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 A. 리차즈(I. A. Richards) 연보
I. A. 리차즈(I. A. Richards, Ivor Armstrong Richards, 1893년 2월 26일 생~1979년 9월 7일 몰; 향년 87세)
세계의 대표적인 비평가
영문학 비평의 선구자
20세기 영국인 문학 비평가
20세기 영미권 비평가
신비평(New Criticism)의 선구자
신비평의 아버지
윌리엄 엠슨(William Empson)의 스승
여러 신비평가들의 스승
신비평의 제1 고전서와 제2 고전서의 저자
—신비평의 제1 고전서 『문학 비평의 원리』(Principles of Literary Criticism, 1924년) 저술
—신비평의 제2 고전서 『실제 비평』(Practical Criticism) 저술
—신비평의 제3 고전서는 윌리엄 엠슨의 『7가지 유형의 모호성』(Seven Types of Ambiguity, 1930년)이다.
영어 교육의 아버지
세계 영어 교육의 선구자
하버드대학교 명예 문학 박사 학위
케임브리지대 모들린칼리지 명예 교수
명예 훈작사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 동문
영국 케임브리지대 문학 박사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미국 하버드대학교 교수 역임
영원한 세계의 지성인
영국 케임브리지대 클립턴칼리지(Clifton College) 수학•케임브리지대 모들린칼리지 졸업•클레어칼리지(Clare College) 강사•케임브리지대 모들린칼리지 강사 및 교수•중국 청화대 방문 교수•미국 하버드대학교 방문 교수•영국 케임브리지대 문학 박사 학위•중국 북경 소재 중국표기법연구소(the Orthological Institute of China) 소장•미국 하버드대 영문과 교수•미국 하버드대학교 명예 문학 박사•미국 하버드대 영문과 명예 교수•영국 케임브리지대 모들린칼리지 명예 교수•영국 케임브리지대 명예 법학 박사
영국 케임브리지대 문학 박사•미국 하버드대 명예 문학 박사•영국 케임브리지대 명예 법학 박사
영국 케임브리지대 교수•중국 청화대학교 교수•미국 하버드대학교 교수 역임
처 도로시 필리 리차즈(Dorothy Pilley Richards, 결혼 기간 1926년~1979년)
대표작
『문학 비평의 원리』(Principles of Literary Criticism, 1924년)
1893년 1세 2월 26일 영국 북서부 체셔주(Cheshire) 샌드배치(Sandbach) 출생
1903년경 11세 10대 시절 결핵을 앓고 언어학에 관심. 공개 시험에서 케임브리지대(Cambridge Univ.) 모들린칼리지(Magdalen College, 맥덜런칼리지)에서 역사학을 수학할 자격 획득
1912년경 20세 케임브리지대 클립턴칼리지(Clifton College)와 모들린칼리지에서 역사학 및 철학 수학
—동료 학부생 C. K. 오그던(C. K. Ogden)을 처음 소개받고, 역사학에서 철학으로 전환
—G. E. 무어(G. E. Moore)의 정신론 철학 강의 수강
—문학이 독립 분과가 아니라 철학, 심리학, 수사학 등과 동류의 분과라고 주장
1915년 23세 케임브리지대 모들린칼리지 학사 졸업
—졸업 시험 1등 우등상 수상
—20대에 세 번째 결핵 병력
—도덕학 클럽 회원
1917년 25세 심리학자가 될 목적으로 의학을 수학하기 위해 케임브리지대 귀환
1918년 26세 10월 10일 의학 공부를 시작한 후, 바로 포기, 11월 11일 C. K. 오그던을 다시 만나 『의미의 의미』(The Meaning of Meaning) 공저 저술 착수(논문들을 계간지에 게재)
1919년 27세 여름 맨스필드 포브스(Mansfield Forbes) 클레어칼리지(Clare College) 교수가 클레어칼리지 문학 강의에 초빙. 10월 “비평 이론”(Theory of Criticism)으로 케임브리지대 첫 강의. 첫 문학 논문 「예술과 과학」(Art and Science) 발표
1920년 28세 여름 오그던과 공저 첫 논문 「상징주의」(Symbolism)를 『케임브리지지』(The Cambridge Magazine)에 발표. 가을 오그던 및 제임스 우드(James Wood)와 3인 공저로 「미의 감각」(The Sense of Beauty) 저술(『미학의 기초』(The Foundations of Aesthetics)에 출판)
1921년 29세 『의미의 의미』 완성. 11월 『비평의 원리』(Principles of Criticism)라는 제목의 저서를 케간 폴(Kegan Paul)과 출판 계약
1922년~1929년 30세~37세 영문학 및 도덕학 교수
—대표작 3권 저술: 『의미의 의미』(The Meaning of Meaning, 1923년), 『문학 비평의 원리』(Principles of Literary Criticism, 1924년), 『실제 비평』(Practical Criticism, 1929년)
1922년 30세 『의미의 의미』 수정 작업. 케임브리지대 모들린칼리지에서 영문학(English Literature)과 도덕학(moral sciences) 강사 임용. 『미학의 토대』(Foundations of Aesthetics) 저술(C. K. 오그든(C. K. Ogden), 제임스 우드(James Wood)와 공저)
1923년 31세 3월 C. K. 오그던과 공저로 『의미의 의미』(The Meaning of Meaning: A Study of the Influence of Language upon Thought and of the Science of Symbolism) 저술
1924년 32세 7월 『문학 비평의 원리』(Principles of Literary Criticism) 저술
1925년 33세 10월 20일~11월 실제 비평(Practical Criticism) 강의의 첫 강의
1926년 34세 2월 13일 모들린칼리지 밀링턴 연구 기금에 선정. 케임브리지대 영문학과 설립. 모들린칼리지 종신직 조교수 임용. 12월 31일 도로시 필리 리차즈(Dorothy Pilley Richards)와 결혼. 『과학과 시』(Science and Poetry) 저술. T. S. 엘리엇(T. S. Eliot)과 시의 비평과 감상에서 “믿음”의 문제들에 대해서 서신 토론
—웨일스(Wales)에서 휴일 등산 중에 아내를 처음 만났고, 록키산을 도로시 필리와 등반했으며, 12월 31일 하와이 호놀룰루에서 필리와 결혼
1927년 35세 중국 북경 청화대를 처음 방문. 일본 나라시 방문. 10월~11월 제2차 실제 비평 강의. 12월 실제 비평 저술 착수
1929년 37세 여름 『실제 비평』(Practical Criticism) 저술. 7월~8월 중국 청화대 1년 방문 교수직을 위해 케임브리지를 떠나서, 중간 기착지 모스크바를 방문하고 아이젠슈타인(Eisenstein)과 만난 후, 시베리아 열차를 타고 블라디보스톡으로 갔다가, 일본 교토에서 잠시 체류한 후, 배를 타고 한국으로 와서, 한국에서 기차를 타고 9월 초순 중국 북경에 도착. 10월 청화대 강의에서 기초 영어 이론을 처음 실험적으로 적용
1929년~1930년 37세~38세 2년간 중국 북경 청화대학교 방문 교수로 기초 영어와 영시 강의
1930년대 38세 이후 영어 단어 850 단어를 기본으로 한 기초 영어(Basic English)의 개발에 전념한 시기
1930년경 38세 스위스 알프스산(the Alps) 등반
1930년 38세 『기초 영어』(Basic English: A General Introduction with Rules and Grammar) 저술. 연경대학교 학자들과 만나 맹자에 대해 토론. 알프스산 등반. 맹자의 정신론에 대한 저술 착수
—리차즈와 오그던이 공동으로 기초 영어에 대해서 연구했으며, 일상생활에 필요한 영어 필수 단어 850개를 선정했다. 1천 단어 이하의 단어만으로 이들 단어들간의 조합으로 모든것을 말할 수 있다고 주장했으며, 기초 영어 이론을 외국어로서의 영어 교육에 활용할 수 있다고 믿었고, 실제로 중국에서 영어 교육에 활용했다.
1931년 39세 1월 북경을 떠나서, 2월 미국에 당도해 하버드대학교 방문 교수직 임용. 맹자의 정신론 저술. 하버드에서 제임스 에이지(James Agee)를 만나 깊은 감명을 받음. 5월 15일 멘도타호수(Lake Mendota)에서 카누를 타다가 전복되었다가 친구 스털링 A. 레너드(Sterling A. Leonard)는 익사하고 리차즈는 탈진 상태로 구조됨. 7월 일본 교토에서 아내와 재회하고 회복. 8월 캐나다를 경유해 영국 귀국. 12월 맹자의 정신론 저술 완성
1932년 40세 1월 29일 케임브리지대 문학 박사 학위. 5월~6월 『맹자의 정신론』(Mencius on the Mind: Experiments in Multiple Definition) 출간
1933년 41세 『이성의 기본 규칙』(Basic Rules of Reason) 저술. 제임스 우드(James Wood)가 리차즈의 초상화를 그림.
1934년 42세 『코울리지의 상상력』(Coleridge on Imagination) 저술
1935년 43세 『교육의 기초』(Basic in Teaching) 저술
1936년 44세 4월~12월 중국으로 귀환해 북경 표기법연구소에서 기초 영어 보급 작업. 『수사학의 철학』(The Philosophy of Rhetoric) 저술
—“단어들이 담론에서 작동하는 방식에 대한 철학적 심문”이 수사학의 연구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
1936년~1938년 44세~46세 3년간 중국 북경 소재 중국표기법연구소(the Orthological Institute of China) 소장
1937년 45세 5월 중국으로 귀환해 1938년 5월까지 체류
1938년 46세 『기초 영어 인도 가이드』(The Times of India Guide to Basic English). 『교육의 해석』(Interpretation in Teaching) 저술
1939년 47세 전시하 국민 협력(the war effort)으로 영국에 남고자 했으나, T. S. 엘리엇의 설득으로 미국으로 도미해서 9월 뉴욕으로 떠남. 미국 하버드대(Harvard Univ.) 교육대학에서 영어학 강의(하버드대 영문과 교수)
—기초 영어 이론을 기반으로 강의 교재 개발과 교사 교육
—록펠러재단(the Rockefeller Foundation)에서 연구 기금 수여
—크리스틴 M. 깁슨(Cristine M. Gibson)과 기초 영어 교육 교재 개발
1942년 50세 『효과적인 독서』(How to Read a Page: a Course in Effective Reading, with an Introduction to a Hundred Great Words) 저술. 『플라톤 공화국』(The Republic of Plato: A Version in Simplified English) 저술
1943년 51세 『기초 영어와 그 용도』(Basic English and Its Use) 저술
1944년 52세 하버드대 교수 임용. 미국에 정착해 19년간 하버드대 교수 봉직. 전후에 매년 영국 케임브리지 방문
1947년 55세 『국가와 평화』(Nations and Peace) 저술. 3월 19일 바사칼리지(Vassar College)의 폴저 기금 강연(Folger Fund lecture)에서 「우리의 공통적 사상의 원천」(The Sources of Our Common Thought)에 대해서 강의. 6월 5일 T. S. 엘리엇, J. R. 오펜하이머(J. R. Oppenheimer), 조지 C. 마샬(George C. Marshall)과 같이 하버드대에서 명예 박사 학위
1950년 58세 아킬레스의 분노(The Wrath of Achilles: The Iliad of Homer, Shortened and in a New Translation) 저술. 『바이킹 포터블 코울리지』(The Viking Portable Coleridge) 저술. 리차즈와 윌리엄 엠슨(William Empson)이 북경의 결혼식 참석
1951년 59세 사이버네틱스(cybernetics)에 관한 제8회 메이시 컨퍼런스(the Eighth Macy Conferences)에서 피드백(feedback)의 반의어 개념으로 “피드포워드”(feedforward) 제시
1953년 61세 시 창작
—말년까지 여러 권의 시집 창작
1955년 63세 『탐구의 도구』(Speculative Instruments) 저술
1956년 64세 『우주의 유출』(A Leak in the Universe) 저술
1958년 66세 『지구 안녕 그리고 기타 시』(Goodbye Earth and Other Poems) 저술
1960년 68세 『세계 영어론』(So Much Nearer: Essays toward a World English) 저술 착수. 『스크린과 기타 시』(The Screens and Other Poems) 저술
1962년 70세 『내일 아침의 파우스트』(Tomorrow Morning Faustus) 저술
1963년 71세 하버드대 교수 퇴임. 하버드대 영문과 명예 교수. 미국에서 체류하며 언어연구소 운영
1964년 72세 『왜 소크라테스인가? 플라톤의 대화록의 극적 버전』(Why So, Socrates? A Dramatic Version of Plato’s Dialogues: Euthyphro, Apology, Crito, Phaedo) 저술. 명예 훈작사(Companion of Honour) 작위. 케임브리지대 모들린칼리지 명예 교수(Honorary Fellow of Magdalene)
1968년 76세 『세계 영어론』(So Much Nearer: Essays toward a World English) 저술. 『탈출 계획』(Design for Escape: World Education through Modern Media) 저술
1969년 77세 3월 11일 『하버드 크림슨지』(The Harvard Crimson)와의 인터뷰
—B. Ambler Boucher and John Paul Russo, “An Interview With I. A. Richards,” The Harvard Crimson, 1969-03-11.
1970년 78세 미국예술과학아카데미 에머슨 소로 메달(Emersion Thoreau Med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수상. 영국 케임브리지대 명예 법학 박사
1971년 79세 『내적 대담』(Internal Colloquies) 저술
1973년 81세 영국 케임브리지로 귀국. 『리차즈 논집』(I. A. Richards: Essays in his Honor) 저술. 리차즈 논집 기념 파티에서 로버트 펜 워렌(Robert Penn Warren)과 대화
1974년 82세 영국으로 귀국해 케임브리지대 모들린칼리지 소재 웬트워스하우스(Wentworth House)에서 거주하며 교수직 수행. 1979년 사망까지 5년간 케임브리지대 교수 봉직. 『너머』(Beyond) 저술. 『시』(Poetries: Their Media and Ends) 저술. 케임브리지대 트리니티칼리지(Trinity College)의 클라크강의(Clark Lectures)에서 「비평의 미래」(Some Futures for Criticism) 강의
1976년 84세 『상보성』(Complementarities: Uncollected Essays) 저술
1978년 86세 『신시선집』(New and Selected Poems) 저술
1979년 87세 9월 7일 지병 치료차 중국을 방문해서 중국 강연 여행을 했으나, 영국으로 귀국 후 한 달 만에 영국 케임브리지셔주(Cambridgeshire) 케임브리지(Cambridge) 소재 애든브룩병원(Addenbrooke Hospital)에서 숙환으로 별세. 향년 87세
1981년 1940년 이후의 I. A. 리차즈의 서신과 희곡이 하버드대학교 문서 저장고(Harvard University Archives)에 보관(I. A. Richards, I. A. Richards correspondence and typescript, 1940-1981, Harvard University Archives)
—1940년 이후의 하버드대 교수 시절 서신들과 1950년 작 희곡 『우주의 유출』(A Leak in the Universe) 보관
1986년 처 도로시 필리 리차즈(Dorothy Pilley Richards) 사망
수상 실적
벤자민 프랭클린 메달(Benjamin Franklin Medal) 수상
러셀 로인스상 시 부문 수상(Russell Loines Award for Poetry)
에머슨-소로 메달(Emerson-Thoreau Medal) 수상
주요 저서
『과학과 시』(Science and Poetry, 1926년)
—1970년 수정판 『시와 과학』(Poetries and Sciences) 간행
『맹자의 도덕론』(Mencius on the Mind, 1932년)
『코울리지의 상상력』(Coleridge on Imagination, 1934년)
『수사학의 철학』(The Philosophy of Rhetoric, 1936년)
『탐색의 도구』(Speculative Instruments, 1955년)
『너머』(Beyond, 1974년)
『시』(Poetries, 1974년)
『상보성』(Complementarities, 1976년)
『내적 담화』(Internal Colloquies, 1971년, 시집)
『신시선집』(New and Selected Poems, 1978년, 시집)
시집
—후반기 20여 년 동안 시집 3권 창작
—1978년 시선집 출간
『안녕 지구 그리고 기타 시』(Goodbye Earth and Other Poems, 1958년)
『스크린과 기타 시』(The Screens and Other Poems, 1960년)
『내적 담화』(Internal Colloquies: Poems and Plays of I. A. Richards, 1971년)
『신시선집』(New and Selected Poems, 1978년)
* 영원한 비평가 I. A. 리차즈(I. A. Richards): 『뉴욕타임스』(The New York Times)는 그가 별세한 후 그 다음 날 바로 비평가 I. A. 리차즈(I. A. Richards)에 대해서 자세히 보도했다.
아이버 암스트롱 리차즈(Ivor Armstrong Richards)는 1920년대 케임브리지대학교에서 비평가로 일찍이 명성을 쌓아 신비평(New Criticism)의 선구자가 되었고, 1930년대에는 850단어에 기반한 기초 영어 교육론으로 중국 청화대를 중심으로 외국인을 위한 세계 영어 교육의 선구자가 되었다. 또한, 리차즈는 런던의 “전시 하 국민 협력”(the war effort)으로 영국에 남기를 포기하고 도미해서 1944년부터 1963년까지 미국 하버드대학교 영문과에서 문학 비평을 강의했으며, 영국과 미국 양 지역에서 선구적인 비평가로서 자리를 잡았다.
비평가 리차즈는 1920년대에 케임브리지대에서 신비평의 선구적인 제1 저서 『문학 비평의 원리』(Principles of Literary Criticism)와 제2 저서 『실제 비평』(Practical Criticism)을 저술함으로써, 명실공히 신비평의 아버지이자 선구자가 되었다. 리차즈는 영국 북부 체셔주 비누 제조 마을 샌드배치에서 태어났다. 클립턴칼리지를 다닌 후, 케임브리지대 모들린칼리지로 진학했으며, 1915년 졸업했고, 케임브리지대에서 영문학 및 도덕학 강사로 임용되었다. 1936년~1938년 사이에 중국 표현학연구소에서 기초 영어의 개발과 보급을 연구했고, 미국 하버드대학교에서 영문학을 강의하면서도 남미를 비롯한 전 세계의 언어로서 영어의 보급을 위해 노력했다. 리차즈는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와 미국 하버드대학교에서 교수로서 명성을 높였으며, 수강생들이 강의실이 모자라 거리로 넘쳤다고 한다.
또한, 리차즈는 등산을 즐겼으며, 아내를 만난 곳도 산에 등반 중이었다고 한다. 1926년 결혼 후에도 리차즈는 알프스산을 여러 차례 등반했다. 60대 이후에는 리차즈는 희극과 시를 쓰기 시작했고, 후반기 20여 년 동안 시집을 3권 완성했으며, 시선집을 출간하기도 했다(Eric Pace, “I. A. Richards, Author, Teacher And Literary Critic, Is Dead at 86,” The New York Times, 1979-09-08).
결론적으로, 비평가 리차즈 교수는 누구인가? 리차즈 교수는 역사학에서 도덕 철학으로, 그리고 다시 언어학으로 종횡무진 연구 영역을 넓힌 비평가이자 교육자였다. 영국에서 중국과 일본까지 그리고 미국에서 전 세계로 영어 세계를 넓힌 영원한 역사가, 도덕론자, 그리고 비평가이자 교육자였다.
* I. A. 리차즈를 논한 비평가들: 존 콘스터블(John Constable) 저 『I. A. 리차즈와 그의 비평가들』(I. A. Richards and His Critics) 제10권을 보면, 1919년~1938년 사이의 리차즈의 저작들에 대한 비평가들의 비평들이 모아졌다. 에드워드 사피르(Edward Sapir), F. P. 램지(F. P. Ramsey), J. R. 칸토(J. R. Kantor), 존 듀이(John Dewey), 콘래드 에이컨(Conrad Aiken), 허버트 리드(Herbert Read), 엣젤 리크워드(Edgell Rickword), S. P. 워터로우(S. P. Waterlow), J. 미들턴 머리(J. Middleton Murry), 더글라스 가먼(Douglas Garman), 버트란드 러셀(Bertrand Russell), T. S. 엘리어트(T. S. Eliot), E. 헬렌 나이트(E. Helen Knight), 존 고울드 플렛처(John Gould Fletcher), 앨런 테이트(Allen Tate), 제프리 웨스트(Geoffrey West), 제임스 번햄(James Burnham), 존 스패로(John Sparrow), R. P. 블랙머(R. P. Blackmur), 몽고메리 벨전(Montgomery Belgion), 막스 이스트맨(Max Eastman), 윌리엄 엠슨(William Empson), G. 로우스 디킨슨(G. Lowes Dickinson), D. W. 하딩(D. W. Harding), 아서 웨일리(Arthur Waley), M. C. 다시(M. C. D’Arcy), 케네스 버크(Kenneth Burke), 찰스 모런(Charles Mauron), A. K. 쿠마라스워미(A. K. Coomaraswamy), 보나미 도브리(Bonamy Dobree), 윈드햄 루위스(Wyndham Lewis), R. D. 제임슨(R. D. Jameson), 엘런 테이트(Allen Tate), 스티븐 포터(Stephen Potter), S. L. 베델(S. L. Bethell), F. R. 리비스(F. R. Leavis), M. H. 에이브럼스(M. H. Abrams), 엘리서 비바스(Eliseo Vivas), 앨릭 웨스트(Alick West), D. G. 제임스(D. G. James), 존 크로우 랜섬(John Crowe Ransom), 오스틴 워런(Austin Warren), R. S. 크레인(R. S. Crane) 등이 서론 및 총 56장의 책에 수록되었다(www.routledge.com 참조).
* 리차즈의 저서 목록:
『실제 비평』(Practical Criticism)
『문학 비평의 원리』(Principles of Literary Criticism)
『의미의 의미』(The Meaning of Meaning)
『수사학의 철학』(The Philosophy of Rhetoric)
『과학과 시』(Science and Poetry)
『시와 과학』(Poetries and Sciences)
『어떻게 읽을 것인가』(How to Read a Page)
『코울리지의 상상력』(Coleridge on Imagination)
『그림을 통한 히브리어』(hebrew through pictures)
『그림을 통한 프랑스어』(French Through Pictures)
『그림을 통한 러시아어』(Russian through Pictures)
『내일 아침의 파우스트』(Tomorrow Morning Faustus)
『영어 재출발』(English Restart Advanced 1)
『리차즈의 수사학』(Richards on Rhetoric)
『너머』(Beyond)
『그림을 통한 스페인어』(Spanish through Pictures)
『한국인을 위한 영어 재출발』(English Restart Basic for Korean Speakers)
『그림을 통한 영어』(English through Pictures)
『신시선집』(New and Selected Poems)
『맹자의 정신론』(Mencius on the Mind)
『호머의 일리아드』(The Iliad of Homer)
『교육의 해석』(Interpretation in Teaching)
『시』(Poetries: Their Media and Ends)
『미학의 토대』(The Foundations of Aesthetics)
『기초 영어와 그 용도』(Basic English and its uses)
『왜 소크라테스인가』(Why So Socrates)
『의미의 의미』(The Meaning of Meaning)
『수사학의 철학』(The Philosophy of Rhetoric)
『선집』(Collected Shorter Writings 1919-1938) (<http://www.thriftbooks.com> 참조)
* 리차즈가 선정한 기초 영어의 가장 중요한 단어 103개: I. A. 리차즈가 『어떻게 읽을 것인가』(How to Read a Page)에서 선정한 103개 영어 기초 단어는 영어의 필수 사용 어휘로서 일반적으로 영어를 사용하는 데 필요한 기초 단어이며, 또한 영어의 필수 설명 어휘로서 일반적으로 영어 어휘를 설명하는 데 필요한 기초 단어이다. 리차즈가 선정한 103개의 영어 기초 단어는 다음과 같다.
Amount
Argument
Art
Be
Beautiful
Belief
Cause
Certain
Chance
Change
Clear
Common
Comparison
Condition
Connection
Copy
Decision
Degree
Desire
Development
Different
Do
Education
End
Event
Example
Existence
Experience
Fact
Fear
Feeling
Fiction
Force
Form
Free
General
Get
Give
Good
Goverment
Happy
Have
History
Idea
Important
Interest
Knowledge
Law
Let
Level
Living
Love
Make
Material
Measure
Mind
Motion
Name
Nation
Natural
Necessary
Normal
Number
Observation
Opposite
Order
Organization
Part
Place
Pleasure
Possible
Power
Probable
Property
Purpose
Quality
Question
Reason
Relation
Representative
Respect
Responsible
Right
Same
Say
Science
See
Seem
Sense
Sign
Simple
Society
Sort
Special
Substance
Thing
Thought
True
Use
Way
Wise
Word
Work (I. A. Richards, How to Read a Page, 1942년)
* 리차즈 교수와 한국과의 인연: 1929년 37세 시절 리차즈 케임브리지대 교수는 7월 여름에 중국 청화대 1년 방문 교수직을 위해 중국으로 향했다. 영국 케임브리지를 떠나서 중간 기착지 모스크바를 방문하고 아이젠슈타인(Eisenstein)과 만난 후, 시베리아 열차를 타고 블라디보스톡으로 갔다. 리차즈 교수는 일본 교토에서 잠시 체류한 후, 배를 타고 한국으로 왔으며, 한국에서 기차를 타고 9월 초순 중국 북경에 도착했다. 그는 10월 북경의 청화대 강의에서 기초 영어 이론을 처음 실험적으로 적용했다.
한편, 리차즈 케임브리지대•하버드대 교수는 『영어 리스타트』(English Restart) 시리즈 가운데 한국인을 위한 영어 리스타트 영어 교육 교재를 출간했었다고 알려져 있다.
*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의 I. A. 리차즈 연구 성과: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의 I. A. 리차즈에 대한 연구 성과는 다음과 같다. 김태성 저 「I. A. Richards의 비평 소고」, 『영어영문학연구』 제5권, 연세대 영어영문학과, 1978년 외 국내 학술 논문 8백여 편; David West 저 “I. A. Richards and the Rise of Cognitive Stylistics,” Poetics Today Vol. 35, No. 1-2, Duke UP, 2014년. 173~190 외 해외 학술 논문 5천여 편; 이선철 저 「I. A. Richards의 문학비평관 연구」, 동아대대학원, 1983년, 국내 석사 학위 논문 외 학위 논문 1천 9백여 편; John Constable 저 I. A. Richards and his Critics, Routledge, 2001년 외 단행본 5천여 권; 엠마 카파레노스 저 A companion to narrative theory, Blackwell Pub, 2005년, 한국연구재단(NRF) 외 연구 보고서 50여 편; 남정섭, 『영국문학사』, 영남대학교, 2023년 9월 13일 공개 강의 1편 등이 있다. <끝> <2024년 6월 7일 나종혁 글>
* 참고 자료: “I. A. Richards,” wikipedia; Christopher Fordham, “I. A. Richards,” <http://web.archive.org/>, 1996-03-12; John Constable, “I. A. Richards: An Illustrated Chronology,” , 2002-05-03; “I. A. Richards: British Critic and Poet,” Britannica; “I. A. Richards: 1893-1979,” Poetry Foundation; “I. A. Richards as a Critic,” English Literature Zone; Eric Pace, “I. A. Richards, Author, Teacher And Literary Critic, Is Dead at 86,” The New York Times, 1979-09-08; B. Ambler Boucher and John Paul Russo, “An Interview With I. A. Richards,” The Harvard Crimson, 1969-03-11; The 100 Most Important Words, <http://www. waggish.org>; 기타 자료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