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쿠웨이트 피부관리기 시장 확대 | ||||||||||||||||||||||||||||||||||||||||||||||||||||||||||||||||||||||||||||||||||||||||||||||||||||||||||||||||
---|---|---|---|---|---|---|---|---|---|---|---|---|---|---|---|---|---|---|---|---|---|---|---|---|---|---|---|---|---|---|---|---|---|---|---|---|---|---|---|---|---|---|---|---|---|---|---|---|---|---|---|---|---|---|---|---|---|---|---|---|---|---|---|---|---|---|---|---|---|---|---|---|---|---|---|---|---|---|---|---|---|---|---|---|---|---|---|---|---|---|---|---|---|---|---|---|---|---|---|---|---|---|---|---|---|---|---|---|---|---|---|---|---|
게시일 | 2016-04-25 | 국가 | 쿠웨이트 | 작성자 | 방재희(쿠웨이트무역관) | ||||||||||||||||||||||||||||||||||||||||||||||||||||||||||||||||||||||||||||||||||||||||||||||||||||||||||||
쿠웨이트 피부관리기 시장 확대 - 높은 비만율과 뜨겁고 건조한 기후로 피부병 환자 증가 -
□ 쿠웨이트 현황
○ 피부질환 환자 증가 - WHO통계에 따르면, 쿠웨이트의 비만율은 38.3%이며, 비만 부작용인 땀으로 인한 피부병 및 튼살 치료목적 레이저 피부관리기의 사용이 높아짐. - 체중감량 및 지방흡입 수술 이후 발생하는 셀룰라이트와 피부변형을 레이저 기기로 치료 - 고온 건조한 날씨로 인한 피부질환이 증가
○ 미용 목적 피부관리기 사용 증가 - 현지 바이어에 따르면, 제모, 문신제거, 여드름치료, 탈모, 모공 개선과 같이 레이저기기를 이용한 미용 목적의 피부관리가 점차 대중화 - 최근 민간 종합병원 및 클리닉에서 합리적인 가격으로 미용 목적의 피부관리 시술을 받는 것이 가능해지면서 수요 증가
□ 피부관리기 시장현황
○ 쿠웨이트 내 레이저 피부관리기, 고주파 피부관리기(RF Machine), 초음파(Ultrasound) 피부관리기, 광선기기(light therapy)가 대중적으로 알려짐.
○ 레이저 피부관리기가 시장의 주류를 형성 - 쿠웨이트인들은 효과는 빠르지만 고통은 덜한 레이저 피부관리기와 고주파 피부관리기를 선호 - 레이저 피부관리기의 시장점유율은 90%에 달하고, 고주파 피부관리기의 시장점유율은 3~5%에 그침.
○ 쿠웨이트 내 피부관리기 주 수입국가는 미국 - 바이어에 따르면 미국산 피부관리기는 가격 경쟁력이 있으며, 피부질환 치료범위가 넓고, 사용 및 부품 교체가 용이하며, 사후서비스가 뛰어난 것으로 언급함. - 미국 제조업체들은 쿠웨이트 바이어들을 미국의 전시회에 초대하거나, 미국의 병원 및 공장 방문에 초대하는 공격적인 마케팅 전개 - 대부분의 피부관리기 제품이 미국 FDA 인증을 받은 것도 쿠웨이트 바이어가 미국산 제품을 선호하는 요인
□ 수입동향
○ 쿠웨이트의 피부관리기 수입 규모 급등 - 2014년 수입은 전년대비 23.9% 감소했으나, 2015년에는 2350만 달러로 전년대비 2762% 증가
○ 2015년 미국의 대쿠웨이트 수출은 전년대비 5552% 증가하며 가장 큰 증가폭을 보임.
○ 주 수입국은 미국, 중국, 오스트리아, 독일 등임.
○ 한국의 대쿠웨이트 수출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음.
쿠웨이트 피부 관리기기 수입 현황(HS Code 9013 기준) (단위: 천 달러, %)
자료원: Trade Map(2016.4.14.)
□ 제품 경쟁동향
○ 독일, 프랑스 등 유럽 제품 선호도, 미국산 제품보다 낮아 - 쿠웨이트 바이어들은 유럽산 피부관리기가 미국산보다 가격이 높고 품질 경쟁력도 낮다고 평가함.
○ 주요 수입제품 현황 - 미국 브랜드 Solta, Zerona, Candela, Cynosure 제품이 쿠웨이트 피부관리기 시장 독점
(단위: 달러)
자료원: 쿠웨이트 바이어 및 KOTRA 쿠웨이트 무역관
□ 쿠웨이트 보건부 인증 필수
○ 쿠웨이트 보건부는 민간·공공분야에서 사용되는 모든 의료용 기기의 수입을 관리, 감독함.
○ 레이저, 고주파, 초음파, 광선 피부관리기는 오직 종합병원 및 피부전문의가 운영하는 피부과에서만 사용이 허가되며, 가정 내 사용은 불법 - 쿠웨이트 보건부는 해당 피부관리기가 인체에 유해한 수준의 레이저 또는 주파수를 배출해 건강을 해칠 위험성이 있는 기기로 분류함. - 때문에, 쿠웨이트 보건부는 방사능 예방부가 발급한 유효한 인증서가 없는 레이저 기기의 사용을 불허함.
○ 레이저 피부관리기, 광선 피부관리기(light therapy) 쿠웨이트 보건부 인증이 필수이지만, 고주파 피부관리기와 초음파 피부관리기는 사용목적에 따라 보건부 인증이 요구될 수 있음.
○ 미국 FDA 인증 또는 CE 인증 필수 - 쿠웨이트 보건부는 FDA 인증서가 있는 제품을 선호함. FDA 인증이 없을 경우, 적어도 CE 인증은 취득해야 하며, 인증서가 없을 시 쿠웨이트 내 판매가 불가능함.
□ 시사점
○ 공공의료 분야의 피부관리기 수요는 수술에 사용되는 레이저 기기에 국한됨. - 전염병, 피부암, 피부질환의 수술은 보건부가 운영하는 정부병원에서만 가능하며, 해당 분야의 피부관리기 수요는 수술에 사용되는 레이저 기기에 국한됨.
○ 민간 종합병원 및 클리닉에서 피부관리기 수요 증대 - 미용 목적 피부치료는 민간 종합병원 및 피부과에서만 가능함. - 쿠웨이트인의 미용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해당 진료과에서 피부관리를 받는 환자가 늘어남.
○ 미국 FDA 또는 CE 인증 필수 - FDA 인증서가 의무는 아니나, 공공의료 분야의 쿠웨이트 바이어들이 가장 선호하는 인증서임. - FDA 인증 또는 CE 인증 없을 시 쿠웨이트로 수출이 불가함.
○ 에이전트 발굴 및 선정이 필수 - 쿠웨이트에 수출하기 위해서는 에이전트와 계약이 필수적임. - 공공 및 민간 의료분야의 프로젝트를 수주하거나, 피부 관리기를 취급 경험이 있는 에이전트를 선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
○ 가격경쟁력, 사후관리, 보증기간 중요 - 쿠웨이트 바이어들은 구매 결정 시 제품의 품질과 사후서비스를 우선순위로 고려함. - 최소 1~2년 제품보증기간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함. · 공공의료 분야 피부관리기 보증기간: 2년, 민간의료 분야 피부관리기 보증기간: 1년
○ 장기적인 관점으로 쿠웨이트 시장진입 전략 수립 필요 - 현재 쿠웨이트 피부관리기 시장은 글로벌 브랜드 진입으로 포화상태임. - 쿠웨이트 진출을 희망하는 한국 업체는 적어도 1년 정도 현지 에이전트가 쿠웨이트 내 한국 제품의 브랜드네임 기반을 다지도록 협조해야 함.
자료원: Trade Map, WHO, MOH (Ministry of Health, 쿠웨이트 보건청), 바이어 인터뷰 종합 및 KOTRA 쿠웨이트 무역관 자료 종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