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01년 제주 교안이 6월 1일 프랑스 군함의 도착으로 소요가 가라앉았고 뒤이어 정부에서 파견한 강화 진위대에 의해 사태가 수습되었다. 조선 내 제주에서의 교안 급보를 받고 프랑스 라 슐쁠리즈와 알로에또 호 함장 몽뜨와 벨리가 달려왔을 때는 사상자들의 유해가 제주 성내와 사라봉 중간 지점 대로변 구릉인 별도교에 널려져 있었다고 한다.
제주 교안 사건은 재판 과정에서 오대현, 강우백, 이재수의 사형으로 끝이 났지만, 교회에 대한 배상금 문제, 희생자 매장지 문제 등으로 오래 지연되었다.
당시 교안의 과정에서 피살된 사람들은 대부분 천주교 신자들이었다. 교회 측에서는 대체로 500∼700명 정도가 피살된 것으로 보고 있다. 반면 당시 제주에 파견된 평리원 안종덕 검사가 공식적으로 집계한 희생자 명단에 따르면, 신자 309명, 평민 8명이었다. 이 숫자는 샌즈(Sands)가 상경하여 고종에게 보고하였던 쌍방 간 300명이란 숫자와도 비슷하다. 따라서 제주 교안으로 희생된 신자 수는 300~350명 정도로 볼 수 있을 것이다.
관덕정 광장에 널려 있던 시신들은 별도봉과 화북천 사이에 옮겨져 버려지듯 가매장 된 상태로 있었다. 그중 연고가 있는 분묘는 이장해 갔고 무연고 시신들만 이곳에 있었다. 몽뜨와 벨리 함장은 신임 이재호 제주 목사와 피해자들에 대한 사후 처리를 논의한바 시신들을 매장할 영지와 안전한 무덤을 만들 수 있도록 동의를 얻고, 장례식도 종교 의식으로 치를 것을 다짐 받았다.
그러나 사상자들의 유해는 사건 진압 후 1년이 지나도록 방치되자 프랑스 공사 쁠랑시가 조선 조정에 편지를 보내 이 문제에 대해 조속히 해결해 줄것을 요청했고 1903년 1월 제주 목사로 부임한 홍종우와 라크루(구마슬) 신부와의 접촉을 시발점으로 프랑스 공사와 조선 조정과의 교섭이 원만히 진행되어 같은 해 4월에 황사평을 그 매장지로 양도받았다.
사건 진압 4년 만에 교우들과 양민들의 유골은 비로소 황사평에 안장되었다. 4년 만에 교우들과 양민들의 유골은 황사평에 안장되었지만 이곳 별도교와 별도봉 기슭 일대에는 희생된 그분들의 진토가 아직 머무르는 곳이다.
■ 찾아가는 길

■ 순례지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