핫(hot)과 쿨(cool)의 개념
라디오와 같은 ‘핫미디어(hot media)‘와 전화와 같은 ’쿨미디어(cool media)', 혹은 영화와 같은 ‘핫미디어’와 텔레비전과 같은 ‘쿨미디어’로 구분되는 데는 기본 원리가 있다.
‘핫미디어’란 단일 감각을 높은 ‘정세도’로까지 확장하는 것이다. 높은 정세도라는 것은 자료가 충족되어 있는 상태를 말한다. 이를테면 사진은 시각적으로 ‘높은 정세도’를 갖는다. 만화는 극히 적은 시각적 정보가 제시되는 데 지나지 않으므로 ‘낮은 정세도’를 갖는다. 전화는 귀에 주어지는 정보량이 적으므로 ‘쿨미디어’, 혹은 ‘낮은 정세도’의 미디어라고 할 수 있다. 이야기는 듣는 사람에게 주어지는 것이 적고 듣는 쪽에서 상당 부분을 메워가야 하므로 낮은 정세도를 갖는 ‘쿨미디어’다.
그러나 ‘핫미디어’는 듣는 쪽이 참가하는 정도가 낮고 ‘쿨미디어’는 참가 혹은 스스로 보완하는 정도가 높다. 그러므로 당연한 일이거니와, 라디오와 같은 ‘핫미디어’는 이용하는 사람에게 전화와 같은 ‘쿨미디어’와는 다른 효과를 주게 된다. 핫(hot)과 쿨(cool)이라는, 미디어 특유의 말로써 표현한다면 후진국은 쿨이고 선진국은 핫이다. 한편 도시인은 핫이고 시골사람은 쿨이다. 그러나 전기 시대가 되어 행동의 양식과 여러 가지 가치가 역전되었다는 관점에서 말한다면, 과거의 기계 시대는 핫이고 우리의 텔레비전 시대는 쿨이다.
쿨한 미디어는 보는 사람의 참여도가 크다면, 핫한 미디어는 그 반대라는 것은 분명하다. ‘핫미디어’로서의 활자 인쇄는 손으로 쓴 사본보다도 독자의 참여도가 낮고 ‘쿨미디어’인 만화책이나 텔레비전은 이용하는 사람 자신이 스스로 참여해서 메시지를 완성시키기 위해 훨씬 깊이 참여하게 된다. 어느 감각 혹은 어느 기능이 기술 작용으로 확장되고 절단되느냐에 따라 인간의 감각의 균형이 어느 정도 회복될 것이냐도 예측이 가능하다.
-마셜 맥루한, 「미디어의 이해」
<논제>
1. 제시문 을 요약하고, 핫(hot)과 쿨(cool)의 개념을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핫은 주어지는 정보가 이미 많아서 참여도가 낮은 것이고,
쿨은 적어지는 정부가 적어서 참여도가 높은 것이다.
따라서
사진처럼 주어진 정보에 보는이가 아무것도 할 수 없는 것은 핫한 것이고,
TV처럼 사람들이 나와서 여러 가지 방식의 방송을 하는 것은 쿨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