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성지순례
지난 1차 순례여행을 마친 후 2차 여행을 계획했다.
성탄준비와 12월 중순부터 하게 될 마늘 작업 이전에 끝내야 하기에
1주일 후 출발하려고 했지만, 여행의 후유증인지
머리가 아프고 열이 많아 병원에 가서 진찰을 받아보니
코로나 확진 판정을 받아 어쩔 수 없이 1주일 더 쉴 수밖에 없었다.
자가 격리가 끝나고 바로 다음 날 출발했다.
대림시기 첫 날이라는 상징도 있고 다녀오면
바로 대림 3주 자선주일이 되어 제대꽃꽂이를 손봐야 하기 때문이다.
이번에는 충청권인 대전교구, 청주교구를 거쳐
강원도 원주교구와 춘천교구 일부, 그리고 몇 군데 남아있는
안동교구를 순례할 계획이다.
1차 때보다 낮 시간도 많이 짧아졌고, 날씨도 추운 겨울이라
눈이라도 내리면 여행에 지장이 생길 우려가 되었지만
모든 것은 주님께 맡기고 출발했다.
이미 1차 여행에서 시행착오를 많이 겪었기에
이번에는 그런 부분을 보완하여 계획을 수립했고
한 번 경험한 일이라 한결 편안한 마음이었다.
2022.11.27(일)
1일차
오늘 묵을 숙소를 창성장으로 정하고 며칠 전 예약을 했다.
그리고 몇 곳을 빼고는 제천 ES리조트 2박 포함하여 숙소 예약을 마쳤다.
한 번 경험이 있기에 일정을 잘 맞출 수 있는 자신감이 생겼기 때문이다.
모레부터 비 예보가 있고, 비가 그친 후에는 기온이 급강하한다고 하여
순례여행 걱정을 하면서 배에 올라 떠나온 제주를 바라보았다.
무사히 여행을 마치고 돌아올 수 있기를 기원하면서~
지난 번에는 목포성지를 돌아보고 나니 저녁 7시 반이 넘어서
저녁을 먹지 못했는데, 이번에는 바로 숙소로 향했기에 도중에
숙소 근처에 있는 모아식당에서 저녁을 먹었다.
창성장(숙소)
5호 온돌 70,000원
이번에도 창성장을 숙소로 정했다.
여객터미널에서 가깝고 주위에 민어골목등 음식점도 마음에 든다.
우리가 이번에 잔 방도 온돌방으로 색동이불이 놓여 있어서
보기만 해도 옛 추억과 함께 따뜻함이 느껴졌다.
다음 날 첫 순례지인 산막골까지 2시간 운전해야 하기에
6시에 출발할 계획으로 일찍 잠자리에 들었다.
2022.11.27(월)
2일차
1. 산막골. 작은재
베일 속에 가려져 있던 박해시대 충청남도 서천 지역 신앙 선조들의
삶의 터전이자 성스러운 피를 흘렸던 성지,
천방산(千房山, 324m) 산막골(현 충청남도 서천군 판교면 금덕리)은
신앙 선조들이 1839년 기해박해 이후 군란을 피해
인적 없는 산간벽지에 숨어 신앙공동체를 이루며 살았던 곳이자
다블뤼(Daveluy, 安敦伊) 주교와 페롱(Feron, 權) 신부의
사목 중심지로 밝혀졌다.
또한 이곳은 순교자들이 심한 형벌을 받고 피를 흘렸던 점으로 보아
성지로서의 의미도 갖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작은재
이곳 천방산 ‘작은재’ 는 조선후기 천주교 박해가 있을 때에
이름 없이 살다간 숱한 신앙 선조들의 줄무덤이 있던 자리였다.
이곳에는 약 30여 기의 작은 무덤이 있었다고 전해진다.
서천 지역 신앙 선조들의 삶의 터전들 가운데 특히
서천군 문산면 수암리 산 78번지의 천방산 기슭은 수암리의 독뫼 공소 터와
판교면 금덕리의 작은재 공소 터를 이어주는 고갯마루였다.
2. 지석리
충청도 임천(林川)의 괴인돌이라는 마을.
오늘날의 행정 구역 명칭으로 충청남도 부여군 충화면 지석리는 두 명의 성인,
곧 손선지(베드로, 1820-1866년)와 정문호(바르톨로메오, 1801-1866년)가
탄생하는 영광을 얻었다.
부여 지석리에는 아직도 손선지 성인의 종씨들이 살고 있는데,
가난한 생활 가운데서도 손선지 성인의 시성비라도 세워 달라고
홍산 성당에 밭을 기증했다.
그래서 사적지를 관리하고 있는 홍산 성당은
두 성인의 생가터를 정확히 확인할 수 없자 동네 땅 일부를 매입해
현 위치에 두 성인의 출생 기념비와 50여명 정도가 미사를 봉헌할 수 있는
야외제대와 기념비 안내문을 세웠다.
3. 서짓골 성지
충남 보령시 미산면 평라리의 멍덕봉(명덕산) 기슭에 위치한 "서짓골"은
옛적에 박해를 피하여 천주교 신자들이 다수 은거했던 곳이며,
병인대박해 때인 1866년 3월 30일 갈매못에서 군문효수형을 받고 순교한
다섯 성인 가운데 성 황석두 루카 회장을 제외한 네 성인의 유해가
1882년까지 16년 동안 안장되었던 곳이다.
4. 삽티성지
부여 삽티는 갈매못에서 순교한 황석두 루카 성인이 안장된 곳이다.
병인박해(1866) 때인 1866년 3월 30일 갈매못에서 순교한 다섯 명의 성인,
즉 다블뤼(Daveluy, 安敦伊 안토니오) 주교, 오메트르(Aumaitre, 吳, 베드로) 신부와
위앵(Huin, 閔, 마르티노) 신부, 황석두(黃錫斗, 루카) 회장과 장주기(張周基,요셉) 회장은
그 머리들을 사흘 동안 장깃대에 매달았다가
그 몸과 함께 아무렇게나 모래밭에 군인들이 묻었다.
이에 다섯 성인 가운데 황석두 성인의 시신은
그 조카이자 양자인 황천일(요한)이 주선하여 황기원(안드레아) 등의 가족들이
황석두 성인의 시신을 거두어 "삽티"에 유해를 안장하였다.
5. 도앙골 성지
홍산(鴻山) 도앙골은 옛 교우촌이 있었던 유서 깊은 순교 사적지로
이존창(루도비코)의 전교활동에 의해 교우촌을 이룬 곳이며,
1850년 최양업 도마 신부가 첫 사목보고서 를 썼던 곳이다.
1866년 병인박해 때는 김사범, 김 루카, 김 바오로, 오 요한, 오 시몬 등 다섯 분이
공주감영으로 잡혀가 순교한 교우촌이다.
현재 이곳에는 최양업 신부의 시성을 바라는 기념비가 마련되어 있으며,
기도의 집인 “우애의 집”이 있다.
6. 황새바위 성지
공주 들머리 언덕에 위치한 이곳은 바위 위에 소나무가 밑으로 늘어져 있고
황새가 서식했다 해서 '황새바위'로 불린다.
달리 '항쇄바위' 또는 '황쇄바위'라고도 한다.
이곳의 바위가 마치 죄수들의 목에 씌우는 칼인
'항쇄'의 모양과 흡사하게 생겼을 뿐만 아니라
칼을 쓴 죄인들이 이 언덕 바위 앞으로 끌려 나와 처형당했기에
'항쇄바위'라 했다는 설이 있다.
전 공주 교도소 부근 황새바위순교성지 가까운 곳에서
죄수들이 작업하던 중 우연히 발견하여 가져온 십자가이다.
서봉세 갈베르토 신부가 1984년 기증하였다.
황새바위에서 순교한 신자들이 가지고 있던 십자가로 추정한다.
십자가 하단에 해골이 부착되어 있다.
해골의 의미는 '메멘토 모리'로 죽음을 상징한다.
7. 수리치골 성모성지
수리치골은 박해 시대 교우촌의 하나이다.
당시 공주 지방에는 국사봉(國師峰)을 중심으로 둠벙이, 용수골, 덤티, 진밭, 먹방이 등
여러 군데에 교우들이 은거지가 있었는데 그중에서
수리치골이 가장 깊숙하고 넓어 많은 교우들이 모여 살았던 것으로 전해진다.
수리치골이 특히 의의를 갖는 것은
김대건 신부가 새남터에서 순교한 후 안성 미리내에 안장될 무렵인
1846년 11월 2일 페레올 고 주교에 의해 이곳에서 한국에서는 처음으로
성모 성심회라는 신심 단체가 구성되어
박해받는 한국 교회와 민족을 성모님께 봉헌하였던 곳으로
공주 지방의 신앙 형성에 공헌을 했다는 점에서 한국 천주교회의 의미 깊은 사적지이다.
현재 이곳에는 성모 성심회의 뜻을 계승하는
'미리내 성모 성심 수녀회'의 총원이 자리하고 있다.
8. 청양다락골 성지
청양 다락골 성지는
‘땀의 순교자’ 최양업 신부와 그의 부친인 최경환 성인이 탄생한
유서 깊은 교우촌이자 무명 순교자들의 무덤이 줄지어 자리한 곳입니다.
마을 뒷산 양지바른 산등성이에 무명 순교자들의 묘소와 묘비들이
여러 줄로 서 있는데 누구의 무덤인지는 알 수 없습니다.
다만 1866년 병인박해 당시 홍주 감영에서 순교한 교우들의 시신을
밤을 틈타 엄중한 감시를 뚫고 빼내어 최씨 종산인 이곳에
안장했다고 구전을 통해 전해지고 있습니다.
대 성당에는 팔 없는 예수님 상이 있다.
두 팔이 잘려 나간 몸통만 남은 십자가상은 제 2차 세계대전종전 후 폐허가 된
독일 슈바르츠발트 지역의 한 성당을 재건하던 도중에 발견되었다고 한다.
다락골 새터는
17세기 초반부터 360여 년간 경주 최씨네가 산 집성촌이던 청양 다락골은
박해를 피해 서울에서 이주해온 최양업 신부 일가가 증조모, 조부모, 부모,
최 신부 형제까지 4대에 걸쳐 새터를 이루고 살던 곳이다.
최양업 신부 일가가 이룬 이 새터는 교우촌으로 성장했다.
1838년 기해박해 때는 모방ㆍ샤스탕 신부가 이곳에서 피신해 있다가
앵베르 주교의 권고로 자수했다.
다락골 새터는 최양업 신부 일가의 신앙의 못자리로 성인과 복녀, 가경자
각 1위를 배출한 성지로 순례자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고 있다.
9. 갈매못 순교성지
이곳에서는 1866년 병인박해(丙寅迫害) 때 제5대 조선교구장인
다블뤼(Daveluy, 安敦伊)주교, 오메르트(Auma tre 吳), 위앵(Huin, 閔) 신부,
다블뤼 주교의 복사이자 회장인 황석두(黃錫斗, 루가)와 회장이요
배론 신학당의 집주인인 장주기(張周基, 요셉)등 5명이
군문효수(軍門梟首)형을 받고 순교하였다.
숙소: 공주한옥마을
오늘 비가 내리는 가운데 여러 곳을 순례했다.
짐을 놓자마자 한옥마을내에 있는 한옥관식당으로 가서
공주알밤막걸리에 알밤감자전을 시키고 우두곰탕을 시켰다.
비가 오고 기온이 떨어지고 있어 한 곳이라도 더 방문하려고 하다보니
날도 어두워지고 몸이 으슬으슬하던 차에
막걸리와 국밥으로 몸이 풀리자 졸음이 쏟아졌다.
공주한옥마을 숙소에 도착해 겨우 우리가 자는 행랑채만 찍을 수 있었다.
옛날로 치면 머슴이 자던 방이라 한옥마을에서 제일 작은 방이지만
이것도 간신히 예약을 할 수 있었다.
두 사람이 누우면 꽉차는 방이지만 TV를 비롯해 있을건 모두 있었다.
방은 옛날 시골 아랫목을 연상시키듯 장판이 좀 타서 거무스레하고
요밑에 등을 대니 너무 뜨거워 몸을 뒤척여야 했다.
방은 좁지만 천정이 높아 답답함은 별로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