 음력 7월 10일 소정방 군사와 만나기로 한 백제 사비성 남쪽에 늦게 도착했다. 소정방은 김유신 장군이 늦게 왔다 하여 신라 독군(督軍) 김문영(金文穎)을 군문(軍門)에서 목을 베려 하자, 김유신 장군은 소정방 장군이 황산벌의 전투를 보지 않은 터에 무고하게 치욕을 당할 수 없다 하고, 먼저 당나라 군사와 결전을 벌인 뒤에 백제를 쳐부수리라 했다. 도끼를 들고 군문 앞에 서니, 소정방이 김문영의 죄를 풀어 주었다. 신라와 당나라 군사는 사비성을 함락시켰고 백제 의자왕은 당나라로 끌려갔다.
리더는 공동체의 운명을 책임진 사람이다. 지도자는 리더십(leadership)이 있어야 한다. 리더십은 능력이나 통솔력으로 본다. 어떤 주어진 상황에서 목표 달성을 위해 개인이나 집단에 영향을 미쳐야 한다. 김유신 장군의 리더십을 본받고 싶다.
첫댓글 저는 김유신장군의 이야기를 이렇게 자세하게 쓴 글을 본적이 없는 것 같습니다. 많은 자료를 참고하셨을 열정에 항상 감탄합니다.
조 선생님!
이 더운데 읽으시고 좋은 말씀 감사드립니다.
오늘도 행운이 듬뿍 하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