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딧불이' 한 마리가 냉각된 한일 관계를 녹여줄 불빛이 될 수 있을까. 전쟁의 아픔을 달래줄 치유의 빛이 될 수 있을까.
영화「호타루」를 바라보는 국내 관객들의 감상은 `착잡함'쪽에 가까울 듯하다.
2차대전 당시 가미카제 특공대로 스러져간 한국인의 이야기를 일본인의 시각에서 다뤘다는 점에서 단순히 영화적 시각에서만 바라볼 수 없는 게 솔직한 심정일게다.
그렇다고 해서 영화「호타루」가 수많은 젊은이들을 죽음으로 내몰았던 전쟁을 정당화한다거나 그들의 과거사를 옹호하는 입장에 있지는 않다.
오히려 군데군데 `반전의식'이 `직설화법'으로 드러나 있는 편이다.
아픈 아내를 지극정성으로 간호하며 외딴 어촌에서 살아가던 야마오카.
그는 천황이 서거한 직후 옛 전우 `후지에'가 자살했다는 소식을 전해듣고는 가슴에 묻어둔 아픈 과거를 회상한다. 2차대전 끝무렵인 1945년, 당시 특공대원이었던 야마오카와 동료 후지에는 마지막 출격을 앞둔 `가네야마' 소위의 유언을 듣는다.
가네야마 소위는 일본군에 강제징병된 조선인으로, 고향과 약혼녀에 대한 사랑을 유언으로 남긴 뒤 폭탄을 안고 출격한다. 이후 야마오카는 숨진 가네야마 소위의 약혼녀 `도모코'와 부부가 돼 서로 상처를 어루만져주며 살아간다.
한편, 전쟁 당시 특공 대원들을 보살펴주던 여관 주인 `도미코' 여사는 숨진 가네야마 소위의 유품을 한국의 유족들에게 전해줄 것을 야마오카에게 부탁한다.
이제는 노부부가 돼 한국의 안동 하회 마을을 찾은 야마오카 부부는 유족들에게 유언을 전달하지만 그들은 '왜 일본인인 당신은 지금껏 살아있느냐'고 절규한다.
「철도원」의 후루야타 야스오 감독이 연출한「호타루」는 일본의 설원과 한국의 하회마을 등 아름다운 풍광을 배경으로 `부부애'를 감동적으로 풀어 놓는다.
부부로 나온「철도원」의 다카쿠라 겐과 「오싱」의 주인공인 다나카 유코의 원숙한 연기는 관객들의 심금을 울리고도 남는다.
감독은 전쟁에서 숨진 젊은이들과 살아남은 이들 모두를 전쟁의 희생자로 본다.
도미코 여사가 생일을 맞아 과거를 회상하며 '어머니라면 자식을 지켜야지 절대 죽으라고 말하지 못한다'며 통곡하는 부분은 반전 의식이 엿보이는 대목.
조선인 소위가 죽기 전날 `아리랑'을 부르고, 한국인 유족들에게 고개 숙이는 일본인의 모습은 한국에 대한 `화해의 몸짓'으로 비치기도 한다.
그러나 때로 이런 직설화법이 부담스럽다. '반딧불이가 돼서라도 다시 고향에 돌아오겠다'는 말을 남긴 뒤 출격한 일본인 병사의 말이 이루어지기라도 한 듯 반딧불이 한 마리가 날아 들어 병사들의 아픈 기억을 자극하는 부분이 대표적인 예.
개인사(史)를 자족적으로 치유하는 것으로, 또 감동적인 이야기로 눈물샘을 자극하는 것만으로도 한일간의 역사적 `앙금'을 씻어낼 수 있다고 생각한 것일까.
일본에서는 250만 관객들이「호타루」를 보고 눈물을 흘렸다고 하는데, 국내 관객들의 반응이 자못 궁금하다.
카페 게시글
불라 불라 사랑방
< 새영화 > <호타루>
변광재
추천 0
조회 57
02.01.07 12:02
댓글 0
다음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