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아두면 편리한 서예의 용어
우리가 서예를 효과적으로 공부하기 위하여서는 먼저 자주 사용되는 용어를 알아둘 필요가 있어 기술합니다. 이러한 용어들은 쉬운 말로 풀이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혼동을 가져오는 경우가 많지만 서예학습에 도움이 되도록 기술(記述)합니다. 한글과 한문서예에 나타나는 용어는 수 없이 많지만 서예 초보단계 에서 알아두어야 할 용어들을 가 나 다 순 으로 되도록 쉽게 풀이 하고자 합니다.
. 가로쓰기-건너긋기 왼쪽에서 오른 쪽으로
. 가리개 -두 쪽 병풍
. 간가(間架)-획과 획 사이 간격
. 간찰(簡札)-편지글
. 갈필(渴筆)-먹이 진하거나 속도를 빨리 하여 종이에 먹이 묻지 않는 부분
. 결구(結構))-점과 획이 조화 구성된 글자의 구성
. 경중(輕重)-글자 획이 가볍고 무거운 표시를 말한다.
. 경필(硬筆)-현대 필기의 도구인 연필 볼펜 만년필 등의 도구를 경필.
. 골서법(骨書法)-체본 위에 투명지 를 놓고 문자를 골법으로 쓰는 것
. 구궁(九宮)지법-모눈으로 그어진 습자지
. 금석문(金石文)-청동기나 돌에 새겨진 문자
. 기필(起筆)-글씨를 쓸 때 처음 붓을 댈 때를 기필 이라고 한다
. 낙관(落款)-서화(書畵)작품에 제작 연도 아호 성명 등을 쓰고 도서 또는 도장
. 노봉(露鋒)-기필 을 할 때 역입 을 하지 않고 붓을 대는 것
. 농담(濃淡)-먹이 색이 짙고 엷은 것.
. 농묵(濃墨)-먹이 진 하게 잘 갈린 먹물.
. 단구법(單鉤法)-연필 잡듯이 잡는 것.
. 단봉(短棒)-붓의 털의 길이가 짧은 붓 주로 회화용 채색 필
. 담묵(淡墨)-묽게 간 먹물.
. 대련(對聯)-세로가 긴 족자나 액자를 두 개로 하여 작품을 이루도록 한 것
. 두인(頭印)-수인이라 한다 작품의 시작부분을 찍는 다.
. 모사법(模寫法)-체본 위에 투명 지를 올려놓고 연습.
. 문방사우(文房四友)-글방에必要한 4가지 용구 먹, 붓, 벼루, 종이.
. 발묵(潑墨)-종이에 먹이 번지는 정도
. 방필(方筆)-기필 수필에서 모가 난 글씨 용비어천가 월인천강지곡 등
. 백문(白文)-전각음각-도장문자가 희게 찍히는 것.
. 법첩(法帖)-옛날 훌륭한 명적을 탁본으로 만든 책.
. 봉서(封書)-궁중(宮中)에서 사사로이 쓰는 편지글.
. 사군자(四君子)-매(梅) 난(蘭) 국(菊) 죽(竹).
. 서법(書法)-집필 용필, 운필, 장법등 서예 표현에 필요한 방법과 법칙
. 서제(書題)-글씨를 쓸 때 필요한 글귀 격언 시 고전
. 서진(書鎭)-문진 글씨를 쓸 대 종이가 움직이지 않도록 누르는 도구
. 서체(書體)-각종 글씨체 예(隸) 행(行) 초(草) 해(楷) 전(篆)등
. 서풍(書風)-글씨 쓰는 이들이 개성
. 송연묵(松烟墨)-소나무의 그을음에 아교 향료를 썩어 만든 것.
. 수인(首印)-작품 앞머리에 찍는 도장.
. 수필(收筆)-점과 획의 끝마무리 과정
. 쌍구법(쌍구법(雙鉤法)-붓 잡는 방법 두 손가락을 양쪽으로 유지.
. 양각(陽刻)-글자를 불룩 판으로 새기 는 것.
. 양호(羊毫筆)-양털로 만든 부드러운 붓
. 액자(額子)-틀에 끼워 표구하는 방법.
. 여백(餘白)-종이에 먹으로 나타난 글씨의 부분이 아닌 나머지.
. 역입(逆入)-기필 한 부분이 거슬려 들어가는 것.
. 연적(硯滴)-먹을 갈 때 필요한 물 담는 용기
. 영인본(影印本)-원본을 인쇄하거나 복제한 인쇄물
. 영자필법(永字筆法)-영자의8가지 방법
. 완급(緩急)지속(遲速)-붓이 속도가 원만하고 급하며 느리고 빠른 것.
. 용필(用筆)-기필 운필 수필 하는 과정을 말함.
. 원필(원필(圓筆)-수필(收筆)과 기필(起筆) 부분(部分)이 둥근 것.
. 유연묵(油煙墨)-기름을 태워서 그을름 에다 아교를 섞어서 만든 먹.
. 육필(肉筆)-손으로 직접 쓴 글씨.
. 음각(陰刻)-글자의 오목판으로 새기는 것.
. 인고(印稿)-도당을 샛길 때 서 넣은 글자.
. 인보(印譜)-도장을 찍어서 만든 도록
첫댓글 공부를 하면서 바른 용어를 확실히 사용할수 있게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초정부회장님
행복한 주말 되세요.