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RS16, IFRS17, 노량:죽음의바다, 도봉박홍기, 바젤3, 금투새, 금융투자소득세, 개정세법, 법인세, 배당, 롯데손해보험, 삼정KPMG, CJ, CJ CGV
ELS나 ETF 같은 파생상품은 채권형 랩-신탁(채권아님) 상품이라고 합니다.
금융감독원이 이러한 파생상품을 영업하는 9개 증권사를 23년 5월부터 전수조사한 결과
증권가 업무중 제3자 이익을 도모하거나, 사후이익을 제공하거나, 기업어음을 끌여오고
자전거래같은 운용규칙을 위반한 다수의 사례를 발견하였습니다.
여태까지 확인된 것만
증권자산관리자가 고객계좌를 불법 자전거래에 악용해 고객에게만 약 5천억원의 손해를 전가하였고
자신의 영업실적을 달성하려고 파생상품을 고가매수를 해서 다른 펀드사에 700억~ 1100억원의 이익을
사후제공한것으로 드러났습니다. ( CP를 매수한 고객계좌는 처음부터 평가손실 )
그리고 손실을 만회하기위해 계약조건을 어기고 펀드사와 협작하여 회사채권(종목 비공개) ,기업어음(CP)을 끌여와
무단으로 파생상품의 신용등급과 만기일을 수정하고 다른 고객들의 신탁계좌를 이용해 CP(기업어음)을
고가매도시키고 매수시켜 수익을 짜맞추는 자전거래 위법행위를 적발하였습니다.
2030대 애들 성격상 아무거나 집어서 돌려막기 했기 때문에 어떤 채권이 듀레이션위험도가 높고 이런 안정성평가가
되고 있지 않습니다 그래서 지금 어떤 회사채가 지뢰인지 현재로써 아무도 모르는 상황입니다.
(확인된것만 다수의 후순위채 )
어쩌면 지뢰가 언론에서 유행시키는 한전채나, 보험회사채권이 될수도 있는 겁니다.
첫댓글 처벌을 강화해야 되는데, 원칙도 없고
감사합니다
대단하십니다
존경스러워요 이런 사실을 알아내시다니
감사합니다 ~
처벌을 제대로 안하는건 같은 편인가???
감사합니다. 🙇♂️
좋은정보감사합니다 콩나물님!
모든것이 이게아닌데 세상이 왜이리돌아가는지. . .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나라가 사기꾼이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시사 방송을 통해 들어 봤는데,
그동안 관행 처럼 해오던 방법 이랍니다.
그럼 왜? 지금 이게 금융감독원에서 터트렸느냐?
금감원(=>원장) 실적(업적) 쌓으려는 의도가 있다고 합니다.
잘못된 관행/
큰 금액을 여러상품에 분산할 경우 만기일에 한꺼번에 동시 정산이 어려운데
이렇게 시간차가 나는 경우 자금을 운영하는 투자회사간에 핑퐁 처럼 이 차이를
보완해 주는 거래가 관행처럼 이어져 오고 있었다.
그래서, 업계에서는 새삼스럽게 왜? 이러냐... 라고..
경제를 공부하고 관심을 가지다 보니 이런 내용도 알게 되네요...
화낼 일이 점점 많아진다...
미국과 같이 엄격한 자본시장법을 적용해야 합니다.
공감합니다.
미국은 감사의견이 100% 일치하는데 한국만 내부 외감사에서 경영진과의 감사의견이 80% 다르다고 하네요 .. 삼정법인에서도 전혀 내부통제가 안된다고 이야기를 하네요..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