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룩한 태양이 녹아들고
있었다.
하얀 바다 속으로 뜨겁게-
바닷가에 수도사 두 사람이
앉아 있었다
금발의 젊은이와 백발의
늙은이가.
늙은이는 생각하고 있었다.
언젠가 나도 쉬게 되리라.
이렇게 편안히-
젊은이도 생각하고 있었다.
내가 죽을 때도 영광의 광채가 내리기를.
-릴케(Rainer Maria Rilke·1875~1926)
(송영택 옮김)
[해넘이의 마지막 인사]
릴케가 이런 시도 썼구나.
연약하고 낭만적인 감수성의 시인으로 생각하기 쉽지만,
릴케의 시 세계는 바다처럼 넓고 깊다.
해가 넘어가는 황혼 무렵, 바닷가에 앉은 두 수도사를 (아마도 뒤에서) 바라보며 이런 거룩하고 심오한 생각을 하다니.
4행에 나오는 ‘금발의 젊은이’가 재미있다.
우리나라 시인이라면 ‘흑발의 젊은이’라고 했을 텐데,
유럽에서는 금발이 젊음의 상징인가.
마치 풍경화 한 폭처럼 서정적이고 인상적인 1연에 이어 2연에서는 삶과 죽음,
젊음과 늙음에 대한 섬세한 통찰이 빛난다.
인상파의 터치처럼 시각적이고 현장감이 넘치며 간결한 언어들.
말이 아니라 생각으로 대화하는 두 인물이라는 설정도 흥미롭다.
두 수도사가 생각이 아니라 말을 교환했다면 시 전체에 흐르는 고독이 반감하고 긴장감이 덜했으리라.
때가 되어 바닷속으로
녹아드는 태양처럼
편안하게
이 세상과 마지막 인사를
할 수 있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
[최영미의 어떤 詩]
2023.3.13(월)00시13분.
최영미 시인.이미출판대표
朝鮮日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