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령시문(長寧詩文, 저자 김규정) 위문관련 시문(7)
謝魏永興惠葡萄(사위영흥혜포도)
위 영흥부사가 포도를 보내와 예의를 표하다.
오탄(梧灘) 심유(沈攸 광해군 1620 ~ 숙종14년 1688)
不博凉州宦(불박양주환)
장양은 양주자사 바꾸지 않으니
閑看種樹方(한간종수방)
한가하게 나무 심는 방법 구경한다.
翠雲圍寶帳(취운위보장)
푸른 구름 비단장막 두르니
瓊露敵仙漿(경로적선장)
좋은 술 경로는 이태백 음료수다.
忽贈山盤貯(홀릉산반저)
돌연 산골에 챙겨 보내주시니
先令野客嘗(선령야객상)
먼저 시골 손님 맛보게 한다.
驪珠何以報(여주하이보)
보배구슬 무엇으로 갚을까
一嚼潤詩膓(일작윤시장)
한번 깨물자 시상 윤택해 진다.
注)
위영흥(魏永興) - 장흥 위씨 판서공파로 영흥부사를 지낸 위정철(魏廷喆)이다.
不博凉州宦(불박양주환) - 후한(後漢) 영제(靈帝) 때에 환자(宦者) 장양(張讓)이 중상시(中常侍)로 자리를 옮기고 열후에 봉해졌다.부풍(扶風) 사람 맹타(孟佗)가 장양의 감노와 하인들을 극진히 대접하며 선물을 많이 주었다.감노가 그의 소원을 물으니 맹타가 말하기를 "나의 소망은 너희들이 나에게 절 한 번 해 주는 것이다.(吾望汝曹爲我一拜耳)"라고 하였다.장양에게 청탁하려는 빈객들이 잔뜩 모였을 때 맹타가 뒤늦게 도착하자 감노가 하인들을 이끌고 맹타에게 절을 하며 모시고 들어오니 빈객들이 장양보다 더 위세가 있다고 생각하고는 맹타에게 다투어 뇌물을 바쳤다. 이에 맹타가 그 뇌물을 장양에게 나누어 주니 장양이 크게 기뻐하며 맹타를 양주 자사로 삼았다.
驪珠(여주) - 검은 용(驪龍)의 턱 밑에 있는 구슬이라는 뜻으로 전하여 긴요한 문장에 비유한다.
* 심유(沈攸 광해군 1620 ~ 숙종14년 1688) 향년 69
字는 중미(仲美), 號는 오탄(梧灘).靑松人.沈東龜의 아들이다.
31세 때(효종1년 1650) 경인 증광시 병과 14위(24/33)로 급제했다.
현종15년(1674) 효종의 비인 인선왕후(仁宣王后)가 죽자 자의대비(慈懿大妃,仁祖의 繼妃인 莊烈王后)의 복상문제가 다시 제기되어 대공설(大功說)을 주장하던 서인(西人)을 지지하다 경기도(京畿道) 광주(廣州)로 귀양 갔다.숙종6년(1680) 경신대출척으로 서인이 다시 집권한 뒤인 1682년에 다시 등용되었다.
숙종10년(1684)에 대사간이 되었고 그 뒤 대사성, 홍문관 부제학을 비롯하여 참의 벼슬을 두루 역임했다.
간관들이 소론인 윤증(尹拯)을 구원하려 하자 이에 반대했고 김수항(金壽恒),이단하(李端夏) 등 노론을 변호하는 입장을 취했다.
* 위정철(魏廷喆 선조16년 1583 ~ 효종8년 1657) 향년 75
자(字)는 자길(子吉), 호(號)는 만회(晩悔), 증 판서(贈判書) 위덕화(魏德和)의 아들이다.
전라남도 장흥군 관산읍 방촌리에서 태어나 21세 때(선조36년 1603) 무과에 급제하여 첨사 부사 현감 방어사 등을 두루 역임했다.
인조14년(丙子 1636) 영흥부사 겸 방어사(永興護府兼防禦使)에 제수되었다. 죽암(竹菴) 위계문(魏啓文)이 9대조(九代祖) 가선대부 병조참판(嘉善大夫兵曹參判) 위정철(魏廷喆)의 유문을 수습하여 만회당 실기(晩悔堂實記)를 병자년(1936년)에 출간했다.
'보배구슬 무엇으로 갚을까'에서 구슬은 포도를 연상케 합니다. 저의 고향 김천은 포도의 주산지랍니다. 늦가을이면 포도향기가 온 들판을 가득채우고 집집마다 술익는 기운이 충만하답니다. 포도는 신이 주신 최고의 선물이지요.
얼마 전 한국문집총간에서 본 시를 접했었습니다. 그런데 당시에 魏永興이 누구인지 몰랐습니다. 이번에 제대로 알았습니다.
죽암공(諱 啓文 31세, 1865~1951)께서 1936년에 간행한 "만회당실기"는 당대 재정 여건상 많은 량을 간행치 못하고 방촌 종파별로 일부 배부되었으며, 유일하게 오헌가에 현존 것을 2013년 전남대학교 신해진 교수의 고증으로 "심양왕환일기" 저자가 추신사 박난영아닌 병조참판공 위정철임을 확인되었습니다.
병조참판공(휘 정철 22세)의 심양왕환일기는 인조(仁祖)의 명(命)을 받아 1631년 3월 19일부터 4월30일까지 41일간 淸나라 심양(審陽) 회답별사(回答別使) 사행(使行)중에 淸과 朝鮮간의 예우•조공에 관해, 1630년 가을에 파견한 추신사(秋信使, 박난영) 군관 일행 석방 문제 등 양국간 마찰을 빚고 있는 중요 외교 현안 임무 등을 수행하면서 장계 형태의 기록물 입니다.~~
신해진 교수의 번역 심양왕환일기 입니다.~~
휼륭하신 문중 조상님의 옛발자취와 역사공부를 하고 갑니다.
여기서 포도는 권력의 매개를 의미하는 것 같습니다.
시 구절 凉州宦(양주관)의 뜻입니다. 주석을 참조하면 환관이었던 장양이 열후에 봉해졌는데, 즉 권력을 잡았습니다. 그러자 맹타가 장양에게 "뇌물"을 제공하여서 양주자사 벼슬자리를 얻습니다.
여기서 뇌물이 "포도"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