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과 물질(名色)을 조건으로
여섯 감각접촉 장소(phasssaḷāyatana, 육입)의 일어남과 사라짐을 꿰뚫어 아는 청정함이 곧 연기관(緣起觀)입니다. 우리가
눈으로 형상을 본다는 것은
눈眼과 형상色의 내외입처 결박을 감각접촉 장소(āyatana)에 안다는 것이다.
이처럼
사람들에게는 안이비설신과 마노 등 2가지 종류의 문(五門 전향과 意門 전향)으로써 인식과정이 전개된다.
이때
범부는 안.이.비.설.신.의(마노) 욕계와,
사선정 수행자는 안.이 및 의(마노) 등의 색계와,
까시나 수행자는 공무변천이나 식무변천 처럼 마노 뿐인 무색계 등의 감각접촉 장소(āyatana)가 있다.
붓다의 호흡 명상으로 삼매를 개발하라. 마치 오온의 일어남과 사라짐에 능숙하듯이 개발하라.
그러면 초선정에서의 정신들(일으킨 생각, 결심, 지속적 고찰, 정진, 희열, 행복, 아는 찟따, 느낌, 인식, 의도, 감각접촉, 작의, 문지기 사띠, 평온 등 사리뿟따 존자 M111 <차례대로경>에서)을 능숙하게 식별할수가 있다.
이제 그는
눈으로 형상을 볼때의 내외입처 결박처럼
사선정 수행자는 색계 즉, 눈(귀)을 단지 작용만하는 眼門인식과정으로 정신들에 식별할 수가 있고,
또한
감성물질 눈 투명요소를 삼법인(무상.고.무아)과 혐오스럼에 여리작의를 하는 위빠사나 앎의 意門인식과정으로써 법들이 이루어진다.
선정 본삼매를 출정한 후에 이러한 인식과정을 통해서 정신들의 식별과 파생된 감성물질의 여리작의가 정신.물질(名色)이름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정신과 물질(名色)을 조건으로 해서 (안이비설신의)여섯가지
감각접촉 장소(phasssaḷāyatana, 육입)를 일어남과 사라짐에 아는 청정한 연기관(緣起觀)이 곧 괴로움의 일어남(samuppada, 起)에서 벗어나는 길(멸성제)에 대한 올바른 견해의 앎이 됩니다.
우다나 <바히야경>과 같이 정독하세요.
선재선재선재
사두사두사두(/\)
ㅡㅡ관련 경전ㅡㅡ
여섯 감각장소에서 "단속과 버림과 수행과 보호, 이것이 네 가지 노력이라고 태양의 후예는 말하노라. 그가 이를 통해서 노력을 할때 그는 괴로움의 소멸을 얻으리라." 감각장소 단속 경(A4:14) Saṁvara-sutta 1. “비구들이여, 4가지 노력이 있다. 그것은 단속하는 노력, 버리는 노력, 닦는 노력, 보호하는 노력이다.
2.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떤 것이 단속하는 노력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육내외입처 saḷāyatana의 감각장소)에서
눈으로 형상을 볼때 표상 전체[全體相]를 취하지 않으며, 또 그 세세한 부분상[細相]도 취하지 않는다. 만약 그의 ●눈의 감각기능[眼根]이 제어되어 있지 않으면, 욕심과 싫어하는 마음이라는 나쁘고 해로운 법[不善法]들이 그에게 물밀듯이 흘러들어 올 것이다. 따라서 그는 눈의 감각기능을 잘 단속하기 위해 수행하며, 눈의 감각기능을 잘 방호하고 눈의 감각기능을 잘 단속하기에 이른다.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귀로 소리를 들음에... 코로 냄새를 맡음에... 혀로 맛을 봄에... 몸으로 감촉을 느낌에... 마노[意]로 법(정신들, 감성물질)을 지각함에 그 표상을 취하지 않으며, 그 세세한 부분상을 취하지도 않는다. 만약 그의 ●마노의 기능[意根]이 제어되어 있지 않으면, 탐욕스러움과 정신적 고통이라는 나쁘고 해로운 법[不善法]들이 그에게 물밀듯이 흘러들어 올 것이다. 따라서 그는 마노의 기능을 잘 단속하기 위해 수행하며, 마노의 기능을 잘 방호하고 ●마노의 기능을 잘 단속하기에 이른다.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단속하는 노력이라 한다.”
이하 생략.
ㅡㅡㅡ
인식과 마노意를 지닌 육척 단신의 세계에서 괴로움을 알고 괴로움을 벗어나는 길道입니다. (SN2:26/AN4:45,46) 도반이여, 나는 인식하고 마노로 작의하는 육척 단신의 몸 안에서,
세계와 세계의 일어남과 세계의 소멸과 세계의 소멸로 인도하는 도닦음을 천명하노라.
ㅡㅡㅡ
(SN35:116)" 벗이여, 그것을 통해 세계에 대해 세계를 인식하고 세계를 마노에 작의할 때에 그것을 고귀한 님의 정의에 따라 세계라고 부릅니다.
도반들이여, 이 세계에서 세계를 인식하는 자와 세계를 마노에 작의하는 자는
그것을 두고 성자의 율에서는 세계이라 말합니다.(
Yena kho, āvuso,
lokasmiṃ lokasaññī hoti lokamānī –
ayaṃ vuccati ariyassa vinaye loko.)
첫댓글 1장.중도를 깨달았으니, 대서사시 전개3장->1,2장
1. 괴로움을 일으키는 법(오취온)을 어디서 구하는가? 사문유관
야사 괴로움을 부르짓다.
삼매에서 오온(삼매경 꿉다경)관찰
2. 연기관이 중도, 팔정도
3. 원인을 가진 법, 삼매
2장 내가 가르키는 것은 괴로움과 그 괴로움의 그침
1 볼때는 봄의 단지 작용만 하는 정신들(M9 오온의 느낌, 인식,의도, 촉,작의를 정신名)로써 식별하고 무상에 봄하는 안목眼과
2 알때는 눈의 감성물질色, 느낌인식의도名 M9)을 삼특상과 혐오에 안 것ñāta(철저히 안것, 조사, 버림과 6감각장소ayatana M149)의 앎知
3 명색의 집멸로써 12연기를 최상의 지혜慧(고집),
4 이것이 고<고집,고멸,고멸에 이르는 도>이다의 바른 견해의 앎에 사성제를 바른 깨달음明
5 팔정도(도성제)로써 괴로움의 그침光 붓다의 옛길
SN 35:60 Pariññāsutta, “⓵오온을 철저히 안 것 통달지[ñāta-pariññā] ⓶오온을 무상하고 괴로움에 병이라고 조사[tīraṇa]하는 통달지 ③무너짐등 으뜸의 도(agga-magga)에 의해 욕탐을 제거하는 버림[pahāna]의 통달지”(SA.i.44-45)
대념처경 4고와 오음성고.일어나는 법은 반드시그친다.S12:15야타부타 정견의 이게 ●원인을 가진 법.
그리고 호흡관1~4번에서 초선5요소는 오개를 떨친 오근에(낮과 밤), 숨쉬는 몸에 살짝 치면서 닿는
감각장소ayatana에서
근경식의 감각접촉을 하는데, 이때의 정신들을 식별할수가 있다. 즉,
내외입처와 알음알이.식 감각장소에서 먼저 색깔이 눈에 부딪칠 때의
안문전향(아는 찟따
느낌 인식 의도 감각접촉 심일경 생명기능 작의 尋 伺 결심 11개)하고
눈의 안식(尋伺결심x한8개)을 유익하거나 불유익한 과보에 받아들임(11개)
(색깔에서)즐거운 느낌을 조사(희열,12개), 색깔을 원하든 원치않는 것에 결정(정진,12개)등과 같은 단지 작용만하는 정신들로써 식별,
바왕가 마노투명 요소에서
12개의 의문전향과
34개(몸과 마음의 가벼움...등 )의 속행 7번과 등록2번 으로 선업 .
M115 <여러가지 요소경>에서는 사여의족 '조사'를 요소와 감각장소(처)와 연기에 말한다.
"아난다여, 비구가 요소[界]에 능숙하고
감각장소[處]에 능숙하고 연기(緣起)에 능숙하고
가능한 것과 불가능한 것에 능숙할 때
그 비구는 현자이고 검증하는 자라고 불릴 수 있다."*
* 비슷한 문장이 『상윳따니까야』「일곱 가지 경우 경」(S22:57) §11에 이렇게 나타난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떻게 비구는 세 가지를 면밀히 조사하는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요소[界]에 따라서 면밀히 조사하고,
감각장소[處]에 따라서 면밀히 조사하고, 연기(緣起)에 따라서 면밀히 조사한다.”
부처님과 같은 출가 사문에게는 사리뿟다 앗사지 게송에서 원인을 가진 법(일어나는 법은 반드시 그침)으로써 괴로움이나 번뇌의 그침을 해결하는 것, 이것이 수행 목적의 대전제이다.
AN 7:46 Saññāsutta
비구들이여, 일곱 가지 인식想(saññā)을 닦고 많이 [공부] 지으면 큰 결실과 큰 이익이 있고,
불사(不死)에 들어가고 불사를 완성한다.
무엇이 일곱 가지 인가?
1. 부정(不淨)의 인식想
2. 죽음에 대한 인식想
3. 음식에 대해 혐오하는 인식想
4. 온 세상에는 진정한 즐거움이 없다는 인식想
5. 끊임없이 변한다는 무상에서 오는 인식想
6. 변하는 것은 괴로움이라는 想
7. 괴로운 것은 '나이다라고 할가치 없다[無我]'는 인식想
인식想을 버리라가 아니라. 4가지의 부정관과 삼특상에 대한 인식想으로 키워야 한다.
조건의 화합이 모여 서로 의지하고 그치는 원인을 가진 법이 A6:61 6가지 종류의 법이고, 그치는 중간 경문이다.
정정 팔정도에 정신들 식별과 감성의 투명물질 이..
M20념처경, 육내외입처 결박을 따라가며 의
"사띠 파타냐" 문지기와 상호의존관계로써 신수심법 사념처에서 파타냐(A는 B 에게 파타냐C로써 연기)를 밝혀가면서 7년 7월7일...
오취온으로 인간은 의식세계를 가진다. 눈의 감성물질이 형상의 물질을 볼 때 전향을 알음알이하는 감각장소로써 내외입처와 인식과정에서의 정신들 식별과 파생된 감성물질의 구분[정신과 물질名色] 등 두겹의 알음알이를 가진 이 몸이 심장토대 물질로부터 있다는 유신견에서 가지게 되는 느낌의 무더기로써 정신적 만족과 불만족과 평온이라는 감정을, 인식의 무더기를 개념에 취하고는 불변의 실체가 있다는 사견을, 느낌이나 인식을 거듭 무더기로써 형성하고는 불선의 업을 초래히는데 이를 불선의 업 등으로써 견고함으로 분별 식(업식)을 행한다.
팔정도 정견에서 부미자경 다음에 가전연경 정견을 인용하고 이는 야타부타 그침의 있는그대로
고통스런 느낌을 연민하며 받아들이는 출리의 정사유,
바른 견해하는 가운데 법을 설하다로써 12연기를 고.집하는 가운데 사성제를 바른 견해에 설명
● D15대인연경을 인용하는 이유를 언급한다. D15대인연경에서는 물질적 몸에 연유한 정신적 몸을 명칭이나 혹은 개념에 시설하는데 이때의 정신들과 물질적 몸을 각각 정신.물질에 명칭한다. 혹은 삭제?
맨뒤장 37조도품. 그 앞장에 아나빠나 수행도. 사진출처는 석굴암과 통도사, QR코드
서경 맨 마지막에 뒤000페이지 자애경 칠각지를, 명상 마치고 회향게를 독송하길 당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