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소 직원 중 사직 614명, 휴직자는 2624명
코로나 전후 1인당 초과근무 234→371.6시간
"지자체장 지휘, 행정 인력 보건소 배치해야"
코로나 신규 확진자수가 다시 7000명 대를 넘어선 22일 오전 경기 고양시 일산동구보건소 선별진료소에서 코로나19 검사를 받으려는 시민들이 길게 줄 지어 서 있다.(사진제공=뉴시스)
코로나19 사태 이후 보건소 인력 2624명이 현장을 이탈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준호 한국농촌의학지역보건학회장은 22일 오후 서울 서초구 JW 메리어트 호텔에서 열린 제1차 미래 건강 전략 포럼에서 이같이 밝혔다.
보건복지부와 한국건강증진개발원이 주제한 이번 포럼은 '코로나19, 보건소 대전환을 모색하다'를 주제로 열렸다.
주제발표자인 신 학회장 발표 자료에 따르면 코로나19 사태 이후 시군구 보건소 직원 중 614명이 사직을 했고 2010명은 휴직했다. 2624명이 이탈한 것이다.
시군구 보건소 팀원의 1인당 초과근무 시간은 2019년 234.0시간이었는데 2020년엔 371.6시간으로 증가했다.
김상준 서울시 도봉구 보건소장은 보건소의 기능과 조직을 개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보건소장은 "보건소는 원래 비상 대응하는 조직체가 아닌데 코로나19 대응은 24시간 비상 대응 체계"라며 "경찰, 소방, 응급실 운영 병원 등은 8시간 3개조로 운영되는데, 산술적으로 인력과 예산을 최소한 3배 이상 투입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이어 김 보건소장은 방역과 환자 이송, 진단 검사, 예방접종, 재택환자관리 등의 업무를 위탁의료기관 등 민간과 분담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김 보건소장은 "대민 업무 행사나 기타 행정 업무는 축소·중지한 상태여서 구청의 행정 조직 인력에는 여유가 있다"라며 "행정 인력의 1~2%는 보건소 인력으로 배치를 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또 김 보건소장은 "감염병 위기 상황 대응이 보건소 업무로 인식되고 있는데, 지자체 단체장이나 부단체장이 책임자로서 지휘해야 한다"라며 "보건소의 감염병 대응 부서의 조직과 예산을 확대하고 정규직 공무원 인력을 늘려야 한다"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