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11월23일(토요일) 북한산 [지장암능선 합궁바위&영봉&하루재&인수암&잠수함바위 능선&숨은벽 정상&사기막봉] 산행일정
산 : 북한산 [지장암능선 합궁바위&영봉&하루재&인수암&잠수함바위 능선&숨은벽 정상&사기막봉]
산행코스: [북한산우이역 2번 출구~영신여객차고지(우이동종점)~지장암능선의 합궁바위~영봉~하루재~북한산 인수대피소~인수암 위쪽 물탱크 옆 잠수함바위 능선 진입지점~잠수함바위 능선~숨은벽 정상~사기막봉의 마당바위~효자2통]
산행일 : 2024년 11월 23일(토요일)
날씨 : 청명한 날씨 [덕양구 효자동 최저기온 2도C, 최고기온 13도C]
산행코스 및 산행 구간별 산행 소요시간 (총 산행시간 6시간40분 소요)
08:00~09:10 구산역에서 6호선을 타고 보문역으로 가서 우이신설선 북한산우이방면으로 환승하여 북한산우이역으로 간 후 북한산우이역 2번 출구로 나옴 [1시간10분 소요]
09:10~09:15 북한산우이역 2번 출구에서 산행출발하여 영신여객차고지(우이동종점)/우이동차고지종점까지 도보로 이동
09:15~10:45 서울 강북구 우이동에 있는 영신여객차고지(우이동종점)에서 지장암능선의 합궁바위로 이동
[지장암능선은 북한산 영봉에서 지장암으로 이어지는 능선으로, 능선 도중의 합궁바위에 있는 남근석과 자궁바위가 유명하다.]
10:45~10:55 합궁바위에서 주위 풍경을 사진촬영
10:55~11:35 북한산 영봉靈峰(해발 604m)으로 이동
[북한산 영봉靈峰(604m)은 대한민국 암벽등반의 메카 인수봉을 똑바로 감상할 수 있는 봉우리다. 과거 이 봉우리 곳곳에 등반 도중 숨진 산악인들의 추모비를 인수봉을 향해 세웠기에 ‘산악인들의 영혼의 안식처’라는 의미를 담아 1980년대에 영봉이란 명칭이 붙여졌다고 전해진다. 이 추모비들은 지난 2008년 도선사 부근 무당골로 이전돼 합동추모공원이 형성됐다.
영봉은 백운대 코스를 이용해서 오를 수도 있다. 사실 이 길이 가장 빨리 영봉에 오르는 길이다. 하지만 백운대로 가는 등산객들의 행렬에 치이기 싫거나, 이 길은 백운대에 오를 때를 위해 아껴두고 싶다면 육모정고개~영봉 능선 길을 이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이 코스는 호젓한 영봉 능선 길을 따라 웅장한 인수봉을 맞이할 수 있는 길이다.
산행은 우이동 그린파크 앞에서 시작된다. 그린파크 앞에서 왼쪽 우이령 길을 따라 1km쯤 오르면 영봉 2.6km 안내판이 나온다. 식당 사이로 접어들어 용덕사를 지나면 육모정고개다. 영봉 정상까지 이어지는 능선은 전망이 좋은 암릉 구간이다. 약 1시간 30분이 걸린다.
영봉 정상에서 하산은 되돌아갈 이유가 없다면 앞선 백운대 왕복 코스를 따라 하루재를 지나 우이동으로 내려서면 된다. 영봉 등정 후에 체력이 괜찮다면 내친 김에 백운대까지 한 번 시도해 봐도 좋다.
출처 : 월간산(http://san.chosun.com)]
11:35~11:50 사진촬영 후 간식
11:50~12:05 하루재로 이동
12:05~12:10 경기 고양시 덕양구 효자동 산 19-1 번지에 있는 북한산 인수대피소로 이동
12:10~12:15 인수암 위쪽에 있는 물탱크 옆 잠수함바위 능선 진입지점으로 이동
12:15~12:45 잠수함바위 능선의 잠수함바위로 이동
12:45~13:00 사진촬영
13:00~13:30 잠수함바위 능선을 따라서 잠수함능선 정상부의 마당바위로 이동
[잠수함 바위 능선은 백운대와 인수봉의 사이에 있는 숨은벽 정상에서 인수암으로 내리뻗은 암릉이다. 하루재 방향에서 바라보면 잠수함을 닮아서 붙여진 이름이다. 인수봉 전망하기 좋은 산행로이다.]
13:30~13:35 휴식
13:35~13:45 숨은벽 정상(해발 768m)으로 이동
[숨은벽 정상부에는 엄지바위가 있다.]
[숨은벽 정상의 높이는 768m로 북한산의 대표적인 봉우리인 백운대(836m), 인수봉(811m), 만경대(800m)에 이어 넷째로 높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내 이름도 없이 지내다가 ‘숨은벽’이란 이름도 1970년대 한 산악회가 뒤늦게 붙여준 이름이라니, 얼마나 꼭꼭 숨어 있었는지 미루어 짐작할 만하다. 옛사람들은 속세를 떠나 자연 속에 묻히는 것을 소은(小隱)이라 하고, 세속과 더불어 살면서도 자신을 드러내지 않는 것을 대은(大隱)이라 했다. 그 오랜 세월을 북한산의 여러 봉우리와 더불어 살면서도 이름 없이 은거(隱居)한 것만 생각해도 숨은벽에서는 대은(大隱)의 품격이 느껴진다.]
13:45~13:55 사진촬영
13:55~14:30 사기막봉(해발 555m)에 있는 마당바위로 이동
14:30~14:40 휴식
14:40~15:50 효자 2통 버스 정류장으로 이동하여 산행 완료
15:50~16:00 효자2통 버스 정류장에서 연신내역 정류장으로 가는 704번 버스 승차 대기
16:00~16:30 704번 버스를 타고 효자2통 버스 정류장에서 연신내역 정류장으로 이동 [30분 소요]
지장암능선 산행지도
잠수함바위 능선 산행지도
[잠수함바위 능선&숨은벽] 산행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